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학주, "혼례놀이 신랑다루기의 전승의의와 관광자원화 방안" 2015 (2015): 269-282, 2015
2 김만태, "현대 세시풍속에서 민속놀이의 존재 양상과 향후 전망-대구․경북 지방을 중심으로-" 비교민속학회 (42) : 333-362, 2010
3 고호석, "한류문화콘텐츠와 방문가치, 행동의도와의 구조적 관계 연구 - 2014 부산지역 일본인 관광객을 중심으로 -" 한국호텔리조트학회 14 (14): 235-257, 2015
4 조정옥, "한국전통음식 세계화에 따른 브랜드 전략 연구" 8 (8): 105-121, 2009
5 천덕희, "한국의 전통문화가 국가이미지와 한국여행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리조트학회 16 (16): 121-134, 2017
6 임동권, "한국세시풍속연구(韓國歲時風俗硏究)" 집문당 1985
7 김명자, "한국세시풍속Ⅰ" 민속원 2005
8 Duhyun Lee, "한국민속학개설" 일조각 2004
9 심승구, "한국 민속의 활용론과 문화콘텐츠 전략" 인문콘텐츠학회 (21) : 9-34, 2011
10 신미경, "한 ?중 ?일 세시풍속과 세시음식에 대한 비교"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8 (18): 277-293, 2008
1 이학주, "혼례놀이 신랑다루기의 전승의의와 관광자원화 방안" 2015 (2015): 269-282, 2015
2 김만태, "현대 세시풍속에서 민속놀이의 존재 양상과 향후 전망-대구․경북 지방을 중심으로-" 비교민속학회 (42) : 333-362, 2010
3 고호석, "한류문화콘텐츠와 방문가치, 행동의도와의 구조적 관계 연구 - 2014 부산지역 일본인 관광객을 중심으로 -" 한국호텔리조트학회 14 (14): 235-257, 2015
4 조정옥, "한국전통음식 세계화에 따른 브랜드 전략 연구" 8 (8): 105-121, 2009
5 천덕희, "한국의 전통문화가 국가이미지와 한국여행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리조트학회 16 (16): 121-134, 2017
6 임동권, "한국세시풍속연구(韓國歲時風俗硏究)" 집문당 1985
7 김명자, "한국세시풍속Ⅰ" 민속원 2005
8 Duhyun Lee, "한국민속학개설" 일조각 2004
9 심승구, "한국 민속의 활용론과 문화콘텐츠 전략" 인문콘텐츠학회 (21) : 9-34, 2011
10 신미경, "한 ?중 ?일 세시풍속과 세시음식에 대한 비교"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8 (18): 277-293, 2008
11 최정철, "프랑스의 디네 앙 블랑과 한국의 반보기"
12 송미경, "칠석 시회(詩會)의 세시풍속적 면모와 문화콘텐츠로서의 가능성"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38 : 155-179, 2017
13 김종성, "친정 못가는 딸들, 방죽에 몰려든 까닭 [한국의 아름다운 숲⑦] 전북 오수면 대정리 대말방죽숲"
14 박광희, "추석, 근친 그리고 반보기"
15 연합뉴스, "추석 연휴 공연 한 편 어때요"
16 이상훈, "창원, 한가위 맞아 곳곳서 ‘만남’ 민속축제"
17 국립민속박물관, "조선대세시기, 4권" 국립민속박물관 2003
18 국립민속박물관, "조선대세시기, 3권" 국립민속박물관 2003
19 국립민속박물관, "조선대세시기, 1권" 국립민속박물관 2003
20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제7책 충청북도편.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韓國民俗綜合調査報告書)" 1977
21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제6책 충청남도편.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韓國民俗綜合調査報告書)" 1976
22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제4책 경상북도편.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韓國民俗綜合調査報告書)" 1974
23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제3책 경상남도편.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韓國民俗綜合調査報告書)" 1972
24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제2책 전라북도편.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韓國民俗綜合調査報告書)" 1971
25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제1책 전라남도편.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韓國民俗綜合調査報告書)" 1969
