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의 공간 대응에 대한 이해가 사물의 위치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이러한 차이가 연령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형방과 이를 나타내는 그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043091
2016
Korean
공간 대응 ; 위치 ; 수직/수평 ; 좌우 ; 상하 ; spatial mapping ; location ; vertical/horizontal ; above/below ; right/left
KCI등재
학술저널
359-376(18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의 공간 대응에 대한 이해가 사물의 위치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이러한 차이가 연령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형방과 이를 나타내는 그림 ...
본 연구는 유아의 공간 대응에 대한 이해가 사물의 위치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이러한 차이가 연령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형방과 이를 나타내는 그림 지도를 연구 도구로 하여, 두 공간에서 중앙을 기준으로 상하, 좌우로 동일한 사물을 배치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3, 4, 5세 유아 126명이었고, 연구에 참여한 유아는 그림지도와 인형방에 있는 사물의 위치를 대응시켜 인형방에 숨겨진 고양이 인형을 찾아야 하는 공간 대응 과제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세 이후 유아는 참조 공간과 공간 표상물에 있는 사물을 동일한 위치에 성공적으로 대응시킬 수 있었으며, 3세 유아도 공간 대응의 기초적인 이해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유아의 공간 대응은 수직/수평의 위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셋째, 유아의 공간 대응은 상하, 좌우 위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유아는 ‘상’보다는 ‘하’, ‘우’보다는 ‘좌’에 위치한 사물에 대한 공간 대응을 더 잘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see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understanding of the spatial mapping of the young children based on the location of objects, and reveal whether these differences do change with age. In order to do so, we plac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see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understanding of the spatial mapping of the young children based on the location of objects, and reveal whether these differences do change with age. In order to do so, we placed 4 identical objects above, below, to the right of, and to the left of a central reference point and created a search task using picture maps.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126 young children 3, 4, and 5 years of age and the subjects`` task was to read the provided picture map, pick up the object from the location indicated on the map, then pick out the same location on the picture ma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 of 4 years or older were able to successfully place the objects from the reference space and the picture maps on the same locations, and children of 3 years showed basic spatial understanding. Second, young children``s spatial mapping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hether the locations were vertical or horizontal. Third, the spatial mapping of young childre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whether the location was above, below, to the right of, or to the left of the central reference point. young children showed a better understanding of spatial mapping when the objects were located below or to the left of the central reference point as opposed to above or to the right of the central reference point respectively.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찬형, "표상적 관계에 대한 영유아의 이해와 발달" 한국아동학회 32 (32): 51-69, 2011
2 민미희, "표상물과 참조공간의 공간관계에 따른 3, 4세 유아의 공간표상"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5-31, 2012
3 심승희, "초등 지리교육에 적합한 위치 학습의 내용과 방법 모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8 (18): 221-236, 2010
4 최낭수, "지리교과에서 아동의 지도 도해력 향상에 관한 실험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5 尹敬淑, "유아의 방향개념 발달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85
6 홍혜경, "유아의 기하학적 공간 이해에 관한표상능력" 39 (39): 95-118, 2001
7 홍혜경, "유아 수학능력검사 도구 개발"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377-400, 2006
8 이기현, "위상적 공간에서 유아의 길이측정능력에 관한 연구" 1 (1): 15-24, 1991
9 신경희, "대상, 공간 및 언어 인지양식에 따른 작업기억 과제 수행의 개인차"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5 (25): 539-563, 2013
10 조성욱, "내비게이션 이용 확산이 지리교육에 주는 함의"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9 (19): 169-183, 2011
1 박찬형, "표상적 관계에 대한 영유아의 이해와 발달" 한국아동학회 32 (32): 51-69, 2011
2 민미희, "표상물과 참조공간의 공간관계에 따른 3, 4세 유아의 공간표상"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5-31, 2012
3 심승희, "초등 지리교육에 적합한 위치 학습의 내용과 방법 모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8 (18): 221-236, 2010
4 최낭수, "지리교과에서 아동의 지도 도해력 향상에 관한 실험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5 尹敬淑, "유아의 방향개념 발달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85
6 홍혜경, "유아의 기하학적 공간 이해에 관한표상능력" 39 (39): 95-118, 2001
7 홍혜경, "유아 수학능력검사 도구 개발"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377-400, 2006
8 이기현, "위상적 공간에서 유아의 길이측정능력에 관한 연구" 1 (1): 15-24, 1991
9 신경희, "대상, 공간 및 언어 인지양식에 따른 작업기억 과제 수행의 개인차"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5 (25): 539-563, 2013
