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시대미술 전시의 시공간과 탈식민주의적 틈 :오쿠이 엔위저의 큐레이팅 = Time-Space of Contemporary Art Exhibition and Postcolonial Gap : Curating by Okwui Enwez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074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think about the postcolonial gap revealed in time-space of the contemporary art exhibition along with the research on Okwui Enwezor's way of curating. He is a leading curator from Nigeria, dealing with the exhibitions on main issues of postcolonialism. He has worked as a director of Documenta 11 in 2002 and Gwangju biennale in 2008, and become one of world-famous curator. He has a non-western standpoint in the transnational mega-exhibition that has been prevalent since late 1990s. Postcolonialism - the starting point of his curating - contributed to the extension of the definition of contemporary art beyond the pale of avant-garde aesthetics based on western modernism, as well as the attraction of social attention on problems as such inequalities or conflicts intensified by globalization. Enwezor explore the appropriate curatorial practice for the effects of contemporary geopolitical configuration through his writing ; ‘The Postcolonial Constellation : Contemporary Art in a State of Permanent Transition’ and ‘Mega-Exhibitions and the Antinomies of Transnational Global Form’. Venice biennale in 2015 curated by Enwezor holding an oppugnant perspective on commercialization of contemporary art has been described as the most political one since 1974. That biennale delivered the warning against Global capitalism today, which was represented in the performance of reading the Capital of Marx. At the same time, however, it demonstrated the self-contradiction in the time-space of contemporary mega-exhibition, that is already involved in transnational capital. It is the limit as well as possibility of Okwui Enwezor's curating that is premised the antinomic condition of the postcolonial gap in the heterogeneous world.
      번역하기

      This paper attempts to think about the postcolonial gap revealed in time-space of the contemporary art exhibition along with the research on Okwui Enwezor's way of curating. He is a leading curator from Nigeria, dealing with the exhibitions on main is...

      This paper attempts to think about the postcolonial gap revealed in time-space of the contemporary art exhibition along with the research on Okwui Enwezor's way of curating. He is a leading curator from Nigeria, dealing with the exhibitions on main issues of postcolonialism. He has worked as a director of Documenta 11 in 2002 and Gwangju biennale in 2008, and become one of world-famous curator. He has a non-western standpoint in the transnational mega-exhibition that has been prevalent since late 1990s. Postcolonialism - the starting point of his curating - contributed to the extension of the definition of contemporary art beyond the pale of avant-garde aesthetics based on western modernism, as well as the attraction of social attention on problems as such inequalities or conflicts intensified by globalization. Enwezor explore the appropriate curatorial practice for the effects of contemporary geopolitical configuration through his writing ; ‘The Postcolonial Constellation : Contemporary Art in a State of Permanent Transition’ and ‘Mega-Exhibitions and the Antinomies of Transnational Global Form’. Venice biennale in 2015 curated by Enwezor holding an oppugnant perspective on commercialization of contemporary art has been described as the most political one since 1974. That biennale delivered the warning against Global capitalism today, which was represented in the performance of reading the Capital of Marx. At the same time, however, it demonstrated the self-contradiction in the time-space of contemporary mega-exhibition, that is already involved in transnational capital. It is the limit as well as possibility of Okwui Enwezor's curating that is premised the antinomic condition of the postcolonial gap in the heterogeneous worl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오쿠이 엔위저의 큐레이팅에 관한 연구와 더불어 동시대미술 전시의 시공간에서 드러나는 탈식민주의적 틈 (간극)에 대하여 생각해보고자 한다. 그는 탈식민주의의 주요한 의제들을 다루는 전시에 탁월한 나이지리아 출신의 큐레이터이다. 2002년 카셀도쿠멘타와 2008년 광주비엔날레에서 총감독을 역임하면서, 1990년대 후반 이후 성행한 초국가적 거대전시에서 비서구적 입지를 지닌 큐레이터로 명성을 쌓았다. 그의 큐레이팅의 출발점인 탈식민주의는 서구 모더니즘에 기반한 아방가르드 미학의 범주를 넘어서 동시대미술의 정의를 확장했으며, 또한 전지구화로 인하여 심화된 불평등과 갈등 같은 문제들에 사회적인 주목을 불러일으키는 데 기여했다. 그는 「탈식민적 성좌 : 영구적 이행 상태에서 동시대 미술」과 「거대전시와 초국가적 세계상의 이율배반」 등의 저술을 통해 동시대의 지정학적 배치의 영향들을 인식하고 이에 적합한 전시기획의 실천을 모색한다. 미술의 상업화를 비판하는 소신을 가진 엔위저가 큐레이팅한 2015년 베니스 비엔날레는 1974년 이후 가장 정치적인 전시였다는 평을 듣는다. 막스의 자본론을 읽는 퍼포먼스로 상징될 수 있듯이 이 전시는 오늘날의 글로벌자본주의에 대해 경고하려는 취지를 가지고 있었지만, 초국가적 자본과 이미 밀접하게 연루된 동시대미술의 거대전시라는 시공간에서 자기모순을 보여주기도 한다. 오쿠이 엔위저의 큐레이팅은 이질적인 세계의 탈식민주의적 틈이라는 이율배반적 조건을 전제하며 이루어지는데, 이것은 그의 전시가 지닌 한계이자 가능성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오쿠이 엔위저의 큐레이팅에 관한 연구와 더불어 동시대미술 전시의 시공간에서 드러나는 탈식민주의적 틈 (간극)에 대하여 생각해보고자 한다. 그는 탈식민주의의 주요한 의제...

