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방교육예산 변동에 대한 정책단절 영향요인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843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방교육예산의 변동과 정책 단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향후 지방 교육재정 확보 및 예산결정을 위한 정책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 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1965~2016년까지의 지방교육예산 자료에 대해 ARIMA 모형, 시계열 개입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8가지 변수를 중 심으로 예산 증감률에 대한 예측모형을 탐색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 방교육예산의 정규성을 분석한 결과, 지방교육재정 세입 예산, 중앙정부 이전수입, 지방자치 단체 이전수입, 자체수입에 단절균형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방교육예산의 단 절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결과, 8가지 변수는 지방교육예산의 변동과 정책단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8.3긴급조치 등과 같은 급격한 정책변동은 지방교육예 산의 단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방교육자치제도 등 정치적 요인의 영향이 지방교육예산 단절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지방 교육예산의 안정적 확보를 위해서는 법령 제 개정과 같은 제도적 요인이 무엇보다 우선되어 야 하며, 향후 국세의 지방세화가 진전되고 지방자치단체 일반회계전입금의 규모가 커질 경 우 정치적 구조의 영향력이 더욱 커질 전망에 대비한 예측모형 개발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지방교육예산의 변동과 정책 단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향후 지방 교육재정 확보 및 예산결정을 위한 정책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 한 ...

      본 연구는 지방교육예산의 변동과 정책 단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향후 지방 교육재정 확보 및 예산결정을 위한 정책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 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1965~2016년까지의 지방교육예산 자료에 대해 ARIMA 모형, 시계열 개입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8가지 변수를 중 심으로 예산 증감률에 대한 예측모형을 탐색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 방교육예산의 정규성을 분석한 결과, 지방교육재정 세입 예산, 중앙정부 이전수입, 지방자치 단체 이전수입, 자체수입에 단절균형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방교육예산의 단 절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결과, 8가지 변수는 지방교육예산의 변동과 정책단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8.3긴급조치 등과 같은 급격한 정책변동은 지방교육예 산의 단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방교육자치제도 등 정치적 요인의 영향이 지방교육예산 단절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지방 교육예산의 안정적 확보를 위해서는 법령 제 개정과 같은 제도적 요인이 무엇보다 우선되어 야 하며, 향후 국세의 지방세화가 진전되고 지방자치단체 일반회계전입금의 규모가 커질 경 우 정치적 구조의 영향력이 더욱 커질 전망에 대비한 예측모형 개발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change of local education budget and the punctuated equilibrium theory, and to elucid the implications for securing local education finance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policy for future budget decision.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used the ARIMA model and time series intervention analysis method for the budget of the local education budget data from 1965 to 2016, We have explored the forecasting model.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regularity of the local education budget revealed that the local education financial revenues budget, the central government transfer income, the local government transfer income, and the self.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 influencing the discontinuity balance of the local education budget, 8 variables were found to affect the change of the local education budget and the policy discontinuation. Third, rapid policy changes, such as 8.3 emergency measures, were found to have a major impact on the cuts in local education budgets. Fourth, the influence of political factors such as local education self - governing system did not affect the punctuated equilibrium theory - off of local education budget. In order to secure a stable local education budget, institutional factors such as legislation and revision should be given priority, and if the local taxation of the national tax progresses in the future. Suggesting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predictive model for the prospect that the influence of the political structure will become even larger.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change of local education budget and the punctuated equilibrium theory, and to elucid the implications for securing local education finance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policy for fut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change of local education budget and the punctuated equilibrium theory, and to elucid the implications for securing local education finance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policy for future budget decision.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used the ARIMA model and time series intervention analysis method for the budget of the local education budget data from 1965 to 2016, We have explored the forecasting model.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regularity of the local education budget revealed that the local education financial revenues budget, the central government transfer income, the local government transfer income, and the self.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 influencing the discontinuity balance of the local education budget, 8 variables were found to affect the change of the local education budget and the policy discontinuation. Third, rapid policy changes, such as 8.3 emergency measures, were found to have a major impact on the cuts in local education budgets. Fourth, the influence of political factors such as local education self - governing system did not affect the punctuated equilibrium theory - off of local education budget. In order to secure a stable local education budget, institutional factors such as legislation and revision should be given priority, and if the local taxation of the national tax progresses in the future. Suggesting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predictive model for the prospect that the influence of the political structure will become even larg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금록, "한국의 중앙정부예산에 있어서 정책단절의 시계열분석" 한국행정학회 41 (41): 95-116, 2007

