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60년대 도시빈민과 사회적 인정에 대한 갈망 - <학사주점>과 <초우>를 중심으로 = 1960s The urban poor and Social Recognition Craving – Focusing on <Hagsajujeom> and <Chou(Early Rai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443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박종호 감독의 영화 <학사주점>(1964)과 정진우 감독의 영화 <초우>(1966)를 중심으로, 사회적 인정을 갈망하는 하위계층 청년들을 살피고자 한다. <학사주점>과 <초우>에 등장하는 남자주인공들의 비극적 결말은 가난으로부터 발현된 것으로, 이는 다분히 ‘1960년대적’이다.
      남자주인공들은 빈민촌을 떠도는 삼류대학생으로, 소위 말하는 학력과 경제력, 노동력 등 자신만의 독특한 능력을 가지지 못한 하위계층 청년이다. 이들은 더 나은 삶을 위해 도시에 머물고 있지만, 자신의 능력으로 빈민촌을 벗어나기 어렵다. 이들은 상류계층 여성과 결혼을 통해 제도권 안에서 안정된 생활을 누리고, 타인에게 성공한 자로 인정을 받고자 한다. 박정희 정권이 근대화 정책과 함께 자신의 노력으로 ‘성공/출세’의 기회가 평등하게 주어진다고 설파했고, 대중들은 그에 동조하며 실현시키고자 했다. 가난이 질곡(桎梏)처럼 옥죄이던 시기, 이들에게 상류 계층의 여성은 빠르게 안착할 수 있는 방법이었다. ‘국민’의 대열에 합류하여 ‘국민’으로 인정받기 위해 상류계층 여성과의 결혼을 택한 것이다.
      <학사주점>과 <초우>의 남자주인공들은 상류계층 여성과의 결혼이 수포로 돌아가자, 폭력과 자살 등 극단적인 방법으로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고자 한다. 이는 ‘빈자’와 ‘낙오자’, 즉 결함이 있는 자들은 ‘국민’으로 인정하지 않았던 한국사회에 대한 적대심과 분노를 극단적인 방법으로 표출한 것이다. 1960년대 병적 징후로 하위계층 청년들의 사회적 인정에 대한 갈망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학사주점>과 <초우>는 문제적이다.
      번역하기

      이 글에서는 박종호 감독의 영화 <학사주점>(1964)과 정진우 감독의 영화 <초우>(1966)를 중심으로, 사회적 인정을 갈망하는 하위계층 청년들을 살피고자 한다. <학사주점>과 <초...

      이 글에서는 박종호 감독의 영화 <학사주점>(1964)과 정진우 감독의 영화 <초우>(1966)를 중심으로, 사회적 인정을 갈망하는 하위계층 청년들을 살피고자 한다. <학사주점>과 <초우>에 등장하는 남자주인공들의 비극적 결말은 가난으로부터 발현된 것으로, 이는 다분히 ‘1960년대적’이다.
      남자주인공들은 빈민촌을 떠도는 삼류대학생으로, 소위 말하는 학력과 경제력, 노동력 등 자신만의 독특한 능력을 가지지 못한 하위계층 청년이다. 이들은 더 나은 삶을 위해 도시에 머물고 있지만, 자신의 능력으로 빈민촌을 벗어나기 어렵다. 이들은 상류계층 여성과 결혼을 통해 제도권 안에서 안정된 생활을 누리고, 타인에게 성공한 자로 인정을 받고자 한다. 박정희 정권이 근대화 정책과 함께 자신의 노력으로 ‘성공/출세’의 기회가 평등하게 주어진다고 설파했고, 대중들은 그에 동조하며 실현시키고자 했다. 가난이 질곡(桎梏)처럼 옥죄이던 시기, 이들에게 상류 계층의 여성은 빠르게 안착할 수 있는 방법이었다. ‘국민’의 대열에 합류하여 ‘국민’으로 인정받기 위해 상류계층 여성과의 결혼을 택한 것이다.
      <학사주점>과 <초우>의 남자주인공들은 상류계층 여성과의 결혼이 수포로 돌아가자, 폭력과 자살 등 극단적인 방법으로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고자 한다. 이는 ‘빈자’와 ‘낙오자’, 즉 결함이 있는 자들은 ‘국민’으로 인정하지 않았던 한국사회에 대한 적대심과 분노를 극단적인 방법으로 표출한 것이다. 1960년대 병적 징후로 하위계층 청년들의 사회적 인정에 대한 갈망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학사주점>과 <초우>는 문제적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혁, "한국전쟁과 자본주의 정신"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16) : 337-371, 2000

