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20세기 말에 발전한 담론인 장소 개념에 입각해 김구용 시를 분석한 것이다. 추상적인 공간에 인간의 실천이 가미되어 삶의 내용과 의미가 실릴 때 장소가 된다는 장소론은 장소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329469
2014
-
공간 ; 장소 ; 장소성 ; 장소 정체성 ; 무장소성 ; 장소의 파괴 ; 부조리한 장소 ; 장소 상실 ; 장소의 일시성 ; Kim Kuyong ; space ; place ; placeness ; place identity ; placelessness ; destruction of place ; standardization of urban landscape ; loss of place
810
KCI등재
학술저널
1-23(23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20세기 말에 발전한 담론인 장소 개념에 입각해 김구용 시를 분석한 것이다. 추상적인 공간에 인간의 실천이 가미되어 삶의 내용과 의미가 실릴 때 장소가 된다는 장소론은 장소성...
본 논문은 20세기 말에 발전한 담론인 장소 개념에 입각해 김구용 시를 분석한 것이다. 추상적인 공간에 인간의 실천이 가미되어 삶의 내용과 의미가 실릴 때 장소가 된다는 장소론은 장소성이나 장소 정체성으로 설명된다. 이것은 거주의 경험에 의해 장소에 대한 친밀감과 유대가 생길 때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산업화와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전통적인 장소성이 불가능해지고 장소가 그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게 되는 무장소성이 등장하게 된다. 장소의 상실이라고도 불리는 무장소성은 다양한 원인과 양상으로 전개된다. 김구용의 산문시는 특유의 산문성으로 인해 서사적 공간 설정이 많은데, 대부분이 전통적 장소성보다는 무장소성을 띠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은 김구용 시의 무장소성의 양상을 네가지로 살펴보고 있다. 전쟁으로 인한 폐허와 혼란이 보여주는 장소의 파괴, 상품화된 성이 모든 장소를 침범하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는 부조리한 장소화, 그리고 문명화, 획일화되는 도시에서의 장소 상실감과 이동하거나 스쳐 지나가는 것에 불과해진 장소의 일시성과 불안정성 등이다. 김구용 시의 무장소성은 불합리하고 부조리한 현대적 삶과 사유를 해명하는 유효한 기제가 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nalyzing Kim Kuyong's poems with the concept of the 'place/placelessness' which has been developed by geographic academics since 1970s. The “place” is only possible and different from the undefined space on the condition that some e...
This study is analyzing Kim Kuyong's poems with the concept of the 'place/placelessness' which has been developed by geographic academics since 1970s. The “place” is only possible and different from the undefined space on the condition that some extent familiarities and emotional ties exist.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made the traditional placeness increasingly impossible and made a way to placelessness, in which the place hardly functions. Kim Kuyong's prose poems presuppose kinds of narrative spaces, most of which are understood having the placelessness rather than the traditional placenes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our aspects of the placelessness in Kim Kuyong: the destruction of the places by the war, the deformation of the place to the level of absurdity by the commercialization of sex, the feeling of placelessness triggered by the standardization of urban landscapes, and the ephemeral and unstable nature of traffic spots. The placelessness in Kim Kuyong is understood seminal for the elucidation of the otherness of modern lif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동숙, "金丘庸의 텍스트 「消印」에 생성된 욕망의 系列化 양상"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9 (39): 363-387, 2011
2 홍신선, "현실중압과 산문시의 지향-김구용 시 해설" 솔 2000
3 장인수, "한국 초현실주의 시 연구" 성균관대학교 2007
4 유정이, "한국 전후 모더니즘 시 연구 : 신동문, 전봉건, 김구용 시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2008
5 홍순애, "초월적 세계와 산문성의 시학 - 김구용론" (여름) : 2005
