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기혼 여성소비자의 사회계층과 건강상태 지각에 따른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728295

      • 저자
      • 발행사항

        울산: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2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2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울산

      • 기타서명

        A study on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according to social status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f married women

      • 형태사항

        v, 53 p. : 표 ; 30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40-44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울산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terests of modern consumers on health are increasing, and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with a comprehensive concept that includes all consumption behaviors related to physical health and mental health in addition to consumption behavior related to healthy dietary life is appearing.
      The purpose of study was to develop and verify the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scale that exist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health-oriented consumption behavior in order to solve each limitation. The study examined relation of social status,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and identified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ir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A survey was conducted married women of over 20 year old that used the survey company Now & Future. Total 500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treated with SPSS 19.0 Statistics program and analyzed in terms of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factor analysi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ental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scored the highest points with the mean of 3.37 in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The healthy dietary life 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was mean of 3.19 and physical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was the lowest with the mean of 2.58.
      Second, for social status which is the major variable of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the most of research targets belonged to middle class. There was high rate of consumers who perceive themselves as relatively healthy.
      Third, the difference in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was examined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 As a result,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was much conducted by the group whose age was from 55 to 65, the group with the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of over 4 million won, the group with the average monthly expenditure of over 500,000 won on health related consumption, a group that has higher than university for oneself and one’s spouse, and employed housewives. The correlation in social status,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was examined. As a result, the higher social status they had, the more perceived themselves they were healthy, the more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they engaged in.
      Fourth, the relative influences of the variable on the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older age, the higher objective and subjective social status they had, the more physical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they engaged in. In addition, the older age, the more religion they had, the higher objective and subjective social status they had, the more they perceived healthy by comparing with other people of the same age group, the more mental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they engaged in. Finally, the older age, the higher subjective social status they had, the more perceived themselves that they were healthy, the more healthy dietary life 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they engaged in.
      This study provided the basic data for a consumer education that lead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to help consumers to become healthy. It also contributed to improvement of consumer welfare by suggesting experience-based data for policy support of the government and marketing strategy of a company in order to make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a way of life.
      번역하기

      Interests of modern consumers on health are increasing, and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with a comprehensive concept that includes all consumption behaviors related to physical health and mental health in addition to consumption behavior rela...

      Interests of modern consumers on health are increasing, and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with a comprehensive concept that includes all consumption behaviors related to physical health and mental health in addition to consumption behavior related to healthy dietary life is appearing.
      The purpose of study was to develop and verify the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scale that exist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health-oriented consumption behavior in order to solve each limitation. The study examined relation of social status,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and identified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ir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A survey was conducted married women of over 20 year old that used the survey company Now & Future. Total 500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treated with SPSS 19.0 Statistics program and analyzed in terms of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factor analysi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ental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scored the highest points with the mean of 3.37 in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The healthy dietary life 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was mean of 3.19 and physical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was the lowest with the mean of 2.58.
      Second, for social status which is the major variable of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the most of research targets belonged to middle class. There was high rate of consumers who perceive themselves as relatively healthy.
      Third, the difference in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was examined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 As a result,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was much conducted by the group whose age was from 55 to 65, the group with the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of over 4 million won, the group with the average monthly expenditure of over 500,000 won on health related consumption, a group that has higher than university for oneself and one’s spouse, and employed housewives. The correlation in social status,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was examined. As a result, the higher social status they had, the more perceived themselves they were healthy, the more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they engaged in.
      Fourth, the relative influences of the variable on the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older age, the higher objective and subjective social status they had, the more physical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they engaged in. In addition, the older age, the more religion they had, the higher objective and subjective social status they had, the more they perceived healthy by comparing with other people of the same age group, the more mental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they engaged in. Finally, the older age, the higher subjective social status they had, the more perceived themselves that they were healthy, the more healthy dietary life 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they engaged in.
      This study provided the basic data for a consumer education that lead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to help consumers to become healthy. It also contributed to improvement of consumer welfare by suggesting experience-based data for policy support of the government and marketing strategy of a company in order to make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a way of lif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건강한 식생활과 관련한 소비행동 뿐만 아니라 육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등과 관련한 모든 소비행동을 포함한 포괄적인 개념의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건강증진행위와 건강 관련 소비행동에 대한 각각의 한계점을 해결하고자 이를 동시에 적용한 개념인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의 척도를 개발 및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사회계층과 건강상태 지각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 전문업체 나우앤푸처(now&future)에서 전국의 만 20세 이상의 기혼 여성만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총 500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Statistics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요인분석, t-test와 분산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의 일반적 경향은 정신적 건강추구소비생활이 평균 3.37점으로 가장 높게 수행하고 있었으며, 건강한 식생활추구소비생활이 평균 3.19점, 육체적 건강추구소비생활이 평균 2.58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의 주요 변수인 사회계층은 중층에 속하는 조사대상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상태 지각은 자신을 비교적 건강하다고 지각하는 소비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 인구학적 변수에 따른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을 살펴본 결과,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은 55세 이상 65세 미만 집단, 종교가 있는 집단, 월평균 가계소득이 400만원 이상 집단이 월평균 건강관련 소비지출이 50만원 이상 집단이, 학력과 배우자 학력이 대학교 이상의 높은 집단이, 취업주부일 경우 높은 수준으로 행하고 있었다. 사회계층 및 건강상태 지각과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사회계층이 높을수록 자신이 건강하다고 지각할수록 건강추구소비생활을 높게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관련변인과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육체적 건강추구소비생활은 나이가 많을수록, 객관적 사회계층과 주관적 사회계층이 높을수록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적 추구소비생활은 나이가 많을수록 종교를 가질수록 객관적, 주관적 사회계층이 높을수록 같은 연령대 다른 사람과 비교시 자신이 건강하다고 지각할수록, 높게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건강한 식생활추구소비생활은 나이가 많을수록, 주관적 사회계층이 높을수록, 자신이 현재 건강하다고 지각 할수록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건강한 소비자로 성장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건강추구소비생활을 이끌 수 있는 소비자교육의 기초자료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건강추구소비생활을 생활화 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정책적 지원 및 기업의 마케팅전략에 있어 경험적 근거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소비자복지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현대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건강한 식생활과 관련한 소비행동 뿐만 아니라 육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등과 관련한 모든 소비행동을 포함한 포괄적인 ...

