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 관점에서 소비생활 여건에 대한 소비자 신뢰와 지속가능소비 실천의 관련성과소비생활 여건에 대한 소비자 신뢰가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 관점에서 소비생활 여건에 대한 소비자 신뢰와 지속가능소비 실천의 관련성과소비생활 여건에 대한 소비자 신뢰가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 관점에서 소비생활 여건에 대한 소비자 신뢰와 지속가능소비 실천의 관련성과소비생활 여건에 대한 소비자 신뢰가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소비자원의 ‘2017 한국의 소비생활지표’, ‘2019 한국의 소비생활지표’, ‘2021 한국의소비생활지표’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생활 여건에 대한 소비자 신뢰정도는 2017년, 2019년, 2021년 모두 중간 정도였고, 약간이기는 하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향되었다.
오프라인 소비생활 여건에 대한 소비자 신뢰와 온라인 소비생활 여건에 대한 소비자 신뢰는 역시 2017년, 2019년, 2021년 모두 중간 정도였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소 상향되었다. 지속가능소비 실천 정도는2017년, 2019년, 2021년 모두 중간 정도이기는 하나 대체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지속가능소비실천의 하위영역인 ‘친환경상품 구매’, ‘에너지절약’, ‘자원재활용’, ‘녹색실천 선도’, ‘윤리소비 실천’ 모두2017년, 2019년, 2021년 모두 대체로 중간 정도였다. 둘째, 소비생활 여건에 대한 소비자 신뢰와지속가능소비 실천은 2017년, 2019년, 2021년 모두 정적 관련성을 보였고, 소비생활 여건에 대한소비자 신뢰와 지속가능소비 실천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정적 관련성을 보였다. 오프라인 소비생활 여건에대한 소비자 신뢰와 지속가능소비 실천, 온라인 소비생활 여건에 대한 소비자 신뢰와 지속가능소비 실천은2017년, 2019년, 2021년 모두 정적 관련성이 있었다. 오프라인 소비생활 여건에 대한 소비자 신뢰와지속가능소비 실천의 하위영역별 관련성, 온라인 소비생활 여건에 대한 소비자 신뢰와 지속가능소비실천의 하위영역별 관련성 역시 모두 2017년, 2019년, 2021년에서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생활 여건에 대한 소비자 신뢰는 2017년, 2019년, 2021년 모두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정적인 영향을미쳤다. 오프라인 소비생활 여건에 대한 소비자 신뢰와 온라인 소비생활 여건에 대한 소비자 신뢰가2017년, 2019년, 2021년 모두 지속가능소비 실천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소비생활 여건에 대한 소비자신뢰는 2017년, 2019년, 2021년 모두 지속가능소비 실천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지속가능소비 실천의 하위영역에서는 오프라인 소비생활 여건에 대한 소비자 신뢰는 2017년, 2019년, 2021년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온라인 소비생활 여건에 대한 소비자 신뢰는 하위영역 및 연도에따라 영향 여부에 차이가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trust in consumption living conditions and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and the effect of consumer trust in consumption living conditions on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longitudinal...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trust in consumption living conditions and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and the effect of consumer trust in consumption living conditions on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longitudinally. The empirical data for this study were from ‘the 2017 Consumption Life Indicator in Korea’, ‘the 2019 Consumption Life Indicator in Korea’, and ‘the 2021 Consumption Life Indicator in Korea’ by Korea Consumer Ag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the levels of consumer trust in consumption living conditions, and the levels of consumer trust in offline consumption living conditions and consumer trust in online consumption living conditions were in middle generally in all of 2017, 2019 and 2021. The levels of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and the levels of purchasing eco-friendly products, energy conservation, resource recycling, leading green practice and ethical consumption practice as sub-areas were in middle generally in all of 2017, 2019 and 2021.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consumer trust in consumption living conditions and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the correlation between consumer trust in offline consumption living conditions and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consumer trust in online consumption living conditions and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were positive in all of 2017, 2019 and 2021. The correlations between consumer trust in consumption living conditions and each sub-areas of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the correlations between consumer trust in offline consumption living conditions and each sub-areas of each sub-areas of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consumer trust in online consumption living conditions and each sub-areas of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the correlation were positive in all of 2017, 2019 and 2021. Third, consumer trust in consumer living conditions had positive effects on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in 2017, 2019 and 2021.
