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주간의 복합운동이 비만중년여성의 비스파틴(Visfatin),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과 상관관계 분석 = The Analysis of Correlation and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Training on Visfatin and Blood Lipids in Middle Aged Wom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994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Visfatin is a recently identified adipocytokine, and its role in response to exercise in human is not known. It has been reported that visfatin functions in a similar manner to that of insulin. Blood-serum concentrations are increased in p...

      Background: Visfatin is a recently identified adipocytokine, and its role in response to exercise in human is not known. It has been reported that visfatin functions in a similar manner to that of insulin. Blood-serum concentrations are increased in patients with obesity and diabetes.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whether plasma visfatin is altered by combined exercise training in middle aged women.
      Methods: Fasting plasma visfatin concentration was measured in ten middle aged women who participated in a supervised combined exercise program (60 min/day, 60~70% heart rate reserve and 10 RM/ 3 set for 30 min, 3 days/week) for 12 weeks. Twelve women were served as controls. We measured visfatin, free fatty acid,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glucose, insulin, and homeostasis model assessment-insulin resistance (HOMA-IR) before and after 12 weeks of exercise. Repeated measure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f within/inter group and before/after training. Pearson correlations were calcula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isfatin and other variables(P<0.05)Results: Twelve weeks of combined exercise has positive effect significantly on body weight, % body fat,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total cholesterol, and free fatty acid (P<0.05), but body mass index and glucose only showed interaction of time and group(P<0.05). Also,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t change in visfatin and triglyceride. The changes of visfatin before/after 12 weeks of combined exercise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changes of glucose(r=-0.634, P=0.049) and triglyceride (r=-0.663, P=0.037), but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r=0.735, P=0.015).
      Conclusions: This study concluded that 12 weeks combined exercise training improved body composition and lipid profiles in middle aged women. However, blood visfatin level had no significant change. The experimental comparative study with diverse exercise intensity and method seems to be need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and visfati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비스파틴은 인간의 경우 피하지방과 내장지방 조직에 풍부히 존재하며, 특히 비스파틴은 비만과 인슐린 저항성과 같은 대사 질환의 발달과 관련된 중요한 요소로 주목받고 있는 ...

      연구배경: 비스파틴은 인간의 경우 피하지방과 내장지방 조직에 풍부히 존재하며, 특히 비스파틴은 비만과 인슐린 저항성과 같은 대사 질환의 발달과 관련된 중요한 요소로 주목받고 있는 새로운 생리활성물질이다. 중년여성의 시기에는 복부지방이 증가하고 비만의 유병률이 증가하며, 근육량의 감소도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복합운동을 통한 비스파틴의 반응과 관계를 규명하는 것은 비만 개선을 위한 운동방법적인 측면에서 운동처방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미있는 접근으로 판단된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10명의 중년여성들이 3개월 동안 주 3일, 하루 1시간씩 복합운동을 실시하였다. 복합운동 중 유산소 운동은 트레드밀에서 예비심박수의 60~70%의 강도로 30분간 실시하도록 하였고, 웨이트 트레이닝은 대근육을 중심으로 10RM의 중량으로 3세트씩 30분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고 일상생활을 유지하는 통제군 12명을 무선할당으로 분류하여, 총 22명의 중년여성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12주 운동훈련 전⋅후에 각각 혈중 비스파틴, 유리지방산,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혈당, 인슐린, 인슐린 저항성 지수(HOMA-IR)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결과 값의 집단 내⋅간 운동 전⋅후의 효과 검증을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비스파틴과 다른 변인들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피어슨의 적률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12주 동안의 복합운동은 중년여성의 체중, 체지방율,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총콜레스테롤, 유리지방산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었고(P<0.05), 체질량지수와 혈당은 시간과 그룹간의 상호작용 효과만 나타내었으며(P<0.05), 비스파틴과 중성지방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또한 12주 동안의 복합운동 전⋅후 혈중 비스파틴의 변화량은 혈당(r=-0.634, P=0.049)과 중성지방(r=-0.663, P=0.037)의 변화량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r=0.735, P=0.015)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 12주 동안의 복합운동은 중년여성의 신체조성과 혈중지질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혈중 비스파틴에는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추후 운동과 비스파틴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 다양한 운동강도와 방법에 따른 비교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Fukuhara A, "Visfatin: a protein secreted by visceral fat that mimics the effects of insulin" 307 : 426-430, 2005

      2 Poehlman ET, "The impact of food intake and exercise on energy expenditure" 47 : 127-137, 1989

      3 Ballor DL, "Resistance weight training during caloric restriction enhaces lean body weight maintenance" 47 (47): 19-25, 1988

      4 Haider DG, "Increased plasma visfatin concentrations in morbidlyobese subjects are reduced after gastric banding" 91 (91): 1578-1581, 2006

      5 Krzyzanowska K, "Increase in visfatin after weight loss induced by gastroplastic surgery" 14 (14): 1886-1889, 2006

      6 Kralisch SJ, "Hormonal regulation of the novel adipocytokine visfatin in 3T3-L1 adipocytes" 185 (185): 1-8, 2005

      7 Haider DG, "Exercise training lowers plasma visfatin concentration in patients with type 1 diabetes" 91 (91): 4702-4704, 2006

      8 Esposito K, "Effect of weight loss and lifestyle changes on vascular inflammatory markers in obese women" 289 : 1799-1804, 2003

      9 Choi KM, "Effect of exercise training on plasma visfatin and eotaxin levels" 157 (157): 437-442, 2007

      10 Haus JM, "Decreased visfatin after exercise training correlates with improved glucose tolerance" 41 (41): 1255-1260, 2009

      1 Fukuhara A, "Visfatin: a protein secreted by visceral fat that mimics the effects of insulin" 307 : 426-430, 2005

      2 Poehlman ET, "The impact of food intake and exercise on energy expenditure" 47 : 127-137, 1989

      3 Ballor DL, "Resistance weight training during caloric restriction enhaces lean body weight maintenance" 47 (47): 19-25, 1988

      4 Haider DG, "Increased plasma visfatin concentrations in morbidlyobese subjects are reduced after gastric banding" 91 (91): 1578-1581, 2006

      5 Krzyzanowska K, "Increase in visfatin after weight loss induced by gastroplastic surgery" 14 (14): 1886-1889, 2006

      6 Kralisch SJ, "Hormonal regulation of the novel adipocytokine visfatin in 3T3-L1 adipocytes" 185 (185): 1-8, 2005

      7 Haider DG, "Exercise training lowers plasma visfatin concentration in patients with type 1 diabetes" 91 (91): 4702-4704, 2006

      8 Esposito K, "Effect of weight loss and lifestyle changes on vascular inflammatory markers in obese women" 289 : 1799-1804, 2003

      9 Choi KM, "Effect of exercise training on plasma visfatin and eotaxin levels" 157 (157): 437-442, 2007

      10 Haus JM, "Decreased visfatin after exercise training correlates with improved glucose tolerance" 41 (41): 1255-1260, 2009

      11 Havel PJ, "Control of energy homeostasis and insulin action by adipocyte hormones: leptin, acylation stimulating protein, and adiponectin" 13 (13): 51-59, 2002

      12 Pascot A, "Age-related increase in visceral adipose tissueand body fat and the metabolic risk profile of premenopausal women" 22 (22): 1471-1478, 1999

      13 Pittas AG, "Adipocytokines and insulin resistance" 89 (89): 447-452, 2004

      14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testing and prescript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1-11-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5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4 0.80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