      현대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건강한 식생활과 관련한 소비행동 뿐만 아니라 육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등과 관련한 모든 소비행동을 포함한 포괄적인 개념의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건강증진행위와 건강 관련 소비행동에 대한 각각의 한계점을 해결하고자 이를 동시에 적용한 개념인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의 척도를 개발 및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사회계층과 건강상태 지각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 전문업체 나우앤푸처(now&future)에서 전국의 만 20세 이상의 기혼 여성만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총 500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Statistics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요인분석, t-test와 분산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의 일반적 경향은 정신적 건강추구소비생활이 평균 3.37점으로 가장 높게 수행하고 있었으며, 건강한 식생활추구소비생활이 평균 3.19점, 육체적 건강추구소비생활이 평균 2.58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의 주요 변수인 사회계층은 중층에 속하는 조사대상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상태 지각은 자신을 비교적 건강하다고 지각하는 소비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 인구학적 변수에 따른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을 살펴본 결과,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은 55세 이상 65세 미만 집단, 종교가 있는 집단, 월평균 가계소득이 400만원 이상 집단이 월평균 건강관련 소비지출이 50만원 이상 집단이, 학력과 배우자 학력이 대학교 이상의 높은 집단이, 취업주부일 경우 높은 수준으로 행하고 있었다. 사회계층 및 건강상태 지각과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사회계층이 높을수록 자신이 건강하다고 지각할수록 건강추구소비생활을 높게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관련변인과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육체적 건강추구소비생활은 나이가 많을수록, 객관적 사회계층과 주관적 사회계층이 높을수록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적 추구소비생활은 나이가 많을수록 종교를 가질수록 객관적, 주관적 사회계층이 높을수록 같은 연령대 다른 사람과 비교시 자신이 건강하다고 지각할수록, 높게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건강한 식생활추구소비생활은 나이가 많을수록, 주관적 사회계층이 높을수록, 자신이 현재 건강하다고 지각 할수록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건강한 소비자로 성장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건강추구소비생활을 이끌 수 있는 소비자교육의 기초자료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건강추구소비생활을 생활화 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정책적 지원 및 기업의 마케팅전략에 있어 경험적 근거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소비자복지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문제의 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 1
      • Ⅱ. 이론적 배경 = 4
      • 1.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의 개념과 척도 = 4
      • 1) 건강증진 행위 및 건강증진생활양식 = 4
      • Ⅰ. 서론 = 1
      • 1. 문제의 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 1
      • Ⅱ. 이론적 배경 = 4
      • 1.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의 개념과 척도 = 4
      • 1) 건강증진 행위 및 건강증진생활양식 = 4
      • 2) 건강 관련 소비행동 = 6
      • 3)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 개념 및 측정 = 7
      • 2.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의 관련 변수 = 8
      • 1) 사회계층 = 8
      • 2) 건강상태 지각 = 9
      • 3. 사회계층의 개념과 측정 방법 = 11
      • 4. 건강상태 지각 개념과 측정방법 = 13
      • Ⅲ. 연구모형 및 연구문제 = 15
      • 1. 연구모형 = 15
      • 2. 연구문제 = 15
      • Ⅳ. 연구방법 = 16
      • 1. 척도의 구성 및 내용 = 16
      • 1) 사회계층 = 16
      • 2) 건강상태 지각 = 18
      • 3)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 = 19
      • 2.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 21
      • 3.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2
      • Ⅴ. 연구결과 및 해석 = 24
      • 1. 기혼 여성소비자의 사회계층 및 건강상태 지각과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의 일반적 경향 = 24
      • 1) 기혼 여성소비자의 사회계층 = 24
      • 2) 건강상태 지각의 일반적 경향 = 26
      • 3)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에 대한 일반적 경향 = 27
      • 2. 기혼 여성소비자의 사회 인구학적 변수에 따른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의 차이 = 29
      • 3. 기혼 여성소비자의 사회계층 및 건강상태 지각과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의 상관관계 = 31
      • 1) 사회계층과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의 상관관계 = 31
      • 2) 건강상태 지각과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의 상관관계 = 32
      • 4.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 = 33
      • Ⅵ. 결론 및 제언 = 36
      • 1. 요약 및 결론 = 36
      • 1)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 관련 교육을 위한 제언 = 37
      • 2) 소비자들의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 활성화를 위한 여건조성을 위한 제언 = 38
      • 2.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 39
      • 참고문헌 = 40
      • 부록 = 4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