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적 구상’으로서의 1960-70년대 반(半)추상 회화 = Semi-abstract Paintings of the 1960s-70s as the “Korean Figurativ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1268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서양 화단은 이미 1960년대 초반부터 구상, 반(半)추상, 추상의 세 가지 양식 회화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그간 학계의 관심은 주로 1969년 국전에서의 구상과 비구상 부문 분리에만 집중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반추상’을 키워드로 삼아 1950-60년대 한국 미술계에 등장한 단체들인 모던아트협회, 창작미술협회, 신상회, 구상전 소속 작가들의 활동과 작품에 주목했다. 이로써 1940-50년대 처음 등장한 한국 반추상 회화가 1960-70년대에 이르러 사실주의 아카데미즘과 추상 사이에 존재하는 ‘현대적 구상’으로서 새롭게 그 정체성을 형성해 나간 과정, 그리고 그 특유의 한국성을 고찰해 보고자 했다. 본 연구는 나아가 1970년대 후반부터 한국 미술계에 등장한 ‘형상’이란 용어가 당대의 반추상 회화와 맺은 관계 역시 살펴봄으로써 이른바 ‘형상 미술’의 개념과 범위에 관련된 기존 한국 미술사 이해를 보완하고자 했다. 반추상이라는 개념이 회화에서 구현된 양상은 추상이 우리 땅에서 ‘한국적으로’ 정착되어 가는 과정에서 탄생한 특수성을 가장 선명히 드러낸 사례의 하나다. 또 반추상 화가들은 근대 이후 오랜 시간의 흐름 가운데서도 한국 회화가 잃지 않았던 향토성과 서정성을 당대적으로 변용하는데 충실했던 존재들이다. 추상과의 대립이 아닌 상호 균형 관계를 통해 현대적인 구상을 창조하려 한 반추상 회화의 행보를 통해, 우리는 한국 회화의 양식적 다양성과 그 역사의 다면성을 다시금 발견하게 된다.
      번역하기

      한국 서양 화단은 이미 1960년대 초반부터 구상, 반(半)추상, 추상의 세 가지 양식 회화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그간 학계의 관심은 주로 1969년 국전에서의 구상과 비구상 부문 분리에만 집중되...

      한국 서양 화단은 이미 1960년대 초반부터 구상, 반(半)추상, 추상의 세 가지 양식 회화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그간 학계의 관심은 주로 1969년 국전에서의 구상과 비구상 부문 분리에만 집중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반추상’을 키워드로 삼아 1950-60년대 한국 미술계에 등장한 단체들인 모던아트협회, 창작미술협회, 신상회, 구상전 소속 작가들의 활동과 작품에 주목했다. 이로써 1940-50년대 처음 등장한 한국 반추상 회화가 1960-70년대에 이르러 사실주의 아카데미즘과 추상 사이에 존재하는 ‘현대적 구상’으로서 새롭게 그 정체성을 형성해 나간 과정, 그리고 그 특유의 한국성을 고찰해 보고자 했다. 본 연구는 나아가 1970년대 후반부터 한국 미술계에 등장한 ‘형상’이란 용어가 당대의 반추상 회화와 맺은 관계 역시 살펴봄으로써 이른바 ‘형상 미술’의 개념과 범위에 관련된 기존 한국 미술사 이해를 보완하고자 했다. 반추상이라는 개념이 회화에서 구현된 양상은 추상이 우리 땅에서 ‘한국적으로’ 정착되어 가는 과정에서 탄생한 특수성을 가장 선명히 드러낸 사례의 하나다. 또 반추상 화가들은 근대 이후 오랜 시간의 흐름 가운데서도 한국 회화가 잃지 않았던 향토성과 서정성을 당대적으로 변용하는데 충실했던 존재들이다. 추상과의 대립이 아닌 상호 균형 관계를 통해 현대적인 구상을 창조하려 한 반추상 회화의 행보를 통해, 우리는 한국 회화의 양식적 다양성과 그 역사의 다면성을 다시금 발견하게 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uth Korea’s painting scene had already consisted of three schools by the early 1960s — figurative, semi-abstract, and abstract — but the academia’s interest has been concentrated on the incident of the National Art Exhibition separating works into figurative and non-figurative categories. Followingly, this paper took “semi-abstract” as the keyword and focused on the activities and works of artists who belonged to associations that emerged in the South Korean art scene in the 1950s-60s: Modern Art Society, Creative Art Association, New Form Society, and Gusangjeon. The paper reviewed the process of the semi-abstract painting movement, first appearing in the 1940s-50s, attaining a new identity by the 1960s-70s as a “modern figurative” positioned between realist academicism and abstractionism and its unique Koreanness. Further, the paper assessed the term “figure[hyungsang]” that emerged in the Korean art scene around the late 1970s and its relationship with contemporaneous semi-abstractionists to revamp the preexisting Korean art historical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nd range of “figurative art[hyungsang misul].” The realization of “semi-abstract” in painting is one of the most vivid examples of the uniquities born during abstract art’s “Koreanization,” its acclimatization to South Korea. Also, the semi-abstractionists were committed to concurrently transfiguring the locality and sentimentalism that Korea’s paintings never lost from the modern era onwards. The semi-abstract painting movement attempted to create a modern figurative through a mutually balanced relationship with abstractionism rather than opposition, and this trail allows us to rediscover the formal diversity of Korean painting and the multifacetedness of its history.
      번역하기

      South Korea’s painting scene had already consisted of three schools by the early 1960s — figurative, semi-abstract, and abstract — but the academia’s interest has been concentrated on the incident of the National Art Exhibition separating work...

      South Korea’s painting scene had already consisted of three schools by the early 1960s — figurative, semi-abstract, and abstract — but the academia’s interest has been concentrated on the incident of the National Art Exhibition separating works into figurative and non-figurative categories. Followingly, this paper took “semi-abstract” as the keyword and focused on the activities and works of artists who belonged to associations that emerged in the South Korean art scene in the 1950s-60s: Modern Art Society, Creative Art Association, New Form Society, and Gusangjeon. The paper reviewed the process of the semi-abstract painting movement, first appearing in the 1940s-50s, attaining a new identity by the 1960s-70s as a “modern figurative” positioned between realist academicism and abstractionism and its unique Koreanness. Further, the paper assessed the term “figure[hyungsang]” that emerged in the Korean art scene around the late 1970s and its relationship with contemporaneous semi-abstractionists to revamp the preexisting Korean art historical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nd range of “figurative art[hyungsang misul].” The realization of “semi-abstract” in painting is one of the most vivid examples of the uniquities born during abstract art’s “Koreanization,” its acclimatization to South Korea. Also, the semi-abstractionists were committed to concurrently transfiguring the locality and sentimentalism that Korea’s paintings never lost from the modern era onwards. The semi-abstract painting movement attempted to create a modern figurative through a mutually balanced relationship with abstractionism rather than opposition, and this trail allows us to rediscover the formal diversity of Korean painting and the multifacetedness of its histor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