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노인복지 수요예측을 위한 노인 인구의 공간적 분석 -GIS를 이용한 농촌인지적 접근- = Geographical Distributions of the Aged population in Korea - Rural-specific approach with GI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849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ged population in Korea, especially in rural areas, has been growing rapidly. The welfare for the rural elderly has become a major concern, however we don't have enough information about that population; we don't even have detailed demographics of it. The present research is aimed at; 1) investigating the tendency and changing geographical distributions of the rural elderly, and 2) introducing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s a useful tool in analyzing geographical distributions of the aged. The General Census Data from 1960 to 2000 was used to carry out this study. The major findings are; 1) There has been a gradual decrease in the rural population over the past 40 years, but this tendency has slowed down more recently; 2) It was observed that the 'oldest-old' group aged 85 years old and over has actuallly increased in rural areas faster than any other age group; 3) The changing patterns of the elderly population were different in metropolitan areas and rural areas. In brief, there are far more aged people, especially of the 'oldest-old' group and females in rural areas than those in urban areas. These population, the 'oldest-old' or females, are the most vulnerable and have the greatest need for social welfare and social services of different kinds.
      번역하기

      The aged population in Korea, especially in rural areas, has been growing rapidly. The welfare for the rural elderly has become a major concern, however we don't have enough information about that population; we don't even have detailed demographics o...

      The aged population in Korea, especially in rural areas, has been growing rapidly. The welfare for the rural elderly has become a major concern, however we don't have enough information about that population; we don't even have detailed demographics of it. The present research is aimed at; 1) investigating the tendency and changing geographical distributions of the rural elderly, and 2) introducing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s a useful tool in analyzing geographical distributions of the aged. The General Census Data from 1960 to 2000 was used to carry out this study. The major findings are; 1) There has been a gradual decrease in the rural population over the past 40 years, but this tendency has slowed down more recently; 2) It was observed that the 'oldest-old' group aged 85 years old and over has actuallly increased in rural areas faster than any other age group; 3) The changing patterns of the elderly population were different in metropolitan areas and rural areas. In brief, there are far more aged people, especially of the 'oldest-old' group and females in rural areas than those in urban areas. These population, the 'oldest-old' or females, are the most vulnerable and have the greatest need for social welfare and social services of different kind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진호, "한국의 인구이동 패턴변화와 수도권의 인구이동" 1-20, 1994

      2 김태헌, "한국농촌사회의 변천 농촌인구와 가족의 변화를 중심으로" 24 (24): 5-40, 2001

      3 성정혜, "한국 고령인구의 지리적 분포 및 연령구조 변동에 관한 분석" 1992

      4 이정재,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장수지역의 공간적 분석 박상철 편 한국의 100세인" 서울대 출판부 11-25, 2001

      5 최정숙, "장수인구의 지리적 분포와 장수지역의 지역적 특성" 24 (24): 78-86, 2002

      6 김남일, "인구이동과 지역단위별 농촌인구분포의 변화" 21 (21): 42-79, 1998

      7 김한중, "시간 공간적 변화에 따른 장수지수 결정요인의 특성" 45 (45): 116-126, 2001

      8 김두섭, "사망력 수준의 시ㆍ군별 편차 및 그 변화추이 1990-2000" 26 (26): 1-30, 2003

      9 김경덕, "농촌지역 인구이동: 실태, 요인, 전망(내부 토의용 논문)." 2003

      10 김태헌, "농촌인구의 특성과 그 변화 1960-1995 인구구성 및 인구이동" 19 (19): 77-105, 1996

      1 최진호, "한국의 인구이동 패턴변화와 수도권의 인구이동" 1-20, 1994

      2 김태헌, "한국농촌사회의 변천 농촌인구와 가족의 변화를 중심으로" 24 (24): 5-40, 2001

      3 성정혜, "한국 고령인구의 지리적 분포 및 연령구조 변동에 관한 분석" 1992

      4 이정재,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장수지역의 공간적 분석 박상철 편 한국의 100세인" 서울대 출판부 11-25, 2001

      5 최정숙, "장수인구의 지리적 분포와 장수지역의 지역적 특성" 24 (24): 78-86, 2002

      6 김남일, "인구이동과 지역단위별 농촌인구분포의 변화" 21 (21): 42-79, 1998

      7 김한중, "시간 공간적 변화에 따른 장수지수 결정요인의 특성" 45 (45): 116-126, 2001

      8 김두섭, "사망력 수준의 시ㆍ군별 편차 및 그 변화추이 1990-2000" 26 (26): 1-30, 2003

      9 김경덕, "농촌지역 인구이동: 실태, 요인, 전망(내부 토의용 논문)." 2003

      10 김태헌, "농촌인구의 특성과 그 변화 1960-1995 인구구성 및 인구이동" 19 (19): 77-105, 1996

      11 박대식 박경철, "농촌 지역사회의 변화 동향과 전망 -인구구조의 변화를 중심으로-" 2003

      12 은기수, "노인문제 : 노령화와 노인들에 대한 이해, 권태환 외 편. 전환기 한국사회 문제" 민음사 1996

      13 정남수ㆍ, "노령화사회에 대비한 농촌지역 장수도의 정의 및 장수지역 기준마련에 관한 연구" 9 (9): 35-39, 2003

      14 김태헌, "고령인구 증가에 따른 사회적 충격" 1-31, 2004

      15 Jackson SA, "The relation of residential segregation to all-cause mortalit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0 : 615-617, 2000

      16 Ishikawa Y, "Population geography with GIS in Japan" 52 (52): 189-194, 2000

      17 김계현, "GIS 개론" 대영사 2000

      18 Yano K, "GIS and quantitative geography" 52 (52): 173-180,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7 0.7 0.853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