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습 필자의 변인을 고려한 대학 작문의 교수-학습 모형 - 공학적 설계와 작문 원리의 연계를 중심으로 - = Teaching-Learning Model for College Writing considering Factor of Learning Writers - Focused on Connections of Engineering Design and Writing Principle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608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the college writing considering a factor of learning writers. Especially this study has a focus on connections the engineering design and the writing principles for the engineering college learning writer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confirms the fact that a study of the college writing must concern factors of the learner because the college writing’s aim is to get the conventions of scholastic community. Particularly the engineering design which are emphasized in the engineering college, could connect with the writing principles. So this study closely connects the each elements of the designing and writing process. As a result, this study makes the writing teaching-learning model based on the engineering design, by comparing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Capstone design and the principles of writing as a process of the problem solving. Concretely, the writing activities are suggested as per “the integration step of the design and writing” following below: <Define the problem> → <Generate Ideas and Choose solution by evaluation ⇄ Organize the idea> ⇄ <Draft collaboratively> ⇄ <Prototype and Test solution> ⇄ <Revise and Text Producing> And the applicable possibility of this model is examined by practicing it in a college writing clas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the college writing considering a factor of learning writers. Especially this study has a focus on connections the engineering design and the writing principles for the engineering c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the college writing considering a factor of learning writers. Especially this study has a focus on connections the engineering design and the writing principles for the engineering college learning writer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confirms the fact that a study of the college writing must concern factors of the learner because the college writing’s aim is to get the conventions of scholastic community. Particularly the engineering design which are emphasized in the engineering college, could connect with the writing principles. So this study closely connects the each elements of the designing and writing process. As a result, this study makes the writing teaching-learning model based on the engineering design, by comparing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Capstone design and the principles of writing as a process of the problem solving. Concretely, the writing activities are suggested as per “the integration step of the design and writing” following below: <Define the problem> → <Generate Ideas and Choose solution by evaluation ⇄ Organize the idea> ⇄ <Draft collaboratively> ⇄ <Prototype and Test solution> ⇄ <Revise and Text Producing> And the applicable possibility of this model is examined by practicing it in a college writing cla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학습 필자의 변인을 고려하여 대학 작문의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공과대학 학습자를 대상으로, ‘공학적 설계(engineering design)’와 ‘작문 원리’의 연계에 논의의 초점을 두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대학 작문은 학문 공동체의 관습을 체득하기 위한 목적을 지니므로 학습 필자의 변인을 고려해야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특히 공과대학에서 중시하는 공학적 설계와 작문 원리가 연계성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 설계 과정과 작문 과정을 비교하여 설계와 작문의 제 요소가 긴밀히 연계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였다. 그 결과 캡스톤 디자인의 교육적 적용 모형과 문제해결 과정으로서의 작문 원리를 비교하여, 공학적 설계 기반 작문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였다. 구체적으로 ‘<문제 확인하기> → <아이디어 탐색 및 평가를 통한 해결책 결정하기 ⇄ 아이디어 조직하기> ⇄ <협력적 초고쓰기> ⇄ <문제 해결 및 검증하기> ⇄ <고쳐쓰기 및 글 완성>’의 ‘설계-작문 통합 단계’를 제안하였고 각 단계별 활동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모형에 따른 대학 작문의 수업 사례를 통해 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학습 필자의 변인을 고려하여 대학 작문의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공과대학 학습자를 대상으로, ‘공학적 설계(engineering design)’와 ‘작문 원리’의 연계...

      이 연구는 학습 필자의 변인을 고려하여 대학 작문의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공과대학 학습자를 대상으로, ‘공학적 설계(engineering design)’와 ‘작문 원리’의 연계에 논의의 초점을 두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대학 작문은 학문 공동체의 관습을 체득하기 위한 목적을 지니므로 학습 필자의 변인을 고려해야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특히 공과대학에서 중시하는 공학적 설계와 작문 원리가 연계성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 설계 과정과 작문 과정을 비교하여 설계와 작문의 제 요소가 긴밀히 연계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였다. 그 결과 캡스톤 디자인의 교육적 적용 모형과 문제해결 과정으로서의 작문 원리를 비교하여, 공학적 설계 기반 작문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였다. 구체적으로 ‘<문제 확인하기> → <아이디어 탐색 및 평가를 통한 해결책 결정하기 ⇄ 아이디어 조직하기> ⇄ <협력적 초고쓰기> ⇄ <문제 해결 및 검증하기> ⇄ <고쳐쓰기 및 글 완성>’의 ‘설계-작문 통합 단계’를 제안하였고 각 단계별 활동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모형에 따른 대학 작문의 수업 사례를 통해 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진현, "캡스톤 디자인(Capstone Design)에 기초한 초등의 창의적 공학기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25 (25): 195-215, 2012

