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동화수준과 자동화교육 수요간의 영향관계분석 = Analysis of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Automation Level and Demand for Automation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037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impact of automation level on the demand for automation-related training programs in manufacturing firms. To this end, this study utilizes the results of a sub-survey of the Korea Institute of Advanced Technology(KIAT)'s 2022 Industrial Technology Manpower Supply and Demand Survey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automation and the demand for automation-related training programs among workers. While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quantitative research on human resources such as job creation, job discovery, and new recruitment due to automation,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of empirically analyzing the demand for training programs necessary to improve the job skills of incumbents.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t suggests that companies promoting automation need to identify and support the demand for related training programs when introducing autom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impact of automation level on the demand for automation-related training programs in manufacturing firms. To this end, this study utilizes the results of a sub-survey of the Korea Institute of Advanced Te...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impact of automation level on the demand for automation-related training programs in manufacturing firms. To this end, this study utilizes the results of a sub-survey of the Korea Institute of Advanced Technology(KIAT)'s 2022 Industrial Technology Manpower Supply and Demand Survey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automation and the demand for automation-related training programs among workers. While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quantitative research on human resources such as job creation, job discovery, and new recruitment due to automation,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of empirically analyzing the demand for training programs necessary to improve the job skills of incumbents.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t suggests that companies promoting automation need to identify and support the demand for related training programs when introducing autom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근복, "행정정보시스템의 성과평가" 131-160, 2000

      2 남재욱 ; 이다미, "한국에서 ‘좋은’ 시간제 일자리는 가능한가?" 한국사회정책학회 27 (27): 187-211, 2020

      3 김안국, "한국 기업의 교육훈련 결정요인-시장실패와 정부 개입을 중심으로-" 한국노동경제학회 31 (31): 105-133, 2008

      4 김주섭, "직업훈련 참가결정에 관한 연구" 2 (2): 81-100, 2002

      5 한국고용정보원,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2020-2030" 고용노동부 2002

      6 최계원 ; 이영민, "중소제조기업 교육훈련 투자 영향요인에 관한 분석" 한국기업교육학회 24 (24): 65-87, 2022

      7 백평구,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국내학술논문을 중심으로" 한국기업교육학회 18 (18): 267-299, 2016

      8 곽노학 ; 체렝후 ; 장석인, "중소기업 사내 교육훈련이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 향상에 미치는 영향" 산업진흥원 1 (1): 19-25, 2016

      9 임주환, "주요 혁신지원 기관들의 일터혁신 지원활동 분석" 35-47, 2019

      10 오진관 ; 조윤희 ; 임진희, "정부산하공공기관의 업무관리시스템 기능 사례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16 (16): 81-112, 2016

      1 강근복, "행정정보시스템의 성과평가" 131-160, 2000

      2 남재욱 ; 이다미, "한국에서 ‘좋은’ 시간제 일자리는 가능한가?" 한국사회정책학회 27 (27): 187-211, 2020

      3 김안국, "한국 기업의 교육훈련 결정요인-시장실패와 정부 개입을 중심으로-" 한국노동경제학회 31 (31): 105-133, 2008

      4 김주섭, "직업훈련 참가결정에 관한 연구" 2 (2): 81-100, 2002

      5 한국고용정보원,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2020-2030" 고용노동부 2002

      6 최계원 ; 이영민, "중소제조기업 교육훈련 투자 영향요인에 관한 분석" 한국기업교육학회 24 (24): 65-87, 2022

      7 백평구,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국내학술논문을 중심으로" 한국기업교육학회 18 (18): 267-299, 2016

      8 곽노학 ; 체렝후 ; 장석인, "중소기업 사내 교육훈련이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 향상에 미치는 영향" 산업진흥원 1 (1): 19-25, 2016

      9 임주환, "주요 혁신지원 기관들의 일터혁신 지원활동 분석" 35-47, 2019

      10 오진관 ; 조윤희 ; 임진희, "정부산하공공기관의 업무관리시스템 기능 사례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16 (16): 81-112, 2016

