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장 기반 중심 아동 안전관리 수업의 의미 탐색: 예비유아교사를 중심으로 = Exploring the Meaning of a Field-based Child Safety Management Class: Focused on Prospectiv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647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 of a field-based child safety management class for prospectiv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s The study period was from July to December 2021, and the participants were 61 prospectiv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took the child safety management class at a two-year college located in S city.
      The study participants received a field-based child safety management class for 3 hours once a week for 15 weeks, and their reflective journals, class performance improvement evaluation sheets, end-of-semester reflection sheets, and researcher journal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spective pre-primary teachers experienced “connecting theory and practice through field data,” “getting ideas for child safety classes through class case analysis,” “becoming a field-oriented teacher by inviting field experts,” and “enhancing child safety class competency through field-oriented class demonstrations.” Conclusions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field-based child safety management clas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educational significance.
      번역하기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 of a field-based child safety management class for prospectiv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s The study period was from July to December 2021, and the participants were 61 prospective pre-servi...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 of a field-based child safety management class for prospectiv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s The study period was from July to December 2021, and the participants were 61 prospectiv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took the child safety management class at a two-year college located in S city.
      The study participants received a field-based child safety management class for 3 hours once a week for 15 weeks, and their reflective journals, class performance improvement evaluation sheets, end-of-semester reflection sheets, and researcher journal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spective pre-primary teachers experienced “connecting theory and practice through field data,” “getting ideas for child safety classes through class case analysis,” “becoming a field-oriented teacher by inviting field experts,” and “enhancing child safety class competency through field-oriented class demonstrations.” Conclusions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field-based child safety management clas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educational significa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현장 기반 중심 아동 안전관리 수업의 의미를 분석하고자 했다.
      방법 연구기간은 2021년 7월부터 12월까지였으며, 연구 참여자는 S시에 소재한 2년제 대학의 아동 안전관리 강의를 수강하는예비유아교사 61명이었다.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현장 기반 중심 아동 안전관리 수업을 15주 동안 주1회 3시간 진행하였으며, 예비유아교사들의 반성적 저널, 수업 실연 개선 평가지, 학기말 성찰 기록지, 연구자 저널을 수집한 뒤 분석했다.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현장 기반 중심 아동 안전관리 수업을 통해 ‘현장 자료를 통해 이론과 실제 연결하기’, ‘수업 사례 분석을 통해아동 안전수업의 아이디어 얻기’, ‘현장전문가 초빙을 통해 현장 밀착형 교사되기’, ‘현장 탐방 수업을 통해 재난 안전의 중요성 깨닫기’, ‘현장 기반 수업 실연을 통해 아동 안전 수업 역량 강화하기’ 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현장 기반 중심의 아동 안전관리 수업은 교육적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현장 기반 중심 아동 안전관리 수업의 의미를 분석하고자 했다. 방법 연구기간은 2021년 7월부터 12월까지였으며, 연구 참여자는 S시에 소재한 2년...

      목적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현장 기반 중심 아동 안전관리 수업의 의미를 분석하고자 했다.
      방법 연구기간은 2021년 7월부터 12월까지였으며, 연구 참여자는 S시에 소재한 2년제 대학의 아동 안전관리 강의를 수강하는예비유아교사 61명이었다.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현장 기반 중심 아동 안전관리 수업을 15주 동안 주1회 3시간 진행하였으며, 예비유아교사들의 반성적 저널, 수업 실연 개선 평가지, 학기말 성찰 기록지, 연구자 저널을 수집한 뒤 분석했다.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현장 기반 중심 아동 안전관리 수업을 통해 ‘현장 자료를 통해 이론과 실제 연결하기’, ‘수업 사례 분석을 통해아동 안전수업의 아이디어 얻기’, ‘현장전문가 초빙을 통해 현장 밀착형 교사되기’, ‘현장 탐방 수업을 통해 재난 안전의 중요성 깨닫기’, ‘현장 기반 수업 실연을 통해 아동 안전 수업 역량 강화하기’ 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현장 기반 중심의 아동 안전관리 수업은 교육적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은주, "현장연계 기독교유아교육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및 변화과정 탐색"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1 (21): 33-67, 2017

      2 교육부,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

      3 권은주 ; 최윤정, "체계적인 모의수업 과정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사고변화 분석 - 유치원 하루 일과 모의수업을 중심으로 -"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57-82, 2010

      4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문음사 2006

      5 권미은, "장애유아 문제행동관련 수업사례활동이 예비유아특수교사의 교수효능감, 문제해결능력 그리고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5 (55): 1-24, 2016

      6 김수미,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국방안보연구소 4 (4): 107-116, 2020

      7 박진희, "유아안전교육 교과목의 PBL(Project-Based learning) 적용 사례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31 (31): 79-101, 2022

      8 배지희 ; 정효진 ; 이미경, "유아안전교육 관련 예비유아교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경험과 제안"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2 (22): 83-108, 2018

      9 곽현주 ; 박혜훈, "유아미술교육 강좌에서 실행한 구성주의 기반 e-아이디어 포트폴리오 활동경험의 교육적 의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2 (22): 5-33, 2018

      10 최민수 ; 강혜원,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안전교육 수업에 대한 토론 및평가가 예비유아교사의 안전 의지 및 실천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23 (23): 325-350, 2016

      1 박은주, "현장연계 기독교유아교육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및 변화과정 탐색"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1 (21): 33-67, 2017

