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2000년 이후 급속히 늘어나고 있는 한국 내 몽골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해 다룬다. 몽골사회와 한국사회의 사이존재로서 몽골여성결혼이민자가 당면한 문제를 적실하게 파악하기 위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242391
2010
-
331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31-62(3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2000년 이후 급속히 늘어나고 있는 한국 내 몽골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해 다룬다. 몽골사회와 한국사회의 사이존재로서 몽골여성결혼이민자가 당면한 문제를 적실하게 파악하기 위하...
이 글은 2000년 이후 급속히 늘어나고 있는 한국 내 몽골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해 다룬다. 몽골사회와 한국사회의 사이존재로서 몽골여성결혼이민자가 당면한 문제를 적실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①몽골현지 문헌자료 분석과, ②몽골어 심층면접이라는 두 가지 연구방법을 새롭게 사용했다. 이러한 연구 방법은 몽골여성결혼이민자가 한국말로 표현하지 못하는 속내를 충분히 경청함과 동시에 이들 삶의 몽골사회적 맥락을 심층적으로 읽어내기 위한 것이다. 1990년 이후 몽골은 사회주의에서 자본주의로 사회 구조가 바뀜에 따라 자본주의적 빈곤 개념이 등장하면서 저임금 및 여성실업이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다. 몽골여성들은 이러한 몽골 내 사회 구조적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으로 결혼이주를 하게 된다. 그러나 이들의 한국사회로의 진출이 그러한 자신들의 문제를 해소하기 전에 오히려 새로운 종류의 문제에 당면하게 된다. 이들이 국제결혼을 통해 경제적으로 더 발전된 나라에 오게 되었을지 모르지만 한국의 사회적 선입견이나 문화적인 차이 때문에 심한 갈등을 겪는다. 특히 이들은 한국사회에서 가사노동, 취업 및 본국송금, 호칭, 제사 등과 관련하여 새로운 어려움에 봉착한다. 이들의 한국사회에서의 어려움은 다양한 사회적 가치 영역들이 적절하게 균형을 이루지 못하는 데에서 기인한다. 몽골여성결혼이민자를 포함하여 한국 다문화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왈쩌가 말하는 다원적 평등 개념이 요청된다. 하나의 가치가 독점적으로 지배하거나 전제하지 않는 다원적 평등 사회를 실현할 때라야 몽골여성결혼이민자도 자신의 꿈을 실현하는 사적 존재이자 정당한 시민사회의 일원인 공적 존재로서 삶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