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미세먼지 처리한 비강상피세포와 사람혈관내피세포에서 보체활성화의 효과 = Effect of complement activation in primary nasal epithelial cells and human endothelial cells by urban particulate matt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3070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미세먼지가 인체에 노출되면 면역을 담당하는 세포가 이를 제거하여 인체를 방어하는 작용을 하는데, 이 과정에서 다양한 염증반응이 나타나 다양한 호흡기계, 심혈관계 질환 등이 유발 될 수 있다. 그러나 미세먼지가 다양한 조직에서 어떠한 기전을 통해 염증반응을 일으키는지에 대한 기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혈관내피세포는 혈액으로, 호흡기상피세포는 간질액에 둘러싸여 있어 혈청내 보체계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 보체계는 여러 오염물질이나 침입자에 반응하여 보체계를 활성화시켜 인체를 방어하는데, 저자가 알기에는 미세먼지에 노출되었을 때, 보체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미세먼지가 인간 호흡기상피세포나 인간 혈관내피세포에 노출되었을 때, 보체가 미세먼지에 의해 활성화된다면 숙주 세포에 손상을 가져다 줄 수도 있으며 다양한 염증반응을 일으킬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인간 호흡기상피세포와 혈관내피세포에 미세먼지에 어떠한 반응을 일으키는지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계획하였다. 미세먼지를 호흡기상피세포와 혈관내피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모두 alternative 경로를 통해 보체가 활성화 되었으며, 활성화 기전에는 활성산소발생이 주요하게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혈관내피세포에서는 보체활성화 이후, 세포사멸은 관찰되지 않고, 오히려 혈관내피세포의 유의한 증식이 관찰되었으며, 보체 성분중 C3a가 유의하게 증가하여 세포내 STAT3 신호전달체계를 활성화시켜 혈관 염증관련 물질인 CRP와 RBP4를 생산을 유도하였다. 호흡기상피세포에서는 혈관내피세포와는 다르게 보체활성화 이후, 유의한 세포증식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호중구를 유인하는 C-X-C motif chemokine ligand 1 (CXCL1)분비가 감소하고 수지상세포와 T-림프구를 유인하는 CCL20 분비를 증가하였다.
      번역하기

      미세먼지가 인체에 노출되면 면역을 담당하는 세포가 이를 제거하여 인체를 방어하는 작용을 하는데, 이 과정에서 다양한 염증반응이 나타나 다양한 호흡기계, 심혈관계 질환 등이 유발 될 ...

      미세먼지가 인체에 노출되면 면역을 담당하는 세포가 이를 제거하여 인체를 방어하는 작용을 하는데, 이 과정에서 다양한 염증반응이 나타나 다양한 호흡기계, 심혈관계 질환 등이 유발 될 수 있다. 그러나 미세먼지가 다양한 조직에서 어떠한 기전을 통해 염증반응을 일으키는지에 대한 기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혈관내피세포는 혈액으로, 호흡기상피세포는 간질액에 둘러싸여 있어 혈청내 보체계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 보체계는 여러 오염물질이나 침입자에 반응하여 보체계를 활성화시켜 인체를 방어하는데, 저자가 알기에는 미세먼지에 노출되었을 때, 보체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미세먼지가 인간 호흡기상피세포나 인간 혈관내피세포에 노출되었을 때, 보체가 미세먼지에 의해 활성화된다면 숙주 세포에 손상을 가져다 줄 수도 있으며 다양한 염증반응을 일으킬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인간 호흡기상피세포와 혈관내피세포에 미세먼지에 어떠한 반응을 일으키는지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계획하였다. 미세먼지를 호흡기상피세포와 혈관내피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모두 alternative 경로를 통해 보체가 활성화 되었으며, 활성화 기전에는 활성산소발생이 주요하게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혈관내피세포에서는 보체활성화 이후, 세포사멸은 관찰되지 않고, 오히려 혈관내피세포의 유의한 증식이 관찰되었으며, 보체 성분중 C3a가 유의하게 증가하여 세포내 STAT3 신호전달체계를 활성화시켜 혈관 염증관련 물질인 CRP와 RBP4를 생산을 유도하였다. 호흡기상피세포에서는 혈관내피세포와는 다르게 보체활성화 이후, 유의한 세포증식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호중구를 유인하는 C-X-C motif chemokine ligand 1 (CXCL1)분비가 감소하고 수지상세포와 T-림프구를 유인하는 CCL20 분비를 증가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Ⅱ. 재료 및 방법 = 5
      • Ⅲ. 결과 = 14
      • Ⅳ. 고찰 = 31
      • Ⅴ. 결론 = 36
      • Ⅰ. 서론 = 1
      • Ⅱ. 재료 및 방법 = 5
      • Ⅲ. 결과 = 14
      • Ⅳ. 고찰 = 31
      • Ⅴ. 결론 = 36
      • 참고문헌 = 37
      • Abstract = 44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Butturini EA , Carcereri de Prati A ,, "Mariotto S. Redox Regulat ion of STAT1 and STAT3 Signaling", 21 ( 19 ) :7034, 2020

