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중요성 개념은 재무보고 실무에서 특정 정보가 공시대상인지를 식별하는 근거이다. 현재 논의 중인 지속가능성 공시기준에서는 전통적인 재무보고에서의 중요성 기준을 적극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239316
2024
Korean
325
KCI등재
학술저널
205-231(2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중요성 개념은 재무보고 실무에서 특정 정보가 공시대상인지를 식별하는 근거이다. 현재 논의 중인 지속가능성 공시기준에서는 전통적인 재무보고에서의 중요성 기준을 적극적...
[연구목적] 중요성 개념은 재무보고 실무에서 특정 정보가 공시대상인지를 식별하는 근거이다. 현재 논의 중인 지속가능성 공시기준에서는 전통적인 재무보고에서의 중요성 기준을 적극적으로 차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통적인 재무보고에서 중요성 기준이 적용되어 왔던 양식을 검토하고, 지속가능성 공시에서의 적용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국제회계기준,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 미국회계기준, 미국 대법원 판결, 회계감사기준 및 국제지속가능성 공시기준의 관련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통적인 재무보고에서 중요성의 정의를 기준에 따라 다르다. 양적기준과 질적기준을 모두 고려해야 하는 개념적 특성상, 중요성의 적용에 대한 일관된 지침은 존재하지 않는다. 실무적으로는 간편법을 적용해 왔는데, 재무정보에 대한 비율을 준거로 삼기 때문에 정성적 정보에 대한 중요성 판단기준으로 사용하기 어렵다. 국제지속가능성 공시기준은 이러한 어려움을 인지하고 SASB(Sustainability Accounting Standards Board) 기준을 참조할 것을 허용하고 있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전통적인 재무보고 기준 간 중요성 정의의 합의수준을 점검하고, 지속가능성 공시에의 적용가능성을 가늠하며, 대안의 필요성을 검토한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제정과정에 시의성 있게 공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materiality concept is the basis for identifying whether specific information is subject to disclosure in financial reporting practice. The sustainability reporting standards in the recent enactment process actively borrow the materialit...
[Purpose] The materiality concept is the basis for identifying whether specific information is subject to disclosure in financial reporting practice. The sustainability reporting standards in the recent enactment process actively borrow the materiality standards in traditional financial reporting. The application of reliable materiality criteria is a prerequisite to ensure the relevance of sustainability information. Therefore, we aim to review the methods in which the materiality criteria have been applied in traditional financial reporting and to review the applicability to sustainability reporting.
[Methodology] This study identified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IFRS, K-IFRS, U.S. GAAP, U.S. Supreme Court rulings, accounting audit standards, and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s review and supervision results.
[Findings] The requirements for judging the materiality of traditional financial reporting are expressed differently for each standard. There is no consistent guideline for the materiality judgement due to its conceptual nature that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riteria must be considered. Therefore, in practice, the simple rule of thumb is applied. However, since the ratio of financial information is used as a criterion for the simple method, it is difficult to be applied for determining the materiality of non-financial information. The International Sustainability Disclosure Standards recognize these difficulties and refer to the SASB (Sustainability Accounting Standards Board) Standards.
[Implications] This study identifies the extent to which the definition of materiality is agreed in tradi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recognizes the limitations of applying it to sustainability disclosures, and forms a consensus on the need for alternatives, such as the application of SASB materiality maps. Recognizing the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materiality guidance also calls for the need to systematically disclose how each entity referred to the materiality guidance for sustainability reporting. We expect that this paper makes a timely contribution to the process of establishing sustainability disclosure standards.
기업 특성이 ESG 보고의 중대성 공시품질에 미치는 영향 : 환경, 제도 및 재무적 특성을 중심으로
Perceived Competition and Cost Stickiness
은행 영업점의 성과평가제도 사례 : 고객만족도 지표의 효과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