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 근대문학의 재생산 제도에 대한 시계열적 비교 분석: 1910~1940 ( - 작가와 독자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649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principle and operating features of the reproduction system of Korean modern literature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ime-series. The reproduction cycle of modern literature is composed of four systems such as lit...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principle and operating features of the reproduction system of Korean modern literature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ime-series. The reproduction cycle of modern literature is composed of four systems such as literary debut, authorization, enjoyment and reader-to-writer debut. The study adjusts the contents and meanings of each system and analyzes their mutual relations.
      Research and investigation on related materials were done simultaneously. The first work was to make a list of materials related with the reproduction system of modern literature. The four tasks on the materials like investigation, collection, classification and input were done in terms of media and time. The material collection in two volumes will be published. The materials provided an important basis for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production system of modern literature and its meanings in the literary histor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writer and the reader were the two prime motors of the reproduction system. The literary debut system made a literary field where the mutual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writer and the reader was established. In the 1910s to mid 1940s, the young people and students formed the main group of readers. The literary debut system linked the culture pursuit of the young people and students to literary aspiration. The literary debut system of some medium attempted to spread to the readers the 'literary idea' of a certain literary circle. But the medium's success or failure was mainly decided by the readers' habitus and capacity. The readers internalized the 'literariness' of literary texts, which, in turn, led to the reproduction of the writer through the change of the internalized to the engine of creative writing. Such process reflected the dynamics of the reproduction system of Korean modern literature.
      Second, the reproduction system gave birth to the power politics in the literary society. The change of hegemony among media directly influenced the ups and downs of the reproduction system, which caused the change of the main stream of the literary form. Literary criticism, which is a typical form of authorization, identified the borders between the writer, reader and genre basing on the literary thoughts and aesthetic principle. It also produced literary authority by establishing the internal hierarchy between the writer, reader and genre.
      Third, the advertisements of literary books and the censorship of the colonial authorities had influence on readers' habitus and literary enjoyment. The book advertisements distinguished high-grade literary art from popular literary art, which caused the division of readers' class and appearance of the hierarchy of aesthetic habitus. Censorship was an important index which could explain the colonial features of the reproduction system.
      The canonization of literary works was a system which aimed to idealize valuables of human community. In the late 1930s, the canonization began and secured its ideological basis from the idea of national literature. The literary works on the list of canonization are still recognized as authoritative texts for literary education.
      Consequently, the study discovered that the repetition of the reproduction cycle has formed the 'modernity' and ' literariness' of Korean modern literature and that the reproduction system still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systematic and aesthetic origin of Korean modern litera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한국 근대문학의 재생산제도에 대한 시계열적 비교 분석을 통해 재생산 제도의 작동 방식과 원리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근대문학의 재생산 회로를 구성하는 ...

      이 연구는 한국 근대문학의 재생산제도에 대한 시계열적 비교 분석을 통해 재생산 제도의 작동 방식과 원리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근대문학의 재생산 회로를 구성하는 ‘등단제도-승인제도-향유제도-등단(독자→작가)제도’의 연원을 탐색하고, 각 제도의 내용과 의미를 시기적·계열적으로 정리·통합하는 한편, 제도들 간의 상호 영향관계를 비교·분석하여 재생산 제도의 역동성을 조망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자료 작업과 연구 작업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자료 작업은 등단·승인·향유·등단(독자→작가)제도에 관련된 자료들의 목록을 작성하고, 매체별·시기별로 조사·수집·분류·입력하여 두 권의 자료집으로 발간하는 것이다. 연구 작업은 수집된 자료들을 기반으로 한국 근대문학의 재생산제도의 특성 및 그 문학사적 의미를 분석하는 연구 논문을 작성하는 것이다. 제1차 년도의 연구는 1910~20년대 등단·승인·향유·등단(독자→작가)제도 각각의 양상과 변화 및 문학사적 의미를 비교·분석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제2차 년도의 연구는 1930~40년대 각 제도의 실현양상과 변화과정을 분석하는 한편, 한국 근대문학의 재생산제도를 전체적인 관점에서 통합·조감하는 연구에 중점을 두었다.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근대문학의 재생산제도를 작동하는 중심 동력은 작가와 독자의 상호 영향관계에 있다. 등단제도는 식민지 시대의 주된 독자층이었던 청년·학생들의 ‘교양주의’를 문학적 욕망으로 견인해내는 기능을 하였다. 또한 특정 매체의 등단제도를 매개로 특정한 문학 그룹의 ‘문학’ 개념과 가치가 독자들에게 내면화되었다. 독자들의 심미적 취향과 감각, 문학적 수준은 출판 매체의 흥융을 규정하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또한 독자는 수용·향유한 문학 텍스트의 ‘문학성’을 내면화하고 이것을 창작의 동력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작가로 재생산되었으며, 이들 중 일부는 다시 매체 발행인이 되어 등단제도의 주체가 되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한국 근대문학 재생산제도의 역동성이 드러난다. 둘째, 근대문학 재생산제도는 식민지 시대 문학권력의 형성과 관련되어 있다. 현상문예→동인지→신춘문예로 이어지는 등단제도의 변화는 매체에 따른 문학권력의 변화 및 주류적인 문학 양식의 변화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비평이 월평, 합평회, 기획특집 등의 제도적 형식을 갖추고 비평으로서의 자기 정체성을 확립해가는 과정은 문학적 권위의 창출과 맞물려 있다. 비평은 ‘문학’의 고유한 개념과 가치, 미학적 원리를 기준으로 작가와 독자, 장르 간의 경계를 구분하고 작가와 독자의 내적 위계화를 실현함으로써 문학적 권위를 창출하였다. 셋째, 문학 장의 바깥에서 독자층의 문학적 향유와 미적 취향을 주조했던 요소로 매체에 의한 광고와 식민당국의 검열을 들 수 있다. 신문·잡지에 실린 책 광고는 대중적 통속물과 고급문예를 구분하고 이에 따라 독자층의 분화 및 미적 취향의 위계화가 이루어졌다. 식민지 시기 매체에 대한 검열의 기준과 영향력을 분석할 때, 식민 당국이 가장 경계했던 것은 사회주의 사상과 민족운동이 문학을 통해 결합되는 것이었으며 이에 대한 검열이 강화되는 것을 볼 수 있다. 1920년대 중반부터는 검열이 내면화됨으로써 매체 편집자에 의한 내부 검열이 시행되고 있다. 검열은 한국 근대문학 재생산제도의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