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방대학의 관점에서 본 현행 대학재정지원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843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속가능한 사회발전을 위해 지역 인재 양성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현행 대학재정지원사 업은 지방대학의 재정상황과 자생적 혁신을 어렵게 만들었다는 우려가 크다. 이 연구는 지방 대학의 관점에서 느끼는 현행 대학재정지원사업의 구조, 운영방식 및 평가지표의 문제점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228개 지방대학을 대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국·사립, 규모별, 권역별로 4개 사례대학을 선정하여 심층 면담 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지방대학들은 대학재정지원사업의 취지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있었 으나, 사업의 설계 및 시행방식에 대해서 부정적 입장을 보였다. 잦은 평가로 인한 피로감과 교수 본연 업무의 상실, 취업률 및 교수충원율과 같은 평가지표의 타당성 문제 등을 지적하 였다. 특히, 지방대학들은 대학재정지원사업의 지역균형발전 기여 면에서 매우 부정적이었고, 오히려 수도권-지역 간의 격차를 심화시켰다는 입장이었다. 향후 개선방안에 대해 지역 여건 이 다른 수도권 대학과의 별도 경쟁, 대학의 특성(설립유형, 규모, 역량, 권역 등)을 고려한 보 다 정교한 평가 시행방식과 지표 설계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번역하기

      지속가능한 사회발전을 위해 지역 인재 양성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현행 대학재정지원사 업은 지방대학의 재정상황과 자생적 혁신을 어렵게 만들었다는 우려가 크다. 이 연구는 지방 대...

      지속가능한 사회발전을 위해 지역 인재 양성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현행 대학재정지원사 업은 지방대학의 재정상황과 자생적 혁신을 어렵게 만들었다는 우려가 크다. 이 연구는 지방 대학의 관점에서 느끼는 현행 대학재정지원사업의 구조, 운영방식 및 평가지표의 문제점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228개 지방대학을 대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국·사립, 규모별, 권역별로 4개 사례대학을 선정하여 심층 면담 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지방대학들은 대학재정지원사업의 취지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있었 으나, 사업의 설계 및 시행방식에 대해서 부정적 입장을 보였다. 잦은 평가로 인한 피로감과 교수 본연 업무의 상실, 취업률 및 교수충원율과 같은 평가지표의 타당성 문제 등을 지적하 였다. 특히, 지방대학들은 대학재정지원사업의 지역균형발전 기여 면에서 매우 부정적이었고, 오히려 수도권-지역 간의 격차를 심화시켰다는 입장이었다. 향후 개선방안에 대해 지역 여건 이 다른 수도권 대학과의 별도 경쟁, 대학의 특성(설립유형, 규모, 역량, 권역 등)을 고려한 보 다 정교한 평가 시행방식과 지표 설계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rom the perspectives of local universities, the problems of structure, operation method, and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current financial support project for universities. In so doing, this study conducted surveys of professors and staffs from 228 four-year universities across the country and a case study based on four universities representing typical types of local universities of Korea (e.g., national/private, by scale, and by reg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local universities generally agreed with the purpose of the financial support project, but they responded negatively to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oject. First, it was pointed out that the administrative overload caused by the preparation of the frequent evaluation contributes to faculty fatigue, which in turn negatively affects the quality of teaching and research. Local universities also expressed doubts about the feasibility of some evaluation indicators such as employment rate and professor recruitment rate. In particular, local universities expressed very negative views on the idea that the financial support project contributes to the balanced development across the nation. Polic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supporting regional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rom the perspectives of local universities, the problems of structure, operation method, and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current financial support project for universities. In so doing, this study conducted 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rom the perspectives of local universities, the problems of structure, operation method, and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current financial support project for universities. In so doing, this study conducted surveys of professors and staffs from 228 four-year universities across the country and a case study based on four universities representing typical types of local universities of Korea (e.g., national/private, by scale, and by reg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local universities generally agreed with the purpose of the financial support project, but they responded negatively to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oject. First, it was pointed out that the administrative overload caused by the preparation of the frequent evaluation contributes to faculty fatigue, which in turn negatively affects the quality of teaching and research. Local universities also expressed doubts about the feasibility of some evaluation indicators such as employment rate and professor recruitment rate. In particular, local universities expressed very negative views on the idea that the financial support project contributes to the balanced development across the nation. Polic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supporting regional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were discus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부, "현행대학재정지원사업비교"