      2 김종철, "한국교육정책연구" 교육과학사 1989

      3 千歲英, "한국교육재정 구조상의 특성변화와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5

      4 유금록, "한국과 일본의 중앙정부 세출예산에 있어서 단절균형분석"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17 (17): 221-249, 2007

      5 이종균, "한국 사회복지지출의 변화 패턴과 항상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2 (42): 31-53, 2015

      6 한선경, "지방정부지출 변동에 관한 연구 : 단절균형이론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7 宋基昌, "지방교육재정정책 변천과정 분석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4

      8 송기창, "지방교육재정의 위기 : 실상과 대책" 3-22, 2014

      9 정현주, "지방교육재정 지출 결정 요인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4 (24): 53-72, 2015

      10 윤홍주, "지방교육재정 보통교부금제도의 성과와 과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1 (21): 145-171, 2012

      1 유금록, "한국의 중앙정부예산에 있어서 정책단절의 시계열분석" 한국행정학회 41 (41): 95-116, 2007

      2 김종철, "한국교육정책연구" 교육과학사 1989

      3 千歲英, "한국교육재정 구조상의 특성변화와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5

      4 유금록, "한국과 일본의 중앙정부 세출예산에 있어서 단절균형분석"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17 (17): 221-249, 2007

      5 이종균, "한국 사회복지지출의 변화 패턴과 항상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2 (42): 31-53, 2015

      6 한선경, "지방정부지출 변동에 관한 연구 : 단절균형이론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7 宋基昌, "지방교육재정정책 변천과정 분석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4

      8 송기창, "지방교육재정의 위기 : 실상과 대책" 3-22, 2014

      9 정현주, "지방교육재정 지출 결정 요인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4 (24): 53-72, 2015

      10 윤홍주, "지방교육재정 보통교부금제도의 성과와 과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1 (21): 145-171, 2012

      11 엄문영, "지방교육재정 관련 법령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5

      12 김철회, "정부지출변동의 패턴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 중앙정부의 기능별 지출변동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13 김재훈, "정부지출결정요인검증을 위한 새로운 시도" 27 (27): 135-153, 1993

      14 김상익, "시계열분석의 개입모형과 이상값모형의 비교연구: 금융실명제 실시가 회사채 수익률변화에 미친 영향분석 중심으로" 23 (23): 369-384, 1998

      15 정동빈, "시계열분석방법을 사용한 환율동향의 탐색 및 예측" 6 : 143-151, 2005

      16 조신섭, "시계열분석"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4

      17 김민희, "시·도교육청 교육핵심정책사업비 투자 영향요인간 구조적 관계 분석: QCA 적용" 한국자치행정학회 29 (29): 443-462, 2015

      18 김지하, "교육환경변화에 따른 지방교육재정제도 재구축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6

      19 송기창, "교육재정백서" 교육재정백서연구위원회 1999

      20 김민희, "교육예산 지출변동 패턴 분석 연구"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5 (25): 177-206, 2016

      21 송기창, "교육세 백서" 숙명여자대학교 2001

      22 이종구, "공공서비스 민영화의 성과에 관한 연구 : 단절시계열분석, 계량경제모델분석 및 계급과정분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

      23 남준우, "계량경제학" 홍문사 2010

      24 김해경, "경제 및 금융자료를 위한 시계열 분석" 경문사 2005

      25 David, O., "Toward a Predictive Theory of Government Expenditure : U.S. Domestic Appropriations" 4 : 419-452, 1974

      26 Box, G. E. P., "Time Series Analysis Forecasting and Control" Holden-Day 1994

      27 Wei. W. W., "Time Series Analysis" Addison-Wesley 1990

      28 Jones, B. D., "The Shape of Change: Punctuations and Stability in U.S. Budgeting, 1947-1994" 1996

      29 조신섭, "SAS/ETS를 이용한 시계열분석" 율곡출판사 2016

      30 Jones, B. D., "Policy punctuations: U.S. Budget Authoriy, 1947—1995" 60 (60): 1-33, 1998

      31 Jones, B. D., "Policy Punctuations in American Political Institutions" 97 (97): 151-169, 2003

      32 Box, G. E., "Intervention analysis with applications to economic and environmental problems" 70 (70): 70-79, 1975

      33 송기창, "2012 교육재정백서" 한국교육개발원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6 1.76 1.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2 2.06 1.84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