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앙드레 고르, "프롤레타리아여 안녕" 생각의나무 2011
2 김성호, "존재 리얼리즘을 향하여-최근의 총체성과 리얼리즘 논의에 부쳐" 창비 42 (42): 2014
3 돌베개 편집부, "우리가 우리에게" 돌베개 1985
4 발터 벤야민, "역사의 개념에 대하여; 폭력비판을 위하여; 초현실주의 외" 길 2008
5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펭귄클래식코리아 2010
6 실천문학편집위원회, "시여 무기여-14인의 신인작품집" 실천문학사 1984
7 권혁웅, "시론" 문학동네 2014
8 가야트리 차크라보르티 스피박, "서발턴은 말할수 있는가?-서발턴 개념의 역사에 관한 성찰들" 그린비 2013
9 고봉준, "비인칭적인 것" 산지니 2014
10 박태순, "민중 노동 그리고 문학" 지양사 1985
1 앙드레 고르, "프롤레타리아여 안녕" 생각의나무 2011
2 김성호, "존재 리얼리즘을 향하여-최근의 총체성과 리얼리즘 논의에 부쳐" 창비 42 (42): 2014
3 돌베개 편집부, "우리가 우리에게" 돌베개 1985
4 발터 벤야민, "역사의 개념에 대하여; 폭력비판을 위하여; 초현실주의 외" 길 2008
5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펭귄클래식코리아 2010
6 실천문학편집위원회, "시여 무기여-14인의 신인작품집" 실천문학사 1984
7 권혁웅, "시론" 문학동네 2014
8 가야트리 차크라보르티 스피박, "서발턴은 말할수 있는가?-서발턴 개념의 역사에 관한 성찰들" 그린비 2013
9 고봉준, "비인칭적인 것" 산지니 2014
10 박태순, "민중 노동 그리고 문학" 지양사 1985
11 백낙청, "민족문학과 세계문학 2" 창작과비평사 1985
12 조재룡, "말하는 주체, 시적 주체, 주체화" 천년의시작 12 (12): 2013
13 백무산, "만국의 노동자여" 청사 1988
14 이혜령, "노동하지 않는 노동자의 초상 - 1980년대 노동문학론 소고" 국학연구원 (175) : 295-320, 2016
15 채광석, "노동시선집" 실천문학사 1985
16 한국노총장학회, "노동문학전집" 한국노총장학회 1986
17 조르조 아감벤, "남겨진 시간" 코타누스 2008
18 천정환, "그 많던 ‘외치는 돌멩이’들은 어디로 갔을까―1980~90년대 노동자문학회와 노동자 문학" 역사문제연구소 (106) : 173-205, 2014
19 백무산, "계간 파란-시론" 파란 2016
20 천정환, "1980년대 문학ㆍ문화사 연구를 위한 시론 (1) ― 시대와 문학론의 ‘토픽’과 인식론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학회 (56) : 389-416,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