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is study, China’s growing influence in Central Asia was analyzed in comparison with the engagement strategies deployed by other great powers (Russia, US and EU) in Central Asia. Central Asia was accepted as “Heartland” area of Eurasia becau...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China’s growing influence in Central Asia was analyzed in comparison with the engagement strategies deployed by other great powers (Russia, US and EU) in Central Asia. Central Asia was accepted as “Heartland” area of Eurasia becau...
In this study, China’s growing influence in Central Asia was analyzed in comparison with the engagement strategies deployed by other great powers (Russia, US and EU) in Central Asia. Central Asia was accepted as “Heartland” area of Eurasia because of its strategic location at the core of the continent which makes it vital in the integration of the Eurasian continent. Thus, throughout history, the region witnessed intense geopolitical rivalries between major powers, with the ultimate goal being domination, influence and hegemony over the region. Geopolitical vacuum in the region emerged after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and the discovery of the huge oil and gas reserves in the region elevated it its importance in the eyes of the great powers. Therefore, the region attracted the interests of the major actors once again and became the stage of fierce competition. Currently, from an economic point of view, China, Russia, US and EU initiated their own economic integration policies in order to coordinate their engagement policies with the region and to gain access to vast energy reserves. However, on the geopolitical front, the rivalry in Central Asia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rivalry over the future of the Eurasian integration as Central Asia is a determining element in the integration process of the entire continent. At the moment, China is a leading player of this emerging rivalry with its integrated and comprehensive engagement policies. With the latest developments, Central Asia, located in the periphery of China, has been dragged into China’s orbit of influence more than ever, and this development brought upgraded version of the classic “Great Game”: Great Game 3.0.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중앙아시아에 강대국들(러시아, 미국, EU)의 경제적, 정치적 포용전략들을 비교하여, 중앙아시아에서의 중국의 영향력증대를 분석했다. 중앙아시아는 유라시아 핵심에서 전...
본 연구에서는, 중앙아시아에 강대국들(러시아, 미국, EU)의 경제적, 정치적 포용전략들을 비교하여, 중앙아시아에서의 중국의 영향력증대를 분석했다. 중앙아시아는 유라시아 핵심에서 전략적 위치를 갖고 있기 때문에 유라시아 통합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으며 유라시아의 "하트랜드" 지역으로 언급되어왔다. 따라서 역사적으로 중앙아시아는 지역에 대한 지배, 영향력, 패권 같은 목표를 가지고 있는 주요 강대국들 간의 치열한 지리학적 경쟁을 겪어왔다.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 이후 이 지역에서 지리학적인 공백이 생기며 그와 동시에 거대한 매장량의 석유와 천연가스의 발견으로 지역의 중요성이 더욱 강하졌고 강대국의 눈에 띄게 되었다. 그래서 이 지역은 다시 한 번 주연 배우들의 관심을 끌며 경쟁의 무대가 되었다. 경제적 관점에서 살펴보면, 현재 중국, 러시아, 미국, EU는 방대한 에너지 비축량을 얻고 지역에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그들 자신의 경제 통합 정책을 개발하고 있다. 그러나 지정학적 측면에서 보면, 이런 경제적인 통합 정책들의 에너지보다 더 깊은 의미가 있다. 중앙아시아가 전체 대륙의 통합 과정에서 가장 결정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이 지역에서 이러난 경쟁은 유라시아의 운명, 즉 유라시아의 통합에 대한 경쟁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현재 유라시아는 중국의 통합적인 포용정책 “일대일로” (一帶一路)로 새로운 경쟁의 무대가 되고 있다. 그런 입장에서 중국 주변 위치한 중앙아시아는 그 어느 때보다 중국의 세력 궤도에 끌려 들어갔고 유라시아도 종종 통합 되고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