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연친화적 천연목재 수종별 강도특성 분석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540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천연목재의 내구성 측정을 위한 강도 특성에 관한 연구를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천연목재 꾸메아, 말라스, 멀바우, 이페를 대상으로 하였다. 시험 종류는 휨감도, 함 수율, 섬유방향 전단강도, 섬유방향 압축강도, 인장강도 로 하여 강도 특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부목도 시험하여 천연목재와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휨강도와 섬유방향 압축강도, 섬유방향 전단강 도는 꾸메아와 이페가 가장 높게 나오고 방부목이 낮게 도출되었다. 인장강도는 멀바우가 높게 나오고 방부목이 낮게 도출되었다. 결론: 천연목재 강도특성이 방부목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입증하였으며, 천 연목재의 활용이 건설현장의 품질 향상과 안전성 보강에 기여 할 수 있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천연목재의 내구성 측정을 위한 강도 특성에 관한 연구를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천연목재 꾸메아, 말라스, 멀바우, 이페를 대상으로 하였다. 시험 ...

      연구목적: 천연목재의 내구성 측정을 위한 강도 특성에 관한 연구를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천연목재 꾸메아, 말라스, 멀바우, 이페를 대상으로 하였다. 시험 종류는 휨감도, 함 수율, 섬유방향 전단강도, 섬유방향 압축강도, 인장강도 로 하여 강도 특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부목도 시험하여 천연목재와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휨강도와 섬유방향 압축강도, 섬유방향 전단강 도는 꾸메아와 이페가 가장 높게 나오고 방부목이 낮게 도출되었다. 인장강도는 멀바우가 높게 나오고 방부목이 낮게 도출되었다. 결론: 천연목재 강도특성이 방부목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입증하였으며, 천 연목재의 활용이 건설현장의 품질 향상과 안전성 보강에 기여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o conduct research on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natural wood to measure the durability of natural wood. Method: The most commonly used natural woods in the country, Kuméa, Malas, Mulbau, and Ife, were targeted. The purpose of the test is to identify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bending sensitivity, moisture content, fiber-oriented shear strength, fiber-oriented compressive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Preservative wood was also tested and compared with natural wood. Result: The flexural strength, fiber-oriented compressive strength, and fiber-oriented shear strength were derived from the highest in Kumea and Ife, and the low in the preservative wood. The tensile strength was derived from high Mulbau and low antiseptic wood. Conclusion: It has been proven that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natural wood are superior to that of preservative wood, and the use of natural wood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and reinforcing the safety of construction sites.
      번역하기

      Purpose: To conduct research on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natural wood to measure the durability of natural wood. Method: The most commonly used natural woods in the country, Kuméa, Malas, Mulbau, and Ife, were targeted. The purpose of the test...

      Purpose: To conduct research on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natural wood to measure the durability of natural wood. Method: The most commonly used natural woods in the country, Kuméa, Malas, Mulbau, and Ife, were targeted. The purpose of the test is to identify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bending sensitivity, moisture content, fiber-oriented shear strength, fiber-oriented compressive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Preservative wood was also tested and compared with natural wood. Result: The flexural strength, fiber-oriented compressive strength, and fiber-oriented shear strength were derived from the highest in Kumea and Ife, and the low in the preservative wood. The tensile strength was derived from high Mulbau and low antiseptic wood. Conclusion: It has been proven that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natural wood are superior to that of preservative wood, and the use of natural wood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and reinforcing the safety of construction sit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요약
      • 서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연구의 중요성
      • ABSTRACT
      • 요약
      • 서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연구의 중요성
      • 천연목재 설명
      • 천연목재의 물리적 특징
      • 천연목재의 수종별 특징
      • 천연목재 데크재 기준
      • 연구 방법
      • 연구 범위
      • 시험 방법
      • 시험 설명
      • 연구 결과
      • 천연목재 수종별 시험 결과
      • 연구 항목별 시험 결과
      • 시험 총괄표
      • 연구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