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인돌 형태를 재구성한 도자조형 연구 = (A) Study of the Ceramic Modeling Through Relonstruction of Dolmen sshap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6617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간은 과학의 발달로 하여 합리적인 사고를 하게 되고 반면, 산업화의 가속화로 인하여 가치관의 혼돈과 신념의 상실을 가져왔다. 문명은 인간의 순수한 본성으로부터 더 벗어나 마침내 정신과 물질, 인간과 자연의식과 무의식 사이에 무수한 장벽을 쌓아 놓았다. 이런 상황 속에서 사람들은 인간적 본능과 원시적 심리를 동경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기술 문명이전의 것에 대한 그리움과 현실적 지식 구조를 넘어 인간의 의식과 감성 깊은 곳에 숨겨진 원시적 힘을 표현하기 위하여 고대 선사시대의 문화를 상징하는 고인돌의 형태를 연구하여 도자조형에 응용해 보고자 하였다.
      고인돌은 죽음의 세계를 의미하는 무덤이 아닌 새로운 생명력과 경외심을 느끼게 하는 감동의 대상이다. 고인돌의 형태와 의미를 살펴보고 작품에 연결하고자 하였고 고인돌의 본질적인 형태의 종류를 연구하여 살펴봄으로써 연구자가 의도한 완성된 형태가 나타날 수 있도록 전개하였다.
      본 논문에서 연구자는 고인돌의 형태와 종류, 고인돌에 담긴 신비함과 장엄함을 고찰해 보면서 그 시대 사람들의 죽음에 대한 것을 살펴봄과 동시에 그 형태를 도자조형으로 재해석하여 본 연구자가 분석하고 연구하여 조형적인측면에서 접근 한 것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고인돌 형태 조형화 작업, 고인돌의 외형적 이미지의 형상화로서 돌의 형태와 질감, 각 개체적 요소와 요소들의 균형된 배열과 조화, 각 요소들의 재배치하여 고인돌 형태를 표현하고자 한다. 고인돌의 상징적 의미는 연구자의 심성, 연결, 통로, 문의 이미지로서 조형화 하였다. 고인돌은 죽음자체를 의미하는 무덤이라기보다는 현세와 내세를 연결하는 통로로서 죽음의 세계가 아닌 또 다른 삶의 세계, 영원의 세계로 들어가는 문으로의 이미지라고도 할 수 있다.
      고인돌 형태를 입체 조형물로 탐구함과 기존에 대한 조형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고인돌의 영원성과 지속성의 의미를 깨달아 도자조형에서 나타난 내용은 부적과 같은 의미로 복잡하고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 인간들에게 새로운 활력과 여유를 주고 그 동안 잊혀졌던 인간의 본원적 감성세계를 회복하고 인간의 내면에 자리 잡고 있는 자연 회귀 본능을 일깨우는 계기가 되길 희망하였고 고인돌을 도자 조형물로 재해석하여 제시함으로서 새로운 소재와 양식을 표현하게 된 것이 본 연구의 성과라고 생각한다.
      번역하기

      인간은 과학의 발달로 하여 합리적인 사고를 하게 되고 반면, 산업화의 가속화로 인하여 가치관의 혼돈과 신념의 상실을 가져왔다. 문명은 인간의 순수한 본성으로부터 더 벗어나 마침내 정...

