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교육기관별 초등과학영재와 과학우수아의 창의적 성향, 과제집착력,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차이를 비교하여 현재 영재학급의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151082
인천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학위논문(석사)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 과학영재교육 , 2016. 8
2016
한국어
인천
; 26 cm
지도교수: 여상인
I804:41085-00000230228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교육기관별 초등과학영재와 과학우수아의 창의적 성향, 과제집착력,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차이를 비교하여 현재 영재학급의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교육기관별 초등과학영재와 과학우수아의 창의적 성향, 과제집착력,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차이를 비교하여 현재 영재학급의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대상은 영재교육원에 선발된 5, 6학년 과학영재 54명, 영재학급에 선발된 5, 6학년 과학영재 237명, 과학우수아 242명을 포함하여 총 533명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창의적 성향, 과제집착력 및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검사를 실시한 후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PSS 20.0을 사용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학급 과학영재들은 과학우수아와 창의적 성향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영재교육원 과학영재에 비해 창의적 성향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둘째, 영재학급 과학영재들은 과학우수아와 과제집착력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영재교육원 과학영재에 비해 과제집착력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그리고 영재학급 과학영재의 과제집착력 평균이 과학우수아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다.
셋째, 영재학급 과학영재들은 과학우수아와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영재교육원 과학영재에 비해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과학영재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평균이 과학우수아보다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의 하위요소인 과학적 설명형에서는 세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종합해보면 영재학급 과학영재는 영재교육원 과학영재들에 비해 낮은 창의적 성향, 과제집착력,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을 보이지만 과학우수아와는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또한 영재학급 과학영재의 과제집착력,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점수의 평균은 과학우수아들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현재 영재학급 과학영재 선발 방식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로 인해 일반학급 학생 중에 영재성이 잠재되어 있는 학생 모두를 선발하지 못하고 있어 영재학급 선발 방식의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영재학급 수업과 더불어 일반학급에서도 학생들의 영재성을 길러줄 수 있는 개별학습 및 수업전략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