26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제18책 예절편.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韓國民俗綜合調査報告書)" 1987
27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제15책 향토음식편.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韓國民俗綜合調査報告書)" 1984
28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제14책 무의식편(巫儀式篇).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韓國民俗綜合調査報告書)" 1983
29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제13책 농악·풍어제·민요편.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韓國民俗綜合調査報告書)" 1982
30 임재해, "절반만 가서 반보기, 눈이 적어 반보기" 34 (34): 82-83, 2003
31 이훈익, "인천 지방 향토 사담(仁川地方鄕土史談)"
32 윤경수, "윷놀이 기원 및 윷판과 세시풍속 연구-전통적 민속문화를 중심으로" 19 : 159-206, 2012
33 하정연,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세시풍속 프로그램 실천에 관한 문화기술적 탐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9 (9): 239-260, 2004
34 김기원, "숲속 활동 프로그램 작성을 위한 전통세시풍속의 발굴과 분류" 인간식물환경학회 13 (13): 117-131, 2010
35 김명자, "세시풍속의 전승과 현대화 방안 모색" 13 : 145-166, 2004
36 박석희, "세시풍속의 농촌관광 자원화 가능성과 방법" 11 (11): 74-90, 2004
37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세시풍속"
38 국립문화재연구소, "세시풍속"
39 김미성, "세계문화유산 방문객의 관광동기가 지각가치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호텔리조트학회 18 (18): 191-205, 2019
40 최정철, "성공을 Design하는 축제실전전략" 좋은땅 2017
41 정형호, "서천 남산장의 공간적 기능 변화 고찰: 집단 반보기, 사시(徙市) 공간의 의미를중심으로" 3 : 185-203, 1996
42 허영선, "부산, 경남지역의 전통혼례음식에 대한 인지도 연구" 7 (7): 131-145, 2008
43 심정보, "백제의 역사"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403-423, 1995
44 한국민속대백과사전, "반보기"
45 정명철, "문화선물세트, 세시풍속" 108 : 1-25, 2013
46 선종갑, "문화관광축제의 평가속성 만족을 활용한 시장세분화 - 마산 가고파국화축제를 대상으로 -" 한국호텔리조트학회 15 (15): 41-57, 2016
47 연합뉴스, "명절이 힘든 며느리 이야기… 조선시대 반보기 현장 ‘섦은 고개’"
48 이윤정, "명절과 여성은 늘 반목해야 하나?"
49 김영조, "딸과 어머니의 애틋한 만남 “반보기”"
50 장유승, "동국세시기 : 동아시아 문화의 보편성으로 조선의 풍속을 다시 보다" 아카넷 2016
51 이미경, "단절 위기 민속놀이의 전승 및 관광자원화 방안" 대한관광경영학회 29 (29): 119-137, 2014
52 정명철, "농촌지역 세시풍속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개발" 21 (21): 39-57, 2014
53 한국민속대백과사전, "농가월령가"
54 최화열, "남산골한옥마을 정월대보름축제의 민속과 문화관광 특징 고찰" 한국사진지리학회 26 (26): 73-87, 2016
5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근친"
56 이광진, "관광대상으로서 한국전통민속축제의 성격규정" 4 : 135-164, 1992
57 권영호, "경북지역 세시풍속의 계승방안" 영남문화연구원 (11) : 153-193, 2007
58 김숙귀, "경남 마산의 만날제 축제"
59 구난숙, "가을의 절식과 시식" 4 (4): 250-256, 2011
60 張籌根, "韓國의歲時風俗" 螢雪出版社 1984
61 한국민요학회, "韓國民謡學, 3호" 교문사 1995
62 전북일보, "[오목대] 추석과 반보기"
63 대한기독교서회, "[옛글나들이] 반보기" 221-, 2004
64 이해준, "[역사테마기행] 서해와 만난 금강하구의 문화" (25) : 126-137, 2003
65 김재현, "[시티투어] <32 청도> 유등연지 연잎 물결, 청도읍성 붉은 노을에 탄성… “청도의 밤을 거닐다”"
66 김정한, "[도시와 산] <26>부산 황령산"
67 박상영, "9월, 배려의 달"
68 김미동, "1993-2016년 신문기사를 통해 본 명절스트레스 양상에 대한 내용분석" 한국가족관계학회 22 (22): 107-134,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