      11 노용진, "자동화와 근로시간 관행" 한국노동연구원 14 (14): 1-30, 2014

      12 노용진, "자동화기술과 작업조직" 한국노동연구원 12 (12): 1-26, 2012

      13 김은경, "자동화가 일자리 및 임금에 미치는 영향" 경기연구원 1-135, 2018

      14 옥지호 ; 박지성, "자동화 도입수준이 직종별 업무량에 미치는 영향 : 자동화 도입목적에 따른 탐색적 연구"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5 (25): 177-195, 2022

      15 노용진, "인적자원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향" 노동부 2005

      16 이상욱, "은행 서비스 업무 자동화와 고용 -외국은행과 국내은행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22 (22): 470-475, 2021

      17 유승갑 ; 이철규 ; 윤홍준, "실업자 직업훈련생의 교육훈련프로그램 특성과 훈련만족도 관계에 대한 개인적 특성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공학회 24 (24): 129-136, 2019

      18 손정민, "산업체 자동화의 고용 및 임금 효과: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비교" 산업연구원 3 (3): 31-63, 2019

      19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산업기술인력수급실태조사 2022" 산업통상자원부 2023

      20 이상현, "디지털 전환에 대응한 국내 제조혁신역량 분석과 정책과제" 1-209, 2019

      21 나인강, "기업의 훈련이 근로자의 인적자원성과 및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7 (17): 39-56, 2010

      22 김민경 ; 나인강, "교육훈련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교육훈련전이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한경영학회 25 (25): 2047-2064, 2012

      23 최명원, "교육훈련 투자가 이직률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다집단 분석" 한국기업교육학회 20 (20): 113-141, 2018

      24 홍길표, "공무원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19 (19): 95-116, 2006

      25 김우택, "공공부문의 스마트워크 품질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민간부문과의 비교"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2

      26 이송하 ; 전효정 ; 김태성, "공공부문의 사이버보안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정보보호학회 31 (31): 973-985, 2021

      27 Baldwin, T. T., "Transfer of Training : A Review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41 (41): 63-105, 1988

      28 Autor, D. H., "The Skill Content of Recent Technological Change : An Empirical Exploration" 118 (118): 1279-1333, 2003

      29 Ben Vermeulen, "The Impact of Automation on Employment: Just the Usual Structural Change?" MDPI AG 10 (10): 1661-, 2018

      30 Kaber, D. B., "The Effects of Level of Automation and Adaptive Automation on Human Performance, Situation Awareness and Workload in a Dynamic Control Task" 5 (5): 113-153, 2004

      31 Griesemer, J. R., "Microcomputers and Local Government : New Economics and New Opportunities" 44 (44): 57-59, 1984

      32 Munro, H., "Measuring Commitment to New Manufacturing Technology : Integrating Technological Push and Marketing Pull Concepts" 35 (35): 63-70, 1988

      33 Frohm, J., "Levels of Automation in Manufacturing" 30 (30): 1-36, 2008

      34 Endsley, M. R., "Level of Automation Effects on Performance, Situation Awareness and Workload in a Dynamic Control Ttask" 42 (42): 462-492, 1999

      35 Van Wart, M., "Handbook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Government" 276-297, 1998

      36 Stufflebeam, D. L., "Evaluation Models: Viewpoints on Educational and Human Services Evaluation" Springer Netherlands 2000

      37 Kaber, D. B., "Design of Automation for Telerobots and the Effect on Performance, Operator Situation Awareness, and Subjective Workload" 10 (10): 409-430, 2000

      38 Bessen, J., "Automation and Jobs : When Technology Boosts Employment" 34 (34): 589-626, 2019

      39 김영식, "AI와 고용, 경제성장, 불평등: 최근 문헌 개관과 정책 함의" 한국경제학회 12 (12): 1-34, 2019

      40 허재준, "4차 산업혁명이 일자리에 미치는 변화와 대응" 62-71,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