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광고를 활용한 중학교 시각문화미술교육 방안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47841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 (석사) --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 전공 , 2015.8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07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plans for advertising-based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 형태사항

        xi, 137 L. : 천연색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박훈성
        권말부록: 설문지
        참고문헌: p. 120-121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사회의 시공간을 초월하는 방대한 시각적 인공물은 즉각적 접근이 가능하며 우리 생활 속의 일부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사회문화의 긍정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부정적 측면도 반영된 시...

      현대사회의 시공간을 초월하는 방대한 시각적 인공물은 즉각적 접근이 가능하며 우리 생활 속의 일부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사회문화의 긍정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부정적 측면도 반영된 시각문화는 성인들은 물론 가치관과 도덕성이 확립되지 않은 청소년에게도 많이 노출된다. 대중문화에 대한 의존성이 높은 미성숙한 청소년기에는 왜곡된 성적 표현, 반사회적, 폭력적, 반규범적인 표현을 비판적 의식 없이 그대로 수용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청소년이 무차별적으로 수용한 문화는 미래의 청소년에게 전달되기도 한다. 따라서 청소년이 사회문화적 산물인 시각문화 환경을 주체적이고 비평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시각적 문해력 향상을 위한 교육적 환경을 조성해야한다. 본 연구자는 청소년의 시각적 문해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체계적이고 바람직한 교육환경을 마련하는 방책으로 광고를 활용한 시각문화미술교육을 제안한다. 특히 영상매체광고는 오늘날 청소년들에게 친숙한 시각문화로서 그들의 일상생활 속에 편재하고 있으며 시각적 문해력 향상의 효과적인 매개체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다양한 시각문화양상이 생활 속에 펼쳐지는 시대를 살아가며 혼란스러운 시기를 겪고 있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가장 쉽고 많이 접하는 영상매체광고를 미술교육에서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시각문화를 비평적으로 바라보고 올바르게 판단하며 바람직한 수용과 적합한 활용을 할 수 있도록 영상매체광고를 활용한 시각문화미술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동시에 그 효과를 증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수업을 계획하기에 앞서 본 연구자는 수업의 체계적인 방안을 위해 중학교 학생들의 미술수업과 광고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수업 방안을 구안하여 경기도 수원시 소재 중학교 방송부 동아리 13명의 단일집단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시각적 문해력 척도를 이용한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도출된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의 광고를 활용한 시각문화미술교육은 시각적 문해력을 신장시키는 의미에서 효과적이었다. 먼저, 학생들은 다양한 광고를 감상하고 비평함으로써 그들의 생각이나 감정을 표현하며 다른 학생들과 교사와 소통할 수 있었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올바른 시각적 문해력을 기를 수 있었다. 다음으로, 영상매체광고를 제작함으로써 영상매체가 가지고 있는 시각언어의 특징을 자연스럽게 깨닫게 되며 문화소비자뿐만 아니라 문화생산자로써의 입장을 경험함으로써 시각적 환경을 새롭게 마주하고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따라서 광고를 활용한 시각문화미술교육이 학생들에게 소통의 장이 될 수 있었으며 시각적 문해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학생들이 주체적으로 문화를 향유하며 인생을 보다 윤택하게 영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ssive visual artifacts to transcend time and space in the modern society allow for immediate access and are settling down as parts of human life. Reflect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social culture, the visual culture is much exposed...