      2 교육부,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

      3 권은주 ; 최윤정, "체계적인 모의수업 과정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사고변화 분석 - 유치원 하루 일과 모의수업을 중심으로 -"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57-82, 2010

      4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문음사 2006

      5 권미은, "장애유아 문제행동관련 수업사례활동이 예비유아특수교사의 교수효능감, 문제해결능력 그리고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5 (55): 1-24, 2016

      6 김수미,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국방안보연구소 4 (4): 107-116, 2020

      7 박진희, "유아안전교육 교과목의 PBL(Project-Based learning) 적용 사례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31 (31): 79-101, 2022

      8 배지희 ; 정효진 ; 이미경, "유아안전교육 관련 예비유아교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경험과 제안"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2 (22): 83-108, 2018

      9 곽현주 ; 박혜훈, "유아미술교육 강좌에서 실행한 구성주의 기반 e-아이디어 포트폴리오 활동경험의 교육적 의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2 (22): 5-33, 2018

      10 최민수 ; 강혜원,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안전교육 수업에 대한 토론 및평가가 예비유아교사의 안전 의지 및 실천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23 (23): 325-350, 2016

      11 배지희 ; 권경숙 ; 이사임 ; 이미선,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안전교육 실제와 교사의 어려움 및 요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223-248, 2015

      12 이세나 ; 김민정, "유아교육과 신입생을 위한 온라인 학습포트폴리오 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소명의식, 교사효능감, 그리고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28 (28): 141-163, 2021

      13 한두희 ; 정수일, "유아교육 기관에서의 안전관리와 안전교육 실태에 관한 실증적 연구 -인천지역의 유아교육 기관을 중심으로-" 대한안전경영과학회 11 (11): 7-14, 2009

      14 오재연 ; 김경란 ; 최선미, "유아교사의 유아안전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2 (22): 289-307, 2017

      15 김직호 ; 허린강, "유아교사의 안전지식과 안전행동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회 (96) : 219-235, 2016

      16 강민정 ; 한선아,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치원 안전교육 표준안에 대한 연구 : IPA기법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7 (17): 661-671, 2017

      17 한희경, "유아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수업에서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수업분석 능력 신장을 위한 실행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589-613, 2018

      18 김영실 ; 윤진주 ; 유수정, "유아 교통안전 교육에서 토의 중심과 시범 중심 교수법이 유아의 교통안전 지식 및 실천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397-419, 2009

      19 고선 ; 김민정, "예비유아교사의 온라인 플립러닝 유아안전교육 수업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 (20): 209-236, 2021

      20 이은형 ; 김정숙, "예비유아교사의 아동안전관리 PBL수업에 대한 긍정적 경험과 어려움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3 (23): 191-212, 2018

      21 장은주 ; 조혜선, "예비유아교사의 수업 전문성 증진을 위한 유치원 현장 연계형 모의수업에 대한 실행연구" 과학교육연구소 58 (58): 555-568, 2019

      22 박희숙, "예비유아교사의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수업역량 탐색" 한국육아지원학회 13 (13): 227-250, 2018

      23 서윤희,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수업비평을 활용한 반성적 모의수업 모형 개발" 한국유아교육학회 37 (37): 221-247, 2017

      24 권혜진, "예비 유아교사를 위한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 모듈 구성 및 적용 -안전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2 (12): 283-310, 2008

      25 권덕수, "아동 안전관리" 정민사 2020

      26 권혜진, "아동 안전관리" 창지사 2021

      27 유선영 ; 박은혜, "수업사례를 활용한 예비유아교사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교육학회 32 (32): 59-87, 2015

      28 김경란 ; 오재연 ; 박경, "생애주기별 안전교육 지도요소에 근거한 유아교사의 응급상황 안전지식과 수행수준 인식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3 (23): 177-204, 2018

      29 유구종 ; 한명옥, "상황중심 유아안전교육 수업모형 개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1 (21): 57-85, 2016

      30 고지민 ; 서혜정, "문제중심학습(PBL)기반 유아사회교육 교과목 운영에서 예비교사의 협력학습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2 (22): 7-42, 2018

      31 서윤희, "모의수업 과정에서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실천적 지식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19-47, 2015

      32 장은주 ; 조혜선, "마이크로티칭을 통한 전공 연계형 반성적 모의수업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에게 주는 의미 탐색" 과학교육연구소 57 (57): 577-588, 2018

      33 문수백 ; 이인숙, "동화 짓기 활동을 통한 유아안전교육이 유아들의 안전문제해결사고와 안전지식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 13 (13): 89-110, 2006

      34 최미숙 ; 김나래, "게임을 활용한 안전교육활동이 유아의 안전지식과 안전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4 (24): 201-223, 2020

      35 Cole, R. E., "We can teach young children fire safety" 59 (59): 14-18, 2004

      36 이미란 ; 홍순옥, "PBL 기반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윤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3 (23): 479-506, 2018

      37 Bales, D., "Health and Safety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 Guidelines for Curriculum Development" 82 (82): 132-138, 2006

      38 이미정 ; 오재연, "CIPP모형에 기초한 유아교육기관의 안전교육 실태와 요구도"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2 (22): 71-100, 2018

      39 교육부, "5주기 전문대학 교원양성 기관 역량진단 편람" 한국교육개발원 2020

      40 교육부, "2019 개정누리과정 해설서"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