      본 논문은 오쿠이 엔위저의 큐레이팅에 관한 연구와 더불어 동시대미술 전시의 시공간에서 드러나는 탈식민주의적 틈 (간극)에 대하여 생각해보고자 한다. 그는 탈식민주의의 주요한 의제들을 다루는 전시에 탁월한 나이지리아 출신의 큐레이터이다. 2002년 카셀도쿠멘타와 2008년 광주비엔날레에서 총감독을 역임하면서, 1990년대 후반 이후 성행한 초국가적 거대전시에서 비서구적 입지를 지닌 큐레이터로 명성을 쌓았다. 그의 큐레이팅의 출발점인 탈식민주의는 서구 모더니즘에 기반한 아방가르드 미학의 범주를 넘어서 동시대미술의 정의를 확장했으며, 또한 전지구화로 인하여 심화된 불평등과 갈등 같은 문제들에 사회적인 주목을 불러일으키는 데 기여했다. 그는 「탈식민적 성좌 : 영구적 이행 상태에서 동시대 미술」과 「거대전시와 초국가적 세계상의 이율배반」 등의 저술을 통해 동시대의 지정학적 배치의 영향들을 인식하고 이에 적합한 전시기획의 실천을 모색한다. 미술의 상업화를 비판하는 소신을 가진 엔위저가 큐레이팅한 2015년 베니스 비엔날레는 1974년 이후 가장 정치적인 전시였다는 평을 듣는다. 막스의 자본론을 읽는 퍼포먼스로 상징될 수 있듯이 이 전시는 오늘날의 글로벌자본주의에 대해 경고하려는 취지를 가지고 있었지만, 초국가적 자본과 이미 밀접하게 연루된 동시대미술의 거대전시라는 시공간에서 자기모순을 보여주기도 한다. 오쿠이 엔위저의 큐레이팅은 이질적인 세계의 탈식민주의적 틈이라는 이율배반적 조건을 전제하며 이루어지는데, 이것은 그의 전시가 지닌 한계이자 가능성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상용, "현대미술, 글로벌 트렌드의 권위를 넘어서" Noosphere 2015

      2 심상용, "현대미술, 글로벌 트렌드의 권위를 넘어서" Noosphere 2015

      3 폴 오닐, "큐레이팅이란 무엇인가" 현실문화 2013

      4 이용우, "카셀토큐멘타 : 글로벌리즘을 내건 고도의 문화전략" 2002

      5 Spivak, Gayatri, "지구화시대의 미학교육" 북코리아 2017

      6 Spivak, Gayatri, "지구화시대의 미학교육" 북코리아 2017

      7 박만우, "전시기획 실제의 양면-카셀 도큐멘타 11의 사례분석을 통해" 9 :

      8 김해주, "전시공간 속 퍼포먼스 : 2015 베니스 비엔날레"