6 정헌목, "전통적인 장소의 변화와 ‘비장소(non-place)’의 등장: 마르크 오제의 논의와 적용사례들을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소 19 (19): 107-141, 2013
7 김구용, "전집 1권 시, 2권 구곡, 3권 송백팔, 4권 구거" 솔출판사 2000
8 김현주,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114-, 2005
9 장인수, "일기를 통해 본 김구용 문학의 형성 과정" 반교어문학회 (35) : 289-316, 2013
10 송명희, "이상화 시의 장소와 장소상실" 한국시학회 (23) : 219-240, 2008
1 박동숙, "金丘庸의 텍스트 「消印」에 생성된 욕망의 系列化 양상"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9 (39): 363-387, 2011
2 홍신선, "현실중압과 산문시의 지향-김구용 시 해설" 솔 2000
3 장인수, "한국 초현실주의 시 연구" 성균관대학교 2007
4 유정이, "한국 전후 모더니즘 시 연구 : 신동문, 전봉건, 김구용 시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2008
5 홍순애, "초월적 세계와 산문성의 시학 - 김구용론" (여름) : 2005
6 정헌목, "전통적인 장소의 변화와 ‘비장소(non-place)’의 등장: 마르크 오제의 논의와 적용사례들을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소 19 (19): 107-141, 2013
7 김구용, "전집 1권 시, 2권 구곡, 3권 송백팔, 4권 구거" 솔출판사 2000
8 김현주,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114-, 2005
9 장인수, "일기를 통해 본 김구용 문학의 형성 과정" 반교어문학회 (35) : 289-316, 2013
10 송명희, "이상화 시의 장소와 장소상실" 한국시학회 (23) : 219-240, 2008
11 성기조, "시문학" 시문학사 1993
12 박찬일, "서로 다른 것의 공존, 혹은 분열 - 김구용의 「반수신의 독백」을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19 (19): 3-29, 2008
13 이수명, "김구용의 「소인(消印)」에 나타난 수금의식(囚禁意識) 연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7 (17): 141-159, 2013
14 민명자, "김구용의 산문시 고찰" 어문연구학회 49 : 329-360, 2005
15 이수명, "김구용의 「꿈의 이상(理想)」에 나타난 불교적 상상력"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7 (17): 101-118, 2013
16 이수명, "김구용 전쟁시에서의 절대적 타자"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1 (11): 225-248, 2007
17 김양희, "김구용 시의 환상성 연구 - 〈소인消印〉(1957) 연구" 한국언어문화학회 (52) : 29-55, 2013
18 박선영, "김구용 시의 입체성" 한국비평문학회 (18) : 175-199, 2004
19 민명자, "김구용 시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李箱 시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37 (37): 29-61, 2010
20 민명자, "김구용 시의 개작과정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36 (36): 7-38, 2009
21 조연정, "김구용 시에 나타난 자기(self)실현의 의미"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7 : 2002
22 박선영, "김구용 시에 나타난 근대 공간성 연구 ─ 시집 『시(詩)』를 중심으로 ─" 아시아문화연구소 29 : 123-134, 2013
23 김양희, "김구용 시 연구-1950년대 시를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25) : 195-226, 2009
24 이숙예, "김구용 시 연구 : 타자와 주체의 관계 양상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2007
25 민명자, "김구용 시 연구 : 시의 유형과 상상력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2007
26 박선영, "김구용 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2005
27 송승환, "김구용 산문시 연구 1 - 「소인(消印)」(1957)을 중심으로" 중앙어문학회 (52) : 361-384, 2012
28 송명희, "김광섭 후기 시에 나타난 장소 이미지와 생태적 상상력" 한국시학회 (32) : 61-86, 2011
29 Lefebvre, Henri, "공간의 생산" 에코리브르 71-, 2011
30 Tuan, Yi-Fu, "공간과 장소" 태림문화사 10-11, 1995
31 Augé, Marc, "Non-Places: Introduction to an Anthropology of Supermodernity" Verso 111-, 2013
하종오 시에 나타난 세계시민주의적 생태주의의 복잡성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5-04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문학논총외국어명 : Theses on Korean Literature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9 | 0.29 | 0.4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1 | 0.41 | 0.739 | 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