      2 류진석, "지역복지거버넌스와 지역대학의 역할" 18 : 27-47, 2007

      3 김정희, "지역발전을 위한 지방대학 육성정책 연구: 참여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대학 재정지원사업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7 (17): 105-135, 2013

      4 변기용, "지역균형발전의 관점에서 본 현행 대학 재정지원 사업 및 평가체제 발전 방안" 지역발전위원회 2016

      5 김영철, "지역 인재의 수도권 대학 진학과 지역 경제력 유출 효과: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지역학회 19 (19): 119-142, 2003

      6 김종세, "지방대학 육성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지방대학육성법안을 중심으로 -" 한국법학회 (52) : 1-24, 2013

      7 정영길, "지방거점대학 육성 및 특성화 방안 연구" 교육부 2014

      8 "지방 공대는 이미 초토화...석·박사 한 명 없는 학과 수두룩"

      9 김정희, "중앙정부 재정지원사업을 통해서 본 지방대학육성정책의 한계와 과제-수도권과 동남권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25 (25): 219-248, 2013

      10 정진후, "제1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 결과 정원감축 현황" 2015

      1 교육부, "현행대학재정지원사업비교"

      2 류진석, "지역복지거버넌스와 지역대학의 역할" 18 : 27-47, 2007

      3 김정희, "지역발전을 위한 지방대학 육성정책 연구: 참여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대학 재정지원사업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7 (17): 105-135, 2013

      4 변기용, "지역균형발전의 관점에서 본 현행 대학 재정지원 사업 및 평가체제 발전 방안" 지역발전위원회 2016

      5 김영철, "지역 인재의 수도권 대학 진학과 지역 경제력 유출 효과: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지역학회 19 (19): 119-142, 2003

      6 김종세, "지방대학 육성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지방대학육성법안을 중심으로 -" 한국법학회 (52) : 1-24, 2013

      7 정영길, "지방거점대학 육성 및 특성화 방안 연구" 교육부 2014

      8 "지방 공대는 이미 초토화...석·박사 한 명 없는 학과 수두룩"

      9 김정희, "중앙정부 재정지원사업을 통해서 본 지방대학육성정책의 한계와 과제-수도권과 동남권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25 (25): 219-248, 2013

      10 정진후, "제1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 결과 정원감축 현황" 2015

      11 김영수, "우리나라 클러스터정책의 특징과 지역산업생태계론으로의 진화 필요성" 한국지역학회 28 (28): 23-43, 2012

      12 홍성학, "박근혜 정부 대학재정지원사업의 실태와 과제"

      13 반상진, "대학재정지원사업과 대학구조개혁의 쟁점과 개편 논의" 2016

      14 안영진, "대학의 지역 경제적 파급효과: 독일 대학의 사례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 13 (13): 529-547, 2010

      15 박주호, "대학경쟁력 강화를 위한 평가체제 개선방안 연구" 교육부 2014

      16 김이경, "대학 특성화 평가의 정치학" 중앙대학교 73-108, 2015

      17 신현석, "대학 특성화 컨설팅 성과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6

      18 이도희, "대학 재정지원사업 관리실태 연구" 한국경영교육학회 30 (30): 61-92, 2015

      19 사교육 걱정없는 세상, "교육부의 대학구조개혁 현황과 개선 대책 5회 연속토론회’ 대학재정지원 사업 관련 보도자료"

      20 연합뉴스, "[위기의 지방대] 지금 대학가의 화두는 ‘죽느냐, 사느냐’(상)"

      21 Daniela, A., "Theoretical approaches of endogenous regional development" Institute of National Economy

      22 Vazquez-Barquero, A., "The regional question in economic development" Routledge 2006

      23 Romer, P., "The origins of endogenous growth" 8 (8): 3-22, 1994

      24 Saxenian, A., "Silicon Valley’s new immigrant high-growth entrepreneurs" 16 (16): 20-31, 2002

      25 Hart, D., "Innovation, competition and the structure of local production networks: Initial findings from the Hertfordshire project" 12 (12): 235-246, 1997

      26 Krugman, P., "Increasing returns and economic geography" 99 (99): 483-499, 1991

      27 김병주, "2015년 학부교육 선도대학 육성사업 설계 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5

      28 하연섭, "2014년 학부교육 특성화사업 사업설계 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6 1.76 1.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2 2.06 1.84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