      2 이하원, "캡스톤 디자인 수업모형에 기초한 언어교수매체 제작 및 적용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27 (27): 355-366, 2018

      3 한순희, "캡스톤 디자인 교수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공학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519-527, 2017

      4 장은섭, "초·중·고등학생들의 쓰기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99) : 173-208, 2014

      5 이윤빈, "장르 인식 기반 대학 글쓰기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한국작문학회 (26) : 107-142, 2015

      6 이상원, "융합 기반 캡스톤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대한기계학회 143-144, 2012

      7 박영민, "우리나라 중등·대학 글쓰기 교육과정과 글쓰기 교재" 한국작문학회 (7) : 235-258, 2008

      8 박영민, "쓰기지도방법" 역락 2013

      9 이하원, "대학생용 핵심역량 진단 검사(K-CCCA)의 개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97-127, 2017

      10 원진숙, "대학생들의 학술적 글쓰기 능력 신장을 위한 작문 교육 방법" 민족어문학회 51 : 55-86, 2005

      1 정진현, "캡스톤 디자인(Capstone Design)에 기초한 초등의 창의적 공학기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25 (25): 195-215, 2012

      2 이하원, "캡스톤 디자인 수업모형에 기초한 언어교수매체 제작 및 적용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27 (27): 355-366, 2018

      3 한순희, "캡스톤 디자인 교수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공학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519-527, 2017

      4 장은섭, "초·중·고등학생들의 쓰기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99) : 173-208, 2014

      5 이윤빈, "장르 인식 기반 대학 글쓰기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한국작문학회 (26) : 107-142, 2015

      6 이상원, "융합 기반 캡스톤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대한기계학회 143-144, 2012

      7 박영민, "우리나라 중등·대학 글쓰기 교육과정과 글쓰기 교재" 한국작문학회 (7) : 235-258, 2008

      8 박영민, "쓰기지도방법" 역락 2013

      9 이하원, "대학생용 핵심역량 진단 검사(K-CCCA)의 개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97-127, 2017

      10 원진숙, "대학생들의 학술적 글쓰기 능력 신장을 위한 작문 교육 방법" 민족어문학회 51 : 55-86, 2005

      11 박정진, "대학생 필자의 쓰기 인식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3) : 33-55, 2017

      12 민병곤, "논증적 텍스트의 생산과정에서 논증 도식의 운용 양상에 대한 분석 및 교육적 시사" 국어교육학회 (18) : 183-222, 2003

      13 서영진, "논증적 상호 교섭 전략으로서 논증 도식 유형에 대한 연구 -국어 교과서의 ‘논증’ 교육 내용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바탕으로-" 국어교육학회 (41) : 473-504, 2011

      14 박인기, "글쓰기의 미래적 가치 - 글쓰기의 미래적 효능과 글쓰기 교육의 양태(mode) -" 한국작문학회 (20) : 9-36, 2014

      15 Flower, L., "글쓰기의 문제해결 전략" 동문선 1998

      16 최현섭, "국어교육학개론" 삼지원 2005

      17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

      18 허재영, "국어 쓰기 교육의 변천과 발전" 소통 2010

      19 김종문, "구성주의 교육학" 교육과학사 1998

      20 이효녕, "공학적 설계와 과학 탐구 과정 기반의 STEM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교육연구원 29 (29): 301-326, 2013

      21 권성규, "공학글쓰기 이해" 한국교양교육학회 9 (9): 269-308, 2015

      22 김혜경, "공학교육인증과 관련한 공학적 글쓰기 강의 모형 연구" 한국리터러시학회 1 : 243-271, 2010

      23 조희정, "공과대학 프로젝트형 글쓰기 상담 연구 -제안서와 결과보고서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41) : 613-642, 2011

      24 최건아, "고등학생의 쓰기 효능감 및 쓰기 결과 기대, 글 점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 국어교육학회 (40) : 569-591, 2011

      25 Winsor, D. A., "Writing Like an Engineer: A Rhetorical Education" Routledge 2013

      26 Science Buddies, "The Engineering Design Process"

      27 Karsnitz, R., "Engineering Design: An Introduction" Delmar Cengage Learning 2009

      28 Yarnoff, C., "Engineering Design and Communication: Principles and Practice" Northwestern University 2003

      29 Flower, L., "A Cognitive Process Theory of Writing" 32 (32): 365-387, 1981

      30 이양숙, "<工學글쓰기>의 새로운 位相定立을 위한 考察"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8 (38): 489-510, 2010

      31 이창덕, "21세기 문식력(literacy)과 ‘대학글쓰기’ 교육에 대하여" 한국 리터러시 학회 (18) : 11-43, 2016

      32 신선경, "21세기 과학기술자를 위한 의사소통 교육의 새로운 방향" 한국공학교육학회 15 (15): 23-27,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1 2.01 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4 1.63 2.755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