10 조성욱, "내비게이션 이용 확산이 지리교육에 주는 함의"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9 (19): 169-183, 2011
11 이혜경, "공간활동 프로그램" 이담북스 2010
12 Blades, M., "Young children’s ability to understand a model as a spatial representation" 155 (155): 201-218, 1994
13 Troseth, G. L., "Young children's use of scale models : Testing an alternative to representational insight" 10 (10): 763-769, 2007
14 Liben, L. S., "Visions of aesthetics, the environment, and development: The legacy of Joachim F. Wohlwill" 139-180, 1991
15 Rump, B., "Updating in models of spatial memory" Springer Berlin Heidelberg 249-269, 2007
16 Marzolf, D. P., "Transfer in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spatial representations" 65 : 1-15, 1994
17 Troseth, G., "The medium can obscure the message :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video" 69 : 950-965, 1998
18 Hart, R. A., "The development of spatial cognition: A review" Aldine Transaction 1973
19 Presson, C. C., "The development of map-reading skills" 53 : 196-199, 1982
20 Blades, M.,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ability to use spatial r e presentations" 25 : 157-199, 1994
21 Huttenlocher, J., "The child's representation of information about location" 81-111, 1984
22 Piaget, J., "The child's conception of space"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1956
23 Casasola, M., "The Development of Infants' Spatial Categories" Wiley-Blackwell 17 (17): 21-25, 2008
24 DeLoache, J. S., "Symbolic functioning in very young children : Understnading of pictures and models" 62 (62): 736-752, 1991
25 Tversky, B., "Structures Of Mental Spaces : How People Think About Space" 35 (35): 66-80, 2003
26 Welton, A., "Strategies for Teaching" H. Mifflin Company 1999
27 Loewenstein, J., "Spatial mapping in preschoolers : Close comparisons facilitate far mappings" 2 (2): 189-219, 2001
28 Rovet, J., "Spatial cognition: The structures and development of mental representations of spatial relations" 164-181, 1983
29 Vasilyeva, M., "Solving spatial tasks with unaligned layouts : The difficulty of dealing with conflicting information" 83 : 291-303, 2002
30 Casasola, M., "Six‐Month‐Old Infants' Categorization of Containment Spatial Relations" 74 (74): 679-693, 2003
31 DeLoache, J. S., "Rapid change in the symbolic functioning of very young children" 238 (238): 1556-1557, 1987
32 NCTM,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33 Liben, L. S., "Preschoolers’ understanding of plan and oblilque maps : The role of geometric and representational correspondence" 67 (67): 2780-2796, 1996
34 DeLoache, J. S., "Physical similarity and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scale models" 62 (62): 111-126, 1991
35 Blades, M., "Map use by young children" 71 : 47-52, 1986
36 Tverksy, B., "Levels and structure of spatial knowledge. Cognitive mapping:past, present and future" Routledge 2000
37 Casasola, M., "Infant categorization of containment, support, and tight-fit spatial relationships" 5 : 247-264, 2002
38 Callaghan, T. C., "Factors affecting children's graphic symbol use in the third year : Language, similarity, and iconicity" 15 (15): 185-214, 2000
39 Vosmik, J. R., "Facilitating Preschoolers'Spatial Mapping: Close Comparisons and Natural Misalignment" Arizona State University 2005
40 Siegler, R. S., "Emerging minds: The process of change in children's thinking"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41 DeLoache, J. S., "Early understanding and use of symbols: The model model" 109-1113, 1995
42 DeLoache, J. S., "Dual representation and young children's use of scale models" 71 (71): 329-338, 2000
43 Tomasello, M., "Do young children use objects as symbols?" 17 (17): 563-584, 1999
44 Bluestein, N., "Developmental changes in map – reading skills" 691-697, 1979
45 Quinn, P. C., "Development of categorical representations for above and below spatial relations in 3-to 7-month-old infants" 32 : 942-950, 1996
46 Quinn, P. C., "Development of an abstract category representation for the spatial relation between in 6-to 10-month-old infants" 39 : 151-163, 2003
47 Ribordy, F., "Development of allocentric spatial memory abilities in children from 18 months to 5 years of age" 66 (66): 1-29, 2013
48 Uttal, D. H., "Connecting the dots : Children’s use of a systematic figure to facilitate mapping and research" 37 (37): 338-, 2001
49 Blades, M., "Cognitive and linguistic aspects of geographic space" Springer 81-115, 1991
영아기 첫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부모교육 경험 및 요구
아동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과 창의적 인성에서 교사애착의 매개효과
예비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정신건강 및 자기애가 창의·인성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81 | 1.81 | 1.9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94 | 1.91 | 2.283 | 0.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