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09시그래프 아트갤러리 작품분석-니클라스 루먼의 사회체계이론과 인공생명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SIGGRAPH 2009 Art Gallery selected art works based on Niklas Luhmann's Sociological systems theory and Artificial Lif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79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analyze and understand eleven selected art works in Art gallery, SIGGRAPH2009 based on Nikas Luhmann's 'Sociological systems theory' and 'Artificial life art'. Since these art works were developed by a basic common concept, 'BioLogic : A Natural History of Digital Life', they expressed 'Emergent behavior' and 'Autopoiesis' of life in various ways. Therefore, we are going to look into meaning of 'Unpredictability', 'Complextiy', 'Selection', 'Reduction', 'Autopoiesis', 'Communication', 'System' and 'Enrvironment', which are main ideas in sociological systems theory and 'Emergent behavior', 'Co-evolution', and 'Metacreation' in artificial life, and apply them to the selected art works in SIGGRAPH2009 to understand the main concepts and properties of life in digital art, and autopoietic properties in system of art which are composed of system of artsit, system of art work, and system of audience.
      번역하기

      In this study, we analyze and understand eleven selected art works in Art gallery, SIGGRAPH2009 based on Nikas Luhmann's 'Sociological systems theory' and 'Artificial life art'. Since these art works were developed by a basic common concept, 'BioLogi...

      In this study, we analyze and understand eleven selected art works in Art gallery, SIGGRAPH2009 based on Nikas Luhmann's 'Sociological systems theory' and 'Artificial life art'. Since these art works were developed by a basic common concept, 'BioLogic : A Natural History of Digital Life', they expressed 'Emergent behavior' and 'Autopoiesis' of life in various ways. Therefore, we are going to look into meaning of 'Unpredictability', 'Complextiy', 'Selection', 'Reduction', 'Autopoiesis', 'Communication', 'System' and 'Enrvironment', which are main ideas in sociological systems theory and 'Emergent behavior', 'Co-evolution', and 'Metacreation' in artificial life, and apply them to the selected art works in SIGGRAPH2009 to understand the main concepts and properties of life in digital art, and autopoietic properties in system of art which are composed of system of artsit, system of art work, and system of audie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시그래프2009 아트갤러리에 선정된 11개의 작품을 니클라스 루먼의 ‘사회체계이론’과 ‘인공생명(Artificial Life)예술’을 바탕으로 분석, 이해하고자 한다. 특히 이번 시그래프2009 아트갤러리에 전시된 작품들은 'BioLogic : A Natural History of Digital Life'라는 공통된 주제 하에 이루어 진 것으로서 ‘생명’이 갖고 있는 ‘창발적 행동(Emergent Behavior)'과 '자생성(Autopoiesis)'을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첫째, 루먼의 체계이론 의 주요개념인 불확실성과 복잡성, 선별과 의미, 자생성과 자아회귀성, 의사소통, 그리고 체계와 환경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둘째, 인공생명의 창발적 행동, 공진화, 그리고 메타창조라는 개념을 살펴본 후에 이를 시그래프2009 아트갤러리 작품들에 적용, 분석함으로써 디지털아트가 가지고 있는 생명적 속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작가와 작품, 관객이 하나의 체계로 구성되며 동시에 하나의 예술체계를 구성하는 체계의 자생적 특징에 대해서도 이해하도록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시그래프2009 아트갤러리에 선정된 11개의 작품을 니클라스 루먼의 ‘사회체계이론’과 ‘인공생명(Artificial Life)예술’을 바탕으로 분석, 이해하고자 한다. 특히 이번 시그래...

      본 연구에서는 시그래프2009 아트갤러리에 선정된 11개의 작품을 니클라스 루먼의 ‘사회체계이론’과 ‘인공생명(Artificial Life)예술’을 바탕으로 분석, 이해하고자 한다. 특히 이번 시그래프2009 아트갤러리에 전시된 작품들은 'BioLogic : A Natural History of Digital Life'라는 공통된 주제 하에 이루어 진 것으로서 ‘생명’이 갖고 있는 ‘창발적 행동(Emergent Behavior)'과 '자생성(Autopoiesis)'을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첫째, 루먼의 체계이론 의 주요개념인 불확실성과 복잡성, 선별과 의미, 자생성과 자아회귀성, 의사소통, 그리고 체계와 환경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둘째, 인공생명의 창발적 행동, 공진화, 그리고 메타창조라는 개념을 살펴본 후에 이를 시그래프2009 아트갤러리 작품들에 적용, 분석함으로써 디지털아트가 가지고 있는 생명적 속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작가와 작품, 관객이 하나의 체계로 구성되며 동시에 하나의 예술체계를 구성하는 체계의 자생적 특징에 대해서도 이해하도록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재, "체계이론과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2 Ellen Thro, "진화하는 비트생명의 불가사의한 인공생명" 인터비젼 2006

      3 이주연, "디지털 매체예술에서 인공생명과 창발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2006

      4 최재정, "니클라스 루만의 ‘체계이론’과 그 교육학적 수용의 문제" 한국교육철학학회 (29) : 169-200, 2003

      5 "http://www.ecologyandsociety.org/vol5/iss2/art12"

      6 "http://www.dwbowen.com/portfolio.html"

      7 "http://old.siggraph.org/s2009/galleries_experiences/biologic_art/"

      8 David Crow, "Visible Signs" 안그라픽스 2006

      9 Simon Penny, "The Darwin Machine: Artificial Life and Interactive Art" 29 : 1996

      10 Mauro Annunziato, "Relazioni Emergenti: Experiments with the Art of Emergence" 35 (35): 147-152, 2002

      1 김성재, "체계이론과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2 Ellen Thro, "진화하는 비트생명의 불가사의한 인공생명" 인터비젼 2006

      3 이주연, "디지털 매체예술에서 인공생명과 창발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2006

      4 최재정, "니클라스 루만의 ‘체계이론’과 그 교육학적 수용의 문제" 한국교육철학학회 (29) : 169-200, 2003

      5 "http://www.ecologyandsociety.org/vol5/iss2/art12"

      6 "http://www.dwbowen.com/portfolio.html"

      7 "http://old.siggraph.org/s2009/galleries_experiences/biologic_art/"

      8 David Crow, "Visible Signs" 안그라픽스 2006

      9 Simon Penny, "The Darwin Machine: Artificial Life and Interactive Art" 29 : 1996

      10 Mauro Annunziato, "Relazioni Emergenti: Experiments with the Art of Emergence" 35 (35): 147-152, 2002

      11 Georg Kneer, "Niklas Luhmanns Thorie sozialer Systeme(니클라스 루만으로의 초대)" 갈무리 2008

      12 Mitchell Whitelaw, "Metacreation : art and artificial life" The MIT Press 2004

      13 Steven Levy, "Artificial Life" 사민서각 1995

      14 Christa Sommerer, "Art as a Living System: Interactive Computer Artworks" 32 (32): 165-173,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