      9 진휘연, "작품 제작 과정으로서 플랫폼의 역할과 의미 - 오픈 소스 아트와 참여적 재생산" 한국예술연구소 (14) : 139-164, 2016

      10 오쿠이 엔위저, "연례보고 : 일년동안의 전시"

      1 심상용, "현대미술, 글로벌 트렌드의 권위를 넘어서" Noosphere 2015

      2 심상용, "현대미술, 글로벌 트렌드의 권위를 넘어서" Noosphere 2015

      3 폴 오닐, "큐레이팅이란 무엇인가" 현실문화 2013

      4 이용우, "카셀토큐멘타 : 글로벌리즘을 내건 고도의 문화전략" 2002

      5 Spivak, Gayatri, "지구화시대의 미학교육" 북코리아 2017

      6 Spivak, Gayatri, "지구화시대의 미학교육" 북코리아 2017

      7 박만우, "전시기획 실제의 양면-카셀 도큐멘타 11의 사례분석을 통해" 9 :

      8 김해주, "전시공간 속 퍼포먼스 : 2015 베니스 비엔날레"

      9 진휘연, "작품 제작 과정으로서 플랫폼의 역할과 의미 - 오픈 소스 아트와 참여적 재생산" 한국예술연구소 (14) : 139-164, 2016

      10 오쿠이 엔위저, "연례보고 : 일년동안의 전시"

      11 히토 슈타이얼, "스크린의 추방자들" 워크룸프레스 2016

      12 이현애, "미술이 정치를 만든다 : Documenta 11" 2002

      13 Herbert, James D., "미술사의 현대적 시각들" 경성대학교 출판부 2007

      14 Dumbadze, Alexander, "라운드테이블: 1989년 이후 동시대미술 현장을 이야기하다" 예경 2015

      15 Gioni, Massimiliano, "라운드테이블" 예경 2015

      16 Kapur, Geeta, "라운드테이블"

      17 신혜성, "동시대 미술의 이율배반과 비평적 사유 : 라틴아메리카 연구에서 이미지의 문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4

      18 신보슬, "관객의 자리가 빠진 현대미술, 그리고 미래가 빠진 ‘모든 세상의 미래’ : 베니스 비엔날레 리뷰"

      19 Archey, Karen, "Why Does Okwui Enwezor's Biennale Feel So Out of Date?"

      20 Enwezor, Okwui, "The Postcolonial Constellation : Contemporary Art in a State of Permanent Transition" 34 (34): 2003

      21 Hoskote, Ranjit, "The Biennial Reader" Hatje Cantz Pub 2010

      22 Filipovic, Elena, "The Biennial Reader" Hatje Cantz Pub 2010

      23 Enwezor, Okwui, "The Biennial Reader" The Biennial Reader 2010

      24 Russeth, Andrew, "The 2015 Venice Biennales's Central Show, Focused on Strife, Is Uneasy, Uneven"

      25 Enwezor, Okwui, "La Biennale di Venezia 56th International Art Exhibition : All the World's Future" Fondazione La Biennale di Venezia 2015

      26 Sooke, Alastair, "Hectoring and Joyless"

      27 Kuo, Michelle, "Global Entry"

      28 Enwezor, Okwui, "Documenta 11, Platform 5 : Exhibitions, Cataloguye" Hatje Cantz 2002

      29 Higgins, Charlotte, "Das Kapital at the Arsenale : how Okwui Enwezor invited Marx to the Biennal e"

      30 Buchloh, Benjamin H. D, "Biennale on the Blink"

      31 Smith, Roberta, "Art for the Planet's Sake at the Venice Biennale"

      32 Terry Smith, "Antinomies of Art and Culture" Duke University Press 2008

      33 최태만, "2008 광주비엔날레, 두드린 후 건넌 돌다리" 2008

      34 양은희, "1990년대 이후 한국미술의 세계화 맥락에서 본 광주비엔날레와 문화매개자로서의 큐레이터" 현대미술사학회 (40) : 97-128, 2016

      35 신혜성, "1960년대 아르헨티나 아방가르드 미술의 시간성" 한국기초조형학회 14 (14): 333-343,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