      2 Ricklin D , Hajishengallis G , Yang K , Lambris JD ., "Complement : a key system for immune surveillance and homeostasis .", 11 ( 9 ) :785-97 ., 2010

      3 Sun Q , Hong X , Wold LE, "Cardiovascular effects of ambient par ticulate air pollution exposure", 29 ; 121 ( 25 ) :2755-65 ., 2010

      4 Thurman JM , Holers VM, "The central role of the alternative co mplement pathway in human disease", 176 ( 3 ) :1305-10 ., 2006

      5 Aust AE , Ball JC , Hu AA , Lighty JS , Smith KR et al, "Particle characteristics responsible for effects on human lung epithel ial cells .", 110 ) :1-65 ; disc ussion 67-76, 2002

      6 Xian M , Ma S , Wang K , Lou H , Wang Y et al ., "Particulate Matter 2.5 Causes Deficiency in Barrier Integrity in Human Nasal Ep ithelial Cells", 12 ( 1 ) :56 -71 ., 2020

      7 D'Ambrosio AL , Pinsky DJ , Connolly ES ., "The role of the comple ment cascade in ischemia/reperfusion injury : implications for neuroprotection .", 7 ( 6 ) :367-82 ., 2001

      8 Kadiiska MB , Mason RP , Dreher KL , Costa DL , Ghio AJ, "In vivo evidence of free radical formation in the rat lung after expo sure to an emission source air pollution particle", 10 ( 10 ) :1104-8 ., 1997

      9 Farjo KM , Farjo RA , Halsey S , Moiseyev G , Ma JX ., "Retinol-bind ing protein 4 induces inflammation in human endothelial cells by an NADPH oxidase- and nuclear factor kappa B-dependent an d retinol-independent mechanism", 32 ( 2 4 ) :5103-15 ., 2012

      1 Butturini EA , Carcereri de Prati A ,, "Mariotto S. Redox Regulat ion of STAT1 and STAT3 Signaling", 21 ( 19 ) :7034, 2020

      2 Ricklin D , Hajishengallis G , Yang K , Lambris JD ., "Complement : a key system for immune surveillance and homeostasis .", 11 ( 9 ) :785-97 ., 2010

      3 Sun Q , Hong X , Wold LE, "Cardiovascular effects of ambient par ticulate air pollution exposure", 29 ; 121 ( 25 ) :2755-65 ., 2010

      4 Thurman JM , Holers VM, "The central role of the alternative co mplement pathway in human disease", 176 ( 3 ) :1305-10 ., 2006

      5 Aust AE , Ball JC , Hu AA , Lighty JS , Smith KR et al, "Particle characteristics responsible for effects on human lung epithel ial cells .", 110 ) :1-65 ; disc ussion 67-76, 2002

      6 Xian M , Ma S , Wang K , Lou H , Wang Y et al ., "Particulate Matter 2.5 Causes Deficiency in Barrier Integrity in Human Nasal Ep ithelial Cells", 12 ( 1 ) :56 -71 ., 2020

      7 D'Ambrosio AL , Pinsky DJ , Connolly ES ., "The role of the comple ment cascade in ischemia/reperfusion injury : implications for neuroprotection .", 7 ( 6 ) :367-82 ., 2001

      8 Kadiiska MB , Mason RP , Dreher KL , Costa DL , Ghio AJ, "In vivo evidence of free radical formation in the rat lung after expo sure to an emission source air pollution particle", 10 ( 10 ) :1104-8 ., 1997

      9 Farjo KM , Farjo RA , Halsey S , Moiseyev G , Ma JX ., "Retinol-bind ing protein 4 induces inflammation in human endothelial cells by an NADPH oxidase- and nuclear factor kappa B-dependent an d retinol-independent mechanism", 32 ( 2 4 ) :5103-15 .,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