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고대 이스라엘은 종교사에서 더는 독보적인 존재가 아니다. 이스라엘 신앙은 고대 중동 세계의 일원으로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상호 작용의 과정을 통해 형성되었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813765
201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59-187(2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고대 이스라엘은 종교사에서 더는 독보적인 존재가 아니다. 이스라엘 신앙은 고대 중동 세계의 일원으로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상호 작용의 과정을 통해 형성되었다. ...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고대 이스라엘은 종교사에서 더는 독보적인 존재가 아니다. 이스라엘 신앙은 고대 중동 세계의 일원으로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상호 작용의 과정을 통해 형성되었다. 그러나 그러한 상황 속에서도 주변 국가들의 것들과 구별되는 것은 이스라엘의 신앙의 중심으로 자리 잡고 있는 “야훼-유일신 신앙”이다. 족장 시대의 종교 상황을 보여주는 창세기 12-50장에는 비교적 개방적이고 포괄적인 신앙관이 엿보인다. 모세 시대의 야훼 신앙은 이스라엘 민족의 출애굽 경험과 긴밀한 관계에 있다. 야훼 신앙은 그 이전에 있었던 족장 신앙의 전통을 이으면서도 이스라엘 민족의 역사적 경험과 함께 존재한다. 우리는 야훼의 “고향”(home)을 언급하는 시문들에서 야훼 신앙의 기원에 대한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신 33:2; 삿 5:4-5; 시 68:7-8, 17-18; 합 3:3). 이스라엘의 왕정 시대에는 예언자들에 의해서 주도된 “야훼-유일신 신앙-운동”이 있었다(참조. 암 3:1-2; 9:7; 호 2:14; 12:10; 13:14). 이 운동의 배경에는 왕정과 외부 세력의 위협이 있었다. 이 운동을 통해 야훼는 점점 주변 국가들의 신들에 대항하는 하나님(“anti-god”)으로서 위치를 확고히 한다. 이스라엘과 유일한 방식으로 연결된 야훼에 대한 신앙 고백에서 외세의 압력과 영향에 대항하여 정치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힘을 얻는다. 배타적 유일신 신앙은 포로기의 위기에 대한 응답으로 나타난다. 예루살렘의 멸망은 야훼의 무능을 증명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세계 역사를 주도하는 우주적인 유일하신 하나님의 행동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야훼에 대한 배타적 유일 신관은 창조 신앙을 전제로 하며, 포로기 경험으로 확립되었다. 배타적인 유일신 신앙은 포로기의 상황이 반영되어 있는 본문들, 특히 제2이사야 본문(사 40-55장)에서 잘 나타난다. 구약 성서에 나타난 야훼 신앙의 모습은 오늘날 독자들에게 자신들이 서 있는 삶의 현장과 토양을 저버리지 않으면서도 새롭게 만나는 도전과 위협에 적절하게 응답하기를 주문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recent studies, ancient Israel has lost its special position in the history of religion. We can perceive the traces of polytheism in the Hebrew Bible and recognize how YHWH took up little by little the qualities of other gods and so extended his ...
In recent studies, ancient Israel has lost its special position in the history of religion. We can perceive the traces of polytheism in the Hebrew Bible and recognize how YHWH took up little by little the qualities of other gods and so extended his “God-competence” Nevertheless, YHWH-monotheism is the incomparable character of Israel’ religion. The Old Testament shows that YHWH-monotheism is a “product” of a continuing discussion and the process of development. In the patriarchal age(Gen 12-50) the viewpoint about God is relative open and comprehensive. The revelation of YHWH’ name to Moses is a momentous event and Israel’ faith in YHWH is closely related to the exodus-experience of Israel. We can find the clues to the origins of YHWH-religion in the poetic texts that refer to the “home” of YHWH(Deu 33:2; Jdg 5:4-5; Ps 68:7-8, 17-18; Hab 3:3). In the period of Israel’ monarchy there was an “YHWH-alone-movement” (“JHWH-allein-Bewegung”) spearheaded by the prophets(e. g. Elijah, Hosea, Amos) on the threats from outside(in Assyria 8./7. BC). In the movement YHWH was profiled increasingly as “anti-god” against gods of neighboring countries. In the confession of YHWH which has tied itself in a unique way to Israel they find the driving forces of political resistance against foreign oppression and influences. The exclusive monotheism appears definitely in the texts in which the conditions of life in exile were reflected, especially so called Deutero-Isaiah(Isa 40-55). The loss of the monarchy and the destruction of the temple resulted in the demand for an exclusive YHWH-monotheism. From this study we realize that each day and age is an opportunity to pick up the threads of the discussion about God and to continue this.
목차 (Table of Contents)
1911년 『셩경젼셔』의 한국 문화사적 가치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