      인간은 과학의 발달로 하여 합리적인 사고를 하게 되고 반면, 산업화의 가속화로 인하여 가치관의 혼돈과 신념의 상실을 가져왔다. 문명은 인간의 순수한 본성으로부터 더 벗어나 마침내 정신과 물질, 인간과 자연의식과 무의식 사이에 무수한 장벽을 쌓아 놓았다. 이런 상황 속에서 사람들은 인간적 본능과 원시적 심리를 동경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기술 문명이전의 것에 대한 그리움과 현실적 지식 구조를 넘어 인간의 의식과 감성 깊은 곳에 숨겨진 원시적 힘을 표현하기 위하여 고대 선사시대의 문화를 상징하는 고인돌의 형태를 연구하여 도자조형에 응용해 보고자 하였다.
      고인돌은 죽음의 세계를 의미하는 무덤이 아닌 새로운 생명력과 경외심을 느끼게 하는 감동의 대상이다. 고인돌의 형태와 의미를 살펴보고 작품에 연결하고자 하였고 고인돌의 본질적인 형태의 종류를 연구하여 살펴봄으로써 연구자가 의도한 완성된 형태가 나타날 수 있도록 전개하였다.
      본 논문에서 연구자는 고인돌의 형태와 종류, 고인돌에 담긴 신비함과 장엄함을 고찰해 보면서 그 시대 사람들의 죽음에 대한 것을 살펴봄과 동시에 그 형태를 도자조형으로 재해석하여 본 연구자가 분석하고 연구하여 조형적인측면에서 접근 한 것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고인돌 형태 조형화 작업, 고인돌의 외형적 이미지의 형상화로서 돌의 형태와 질감, 각 개체적 요소와 요소들의 균형된 배열과 조화, 각 요소들의 재배치하여 고인돌 형태를 표현하고자 한다. 고인돌의 상징적 의미는 연구자의 심성, 연결, 통로, 문의 이미지로서 조형화 하였다. 고인돌은 죽음자체를 의미하는 무덤이라기보다는 현세와 내세를 연결하는 통로로서 죽음의 세계가 아닌 또 다른 삶의 세계, 영원의 세계로 들어가는 문으로의 이미지라고도 할 수 있다.
      고인돌 형태를 입체 조형물로 탐구함과 기존에 대한 조형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고인돌의 영원성과 지속성의 의미를 깨달아 도자조형에서 나타난 내용은 부적과 같은 의미로 복잡하고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 인간들에게 새로운 활력과 여유를 주고 그 동안 잊혀졌던 인간의 본원적 감성세계를 회복하고 인간의 내면에 자리 잡고 있는 자연 회귀 본능을 일깨우는 계기가 되길 희망하였고 고인돌을 도자 조형물로 재해석하여 제시함으로서 새로운 소재와 양식을 표현하게 된 것이 본 연구의 성과라고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human can be resonable thinking and were concerned with developed science. The other side of developed science bring about that the human lost faith and were thrown into confusion.
      Culture built so many kind of fences between human to natural spirit and an unconscious state such get out of pure nature of the human. The human aspire to human nature and system of actuality knowledge in this state.
      This dissertation is research about the Goindol that symbolize culture of ancient times before the culture technology-science.
      For expressed the power of nature existed in deep inside of the human out of system of actuality knowledge and missed something happens before culture of technology.
      Therefore, I tried to put a shape of the Goindol practice formative ceramic.
      The Goindol was special thing made the human impressed feel life force and fear not just a grave meaning world of death.
      I had research shape of the Goindol, meaning and kind of original shape, and then I effort to put them practice formative ceramic with new analysis many kind of shape of the Goindol.
      I tried to expressed shape of the Goindol with formative work, memories of outside image of the Goindol and feel of the stone. I also effort to expressed it with balance of each element, harmony with them and re-lay them out.
      The symbolize meaning of the Goindol formative images of mind, connect, path, door of researcher.
      The Goindol was transfer to the other world not world of death. It means the door through the eternal world. It must be good for the people who lives complicated in a modern society like a charm through put this research practice formative ceramic. It will be make the people get back sentimental world, give them rest and energy. I wish awaked unusual nature of human up existed in deep inside of them. lastly, This research the Goindol to formative ceramic was a major accomplishment of the dissertation.
      번역하기

      The human can be resonable thinking and were concerned with developed science. The other side of developed science bring about that the human lost faith and were thrown into confusion. Culture built so many kind of fences between human to natural spi...

      The human can be resonable thinking and were concerned with developed science. The other side of developed science bring about that the human lost faith and were thrown into confusion.
      Culture built so many kind of fences between human to natural spirit and an unconscious state such get out of pure nature of the human. The human aspire to human nature and system of actuality knowledge in this state.
      This dissertation is research about the Goindol that symbolize culture of ancient times before the culture technology-science.
      For expressed the power of nature existed in deep inside of the human out of system of actuality knowledge and missed something happens before culture of technology.
      Therefore, I tried to put a shape of the Goindol practice formative ceramic.
      The Goindol was special thing made the human impressed feel life force and fear not just a grave meaning world of death.
      I had research shape of the Goindol, meaning and kind of original shape, and then I effort to put them practice formative ceramic with new analysis many kind of shape of the Goindol.
      I tried to expressed shape of the Goindol with formative work, memories of outside image of the Goindol and feel of the stone. I also effort to expressed it with balance of each element, harmony with them and re-lay them out.
      The symbolize meaning of the Goindol formative images of mind, connect, path, door of researcher.
      The Goindol was transfer to the other world not world of death. It means the door through the eternal world. It must be good for the people who lives complicated in a modern society like a charm through put this research practice formative ceramic. It will be make the people get back sentimental world, give them rest and energy. I wish awaked unusual nature of human up existed in deep inside of them. lastly, This research the Goindol to formative ceramic was a major accomplishment of the dissert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 목차 = ⅲ
      • Ⅰ. 서론 = 1
      • 1. 연구 목적 = 1
      • 2. 연구방법 및 범위 = 2
      • 국문초록 = ⅰ
      • 목차 = ⅲ
      • Ⅰ. 서론 = 1
      • 1. 연구 목적 = 1
      • 2. 연구방법 및 범위 = 2
      • Ⅱ. 이론적 배경 = 4
      • 1. 고인돌에 대한 고찰 = 4
      • 2. 고인돌의 조형미 = 6
      • 3. 고인돌 조형적 분석 = 7
      • Ⅲ. 작품 제작 과정 = 9
      • 1. 작품 전개 방법 = 9
      • 2. 아이디어 스케치 = 13
      • 3. 태토 및 성형 = 16
      • Ⅳ. 시작품 해설 = 21
      • Ⅴ. 참고도판 = 36
      • Ⅵ. 결론 = 40
      • 참고문헌 = 42
      • ABSTRACT = 4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