      2 이영일, "한국영화전사" 소도 2004

      3 주유신, "한국영화와 근대성" 소도 2001

      4 이영미, "한국대중가요사" 민속원 2009

      5 한병철, "피로사회" 문학과지성사 [서울] 2012

      6 연구모임 사회비판과대안, "프랑크푸르트학파의 테제들" 사월의책 2012

      7 게오그르 짐멜,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새물결 2005

      8 악셀 호네트, "인정투쟁" 사월의책 2011

      9 린 헌트, "인권의 발명" 돌베개 2009

      10 "영상자료 : <학사주점>, <초우>"

      1 이재혁, "한국전쟁과 자본주의 정신"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16) : 337-371, 2000

      2 이영일, "한국영화전사" 소도 2004

      3 주유신, "한국영화와 근대성" 소도 2001

      4 이영미, "한국대중가요사" 민속원 2009

      5 한병철, "피로사회" 문학과지성사 [서울] 2012

      6 연구모임 사회비판과대안, "프랑크푸르트학파의 테제들" 사월의책 2012

      7 게오그르 짐멜,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새물결 2005

      8 악셀 호네트, "인정투쟁" 사월의책 2011

      9 린 헌트, "인권의 발명" 돌베개 2009

      10 "영상자료 : <학사주점>, <초우>"

      11 프랑코 모레티, "세상의 이치" 문학동네 2008

      12 이호철, "서울의 만원이다・보고드리옵니다" 문학사상사 2006

      13 김광중, "서울 20세기 공간변천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1

      14 브로니슬라프 게레멕, "빈곤의 역사" 길 2010

      15 이청준, "병신과 머저리" 문학과지성사 2011

      16 신형기, "변화와 운명" 평민사 1997

      17 황병주, "박정희와 근대적 출세 욕망" 역사문제연구소 (89) : 257-283, 2009

      18 대통령비서실, "박정희대통령 연설문집" 大韓公論社 1976

      19 김승옥, "무진기행" 문학동네 2011

      20 이영미, "또순이는 돈을 모아 사장이 되었을까?" 인물과사상사 (206) : 155-169, 2015

      21 노지승, "대학생과 건달, 김승옥 소설과 청춘 영화에 나타난 1960년대 청년 표상" 한국현대문학회 (22) : 387-443, 2007

      22 김영찬, "근대의 불안과 모더니즘" 소명출판 2006

      23 김동춘, "근대의 그늘" 당대 2000

      24 장규식, "거대 도시 '서울공화국'의 명암" 역사문제연구소 (65) : 75-95, 2003

      25 박태순, "1960년대의 사회운동" 까치 1991

      26 한영현, "1960년대 초 혁명과 역사적 전환기 사회적 실존의 문제 - 한국 영화에 재현된 서민의 애환과 세대의 가치를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소 8 (8): 223-254, 2012

      27 박길성, "1960년대 사회변화 연구" 백산서당 1999

      28 전우형, "1960년 한국영화의 가난 재현의 기술과 정치학 - 영화 <마부>의 코미디와 해피엔딩, 그리고 가난의 판타지" 동악어문학회 (61) : 115-144,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10-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Popular Narrativ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8 0.88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4 1.628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