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판 반추적 반응 척도(K-RRS)의 확인적 요인분석 : 우울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402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반추는 우울의 핵심적인 인지처리 과정으로 일컬어져 왔으며, 우울증의 발병과 유지 및 재발의 위험인자로서 알려져 있다. Nolen-Hoeksema과 Morrow(1991)가 개발한 반추적 반응 척도(Ruminative Response...

      반추는 우울의 핵심적인 인지처리 과정으로 일컬어져 왔으며, 우울증의 발병과 유지 및 재발의 위험인자로서 알려져 있다. Nolen-Hoeksema과 Morrow(1991)가 개발한 반추적 반응 척도(Ruminative Response Scale, RRS)는 반추적 반응을 측정하는 가장 널리 쓰이는 도구로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반추적 반응 척도(K-RRS)를 정신과에 내원한 991명의 우울장애 환자군에 시행하였으며, 선행연구들에서 도출된 탐색적 요인 분석 모형들을 적용하여 한국의 우울집단에 가장 잘 부합하는 요인 모형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모형 비교 결과, 김소정 등(2010)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얻은 3요인 모형의 전반적인 모형 합치도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K-RRS가 자책과 숙고, 우울반추의 3요인으로 가장 잘 설명되며, 이 같은 3요인 구조가 비임상 일반집단뿐만 아니라 우울장애 환자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살펴본 결과, K-RRS 문항 전체와 하위 요인들에서 적절한 내적 합치도를 나타내었으며, 부정적인 사고 내용과 우울, 불안과 관련하여 정적인 상관을 보인 반면 긍정적인 사고 내용과는 부적인 상관을 보이고 있어 구성 타당도도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K-RRS가 안정적인 구성 개념들로 이루어진 신뢰로운 척도로서 우울의 인지적 요소에 대한 연구에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umination has been considered as a cardinal cognitive process of depression which roles as a risk factor for the onset, maintenance and recurrence of depressive symptoms. Ruminative Response Scale(RRS) is the most widely known measurement of ruminati...

      Rumination has been considered as a cardinal cognitive process of depression which roles as a risk factor for the onset, maintenance and recurrence of depressive symptoms. Ruminative Response Scale(RRS) is the most widely known measurement of ruminative responses. RRS has shown good reliability and validity in various studies, though factor structure of RRS has been inconsistent throughout precedent studies. In the present study, K-RRS was administered to 991 clinically depressive patients(678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227 with depressive disorder not otherwise specified, and 86 with dysthymic disorder). Four competitive models which were drawn from precedent studies were adopted to find the best model of K-RRS for depressive patients. We found that Kim et al.(2010)'s 3 factor model based 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360 korean undergraduates was the best fitting model for the korean depressive sample. We found that K-RRS is best explained by the hierarchical 3 factor model which holds rumination as a superior factor, and reflection, self-reproach and depressive rumination as primary facto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방법
      • 연구 대상
      • 측정 도구
      • 연구 모형들
      • 요약
      • 방법
      • 연구 대상
      • 측정 도구
      • 연구 모형들
      • 자료 분석
      • 결과
      • K-RRS의 확인적 요인 분석
      • 구성타당도
      •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