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박종호 감독의 영화 <학사주점>(1964)과 정진우 감독의 영화 <초우>(1966)를 중심으로, 사회적 인정을 갈망하는 하위계층 청년들을 살피고자 한다. <학사주점>과 <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박종호 감독의 영화 <학사주점>(1964)과 정진우 감독의 영화 <초우>(1966)를 중심으로, 사회적 인정을 갈망하는 하위계층 청년들을 살피고자 한다. <학사주점>과 <초...
이 글에서는 박종호 감독의 영화 <학사주점>(1964)과 정진우 감독의 영화 <초우>(1966)를 중심으로, 사회적 인정을 갈망하는 하위계층 청년들을 살피고자 한다. <학사주점>과 <초우>에 등장하는 남자주인공들의 비극적 결말은 가난으로부터 발현된 것으로, 이는 다분히 ‘1960년대적’이다.
남자주인공들은 빈민촌을 떠도는 삼류대학생으로, 소위 말하는 학력과 경제력, 노동력 등 자신만의 독특한 능력을 가지지 못한 하위계층 청년이다. 이들은 더 나은 삶을 위해 도시에 머물고 있지만, 자신의 능력으로 빈민촌을 벗어나기 어렵다. 이들은 상류계층 여성과 결혼을 통해 제도권 안에서 안정된 생활을 누리고, 타인에게 성공한 자로 인정을 받고자 한다. 박정희 정권이 근대화 정책과 함께 자신의 노력으로 ‘성공/출세’의 기회가 평등하게 주어진다고 설파했고, 대중들은 그에 동조하며 실현시키고자 했다. 가난이 질곡(桎梏)처럼 옥죄이던 시기, 이들에게 상류 계층의 여성은 빠르게 안착할 수 있는 방법이었다. ‘국민’의 대열에 합류하여 ‘국민’으로 인정받기 위해 상류계층 여성과의 결혼을 택한 것이다.
<학사주점>과 <초우>의 남자주인공들은 상류계층 여성과의 결혼이 수포로 돌아가자, 폭력과 자살 등 극단적인 방법으로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고자 한다. 이는 ‘빈자’와 ‘낙오자’, 즉 결함이 있는 자들은 ‘국민’으로 인정하지 않았던 한국사회에 대한 적대심과 분노를 극단적인 방법으로 표출한 것이다. 1960년대 병적 징후로 하위계층 청년들의 사회적 인정에 대한 갈망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학사주점>과 <초우>는 문제적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혁, "한국전쟁과 자본주의 정신"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16) : 337-371, 2000
2 이영일, "한국영화전사" 소도 2004
3 주유신, "한국영화와 근대성" 소도 2001
4 이영미, "한국대중가요사" 민속원 2009
5 한병철, "피로사회" 문학과지성사 [서울] 2012
6 연구모임 사회비판과대안, "프랑크푸르트학파의 테제들" 사월의책 2012
7 게오그르 짐멜,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새물결 2005
8 악셀 호네트, "인정투쟁" 사월의책 2011
9 린 헌트, "인권의 발명" 돌베개 2009
10 "영상자료 : <학사주점>, <초우>"
1 이재혁, "한국전쟁과 자본주의 정신"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16) : 337-371, 2000
2 이영일, "한국영화전사" 소도 2004
3 주유신, "한국영화와 근대성" 소도 2001
4 이영미, "한국대중가요사" 민속원 2009
5 한병철, "피로사회" 문학과지성사 [서울] 2012
6 연구모임 사회비판과대안, "프랑크푸르트학파의 테제들" 사월의책 2012
7 게오그르 짐멜,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새물결 2005
8 악셀 호네트, "인정투쟁" 사월의책 2011
9 린 헌트, "인권의 발명" 돌베개 2009
10 "영상자료 : <학사주점>, <초우>"
11 프랑코 모레티, "세상의 이치" 문학동네 2008
12 이호철, "서울의 만원이다・보고드리옵니다" 문학사상사 2006
13 김광중, "서울 20세기 공간변천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1
14 브로니슬라프 게레멕, "빈곤의 역사" 길 2010
15 이청준, "병신과 머저리" 문학과지성사 2011
16 신형기, "변화와 운명" 평민사 1997
17 황병주, "박정희와 근대적 출세 욕망" 역사문제연구소 (89) : 257-283, 2009
18 대통령비서실, "박정희대통령 연설문집" 大韓公論社 1976
19 김승옥, "무진기행" 문학동네 2011
20 이영미, "또순이는 돈을 모아 사장이 되었을까?" 인물과사상사 (206) : 155-169, 2015
21 노지승, "대학생과 건달, 김승옥 소설과 청춘 영화에 나타난 1960년대 청년 표상" 한국현대문학회 (22) : 387-443, 2007
22 김영찬, "근대의 불안과 모더니즘" 소명출판 2006
23 김동춘, "근대의 그늘" 당대 2000
24 장규식, "거대 도시 '서울공화국'의 명암" 역사문제연구소 (65) : 75-95, 2003
25 박태순, "1960년대의 사회운동" 까치 1991
26 한영현, "1960년대 초 혁명과 역사적 전환기 사회적 실존의 문제 - 한국 영화에 재현된 서민의 애환과 세대의 가치를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소 8 (8): 223-254, 2012
27 박길성, "1960년대 사회변화 연구" 백산서당 1999
28 전우형, "1960년 한국영화의 가난 재현의 기술과 정치학 - 영화 <마부>의 코미디와 해피엔딩, 그리고 가난의 판타지" 동악어문학회 (61) : 115-144, 2013
대중서사와 문학의 ‘윤리적 전회’ - 녜진자오의 문학윤리학비평을 중심으로
1950년대 극장 공간 재편에 대한 일고찰 - 극장 지정좌석제 논란을 중심으로
순정만화라는 유령 - 순정만화라는 장르의 역사와 감성만화의 정의
소설과 영화,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에 대한 정치적 해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10-2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Popular Narrative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8 | 0.88 | 0.9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7 | 0.84 | 1.628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