      The massive visual artifacts to transcend time and space in the modern society allow for immediate access and are settling down as parts of human life. Reflect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social culture, the visual culture is much exposed to adolescents whose values and morality have not been established yet, as well as grown-ups. Highly dependent on the pop culture, immature adolescents are very likely to accept the distorted sexual expressions and anti-social, violent, and anti-normative expressions as they are without critical consciousness. Once accepted by adolescents indiscriminately, the culture can be passed down onto future adolescents. It is thus needed to create an educational environment to enhance the visual literacy of adolescents so that they can look at the visual cultural environments, the products of social culture, in an independent and critical fashion. The investigator proposed advertising-based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as a way to create a systematic and desirable educational environment to increase the visual literacy of adolescents. Image media-based advertising is part of the visual culture that is familiar to adolescents today, is ubiquitous in their daily lives, and can be an effective medium to improve their visual literacy. The investigator recommended the usage of image media-based advertising, which is the easiest and most expos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at are going through a confusing time in the age of various visual cultural patterns found in daily lif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propose plans for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based on image media-based advertising and test their effects so that adolescents could look at visual culture critically, make the right judgments of it, accept it in a desirable manner, and make proper use of it. The investigator surveyed the perceptions of art classes and advertising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o devise a systematic lesson approach before making lesson plans. Based on it, the investigator made lessons plans and applied them to a single group of 13 students from the broadcasting club at a middle school in Suwon City, Gyeonggi Province. A visual literacy scale was used in a pre- and post-test, whose results were then analyzed. The findings show that advertising-based visual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visual liter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students were able to express their own ideas and emotions and communicate with their mates and teachers by appreciating and criticizing various advertisements, which process helped them cultivate the right visual literacy. They also naturally realized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language found in the image media by producing image media-based advertisements and faced anew and understood their visual environments by experiencing the position of culture producer as well as culture consumer. Those findings show that advertising-based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could be a venue of communication for students and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 improvement of their visual literacy. Furthermore, it also provided them with an opportunity to enjoy culture independently and lead a life with more lust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3
      • Ⅱ. 시각문화미술교육의 이해 = 5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3
      • Ⅱ. 시각문화미술교육의 이해 = 5
      • 1. 시각문화의 개념 = 5
      • 2. 시각문화교육의 출현배경 = 10
      • 3. 시각문화미술교육의 필요성 = 14
      • Ⅲ. 광고의 이해 = 18
      • 1. 광고의 역사 = 18
      • 2. 광고의 개념 = 21
      • 1) 마케팅 관점 = 22
      • 2) 커뮤니케이션 관점 = 22
      • 3. 광고의 기능 = 23
      • 4. 광고의 종류와 특성 = 25
      • 1) 인쇄매체광고의 특징 = 26
      • 2) 방송매체광고의 특징 = 27
      • 3) 인터넷광고의 특징 = 29
      • Ⅳ. 영상매체광고를 활용한 시각문화미술교육의 교육적
      • 의의 = 32
      • 1. 시각문화미술교육에서 영상매체광고 활용의 의의 = 32
      • 2. 영상매체광고를 활용한 시각문화미술교육의 방향 = 35
      • Ⅴ. 미술수업 및 광고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 = 38
      • 1. 표본의 구성 = 38
      • 2. 연구 도구 및 자료 분석 방법 = 38
      • 3. 설문지 분석 및 결과 = 39
      • 1) 응답자의 기본정보 = 39
      • 2) 미술교과에 대한 흥미도 및 참여도 = 40
      • 3) 광고에 대한 인식 = 42
      • 4) 광고의 심리․정서적 영향 = 44
      • 5) 광고를 활용한 미술수업 경험 여부 및 활동내용 = 45
      • 6) 시각적 문해력 = 47
      • 7) 광고를 활용한 미술수업 선호도 및 선호하는 활동 = 49
      • Ⅵ. 영상매체광고를 활용한 시각문화미술교육 방안 및 실제 = 52
      • 1. 수업의 설계 = 52
      • 1) 수업의 개요 = 52
      • 2) 단원 설정 및 이유 = 55
      • 3) 학습 목표 = 56
      • 4) 평가 방법 및 평가 계획 = 57
      • 5) 지도상의 유의점 = 58
      • 6) 교수-학습 지도안 = 59
      • 2. 수업의 실제 = 78
      • 1) 수업 전 ‘마음열기’ = 78
      • 2) 1-2차시 ‘생활 속의 광고를 찾아서’ = 80
      • 3) 3-6차시 ‘광고와 동고동락’ = 85
      • Ⅶ. 영상매체광고를 활용한 시각문화미술교육 결과 분석 = 102
      • 1. 표본 집단의 구성과 연구 도구 및 자료 분석 방법 = 102
      • 2. 표본 집단의 기본정보 결과 분석 = 104
      • 3. 수업적용 집단의 시각적 문해력에 관한 사전․사후 검증 = 105
      • 4. 광고 활용 미술수업에 대한 선호도 사전․사후 비교 = 107
      • 5. 광고 활용 미술수업에 대한 선호활동 사전․사후 비교 = 108
      • 6. 수업을 통한 지식 습득에 대한 사후 설문지 분석 = 110
      • 7. 사후 수업에 대한 평가 설문지 분석 = 112
      • 8. 학생들의 수업 후 느낀 점 및 하고 싶은 말 = 114
      • Ⅷ. 결론 = 1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