Consumer trust in offline consumption living conditions and consumer trust in online consumption conditions had also positive effects on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in 2017, 2019 and 2021. Consumer trust in consumer living conditions had positive effect on all sub-areas of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in 2017, 2019 and 2021. Consumer trust in offline consumption living conditions had positive effects on all sub-areas of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in 2017, 2019 and 2021, but the effect of consumer trust in online consumption living conditions differed depending on the sub-area of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and the year.
참고문헌 (Reference)
1 황미진, "한국의 소비생활지표 개선 및 타당화 : 소비생활만족과 소비생활신뢰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소비자원 49 (49): 111-134, 2018
2 황혜선, "친사회적 소비에 대한 소비자의 행동적 가치인식과 실천행동: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9 (19): 162-180, 2019
3 박혜원, "집단의 사회적 자본이 집단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정보, 자원, 사회적 지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233-269, 2006
4 박미혜, "지속가능소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지각된 소비자효과의 매개효과와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18 (18): 17-49, 2022
5 박미혜, "지속가능소비의 개념화와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환경․사회․경제의 지속가능성을 중심으로" 한국소비문화학회 25 (25): 47-78, 2022
6 심영, "지속가능소비 실천은 소비자를 행복하게 하는가?: 2019년과 2021년 비교" 한국소비자원 53 (53): 145-169, 2022
7 천경희, "윤리적 소비 행복한 소비" 시그마프레스 2023
8 이동진 ; 유병희, "온라인 소비여건 신뢰와 온라인 구매경험 다양성이 소비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소비자원 53 (53): 67-90, 2022
9 전상민, "식품 위해에 대한 소비자 불안이 친환경상품 구매와 식품 소비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성별과 소득의 조절효과" 한국소비자원 45 (45): 77-96, 2014
10 김적교, "시장경제의 윤리적 기초" 5 (5): 127-137, 1999
1 황미진, "한국의 소비생활지표 개선 및 타당화 : 소비생활만족과 소비생활신뢰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소비자원 49 (49): 111-134, 2018
2 황혜선, "친사회적 소비에 대한 소비자의 행동적 가치인식과 실천행동: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9 (19): 162-180, 2019
3 박혜원, "집단의 사회적 자본이 집단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정보, 자원, 사회적 지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233-269, 2006
4 박미혜, "지속가능소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지각된 소비자효과의 매개효과와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18 (18): 17-49, 2022
5 박미혜, "지속가능소비의 개념화와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환경․사회․경제의 지속가능성을 중심으로" 한국소비문화학회 25 (25): 47-78, 2022
6 심영, "지속가능소비 실천은 소비자를 행복하게 하는가?: 2019년과 2021년 비교" 한국소비자원 53 (53): 145-169, 2022
7 천경희, "윤리적 소비 행복한 소비" 시그마프레스 2023
8 이동진 ; 유병희, "온라인 소비여건 신뢰와 온라인 구매경험 다양성이 소비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소비자원 53 (53): 67-90, 2022
9 전상민, "식품 위해에 대한 소비자 불안이 친환경상품 구매와 식품 소비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성별과 소득의 조절효과" 한국소비자원 45 (45): 77-96, 2014
10 김적교, "시장경제의 윤리적 기초" 5 (5): 127-137, 1999
11 김해성, "시민사회의 성격과 시민의 역할-시민교육을 위한 예비적 고찰-" 21 (21): 137-154, 1995
12 김기옥, "소비자정보론" 시그마프레스 2001
13 김성천, "소비자의 정보·기술적 책임과 역할에 관한 연구" 1 : 2-04, 2012
14 심영,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학회 20 (20): 81-119, 2009
15 서정희 ; 전향란,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 인식에 따른 사업자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소비자요구" 한국생활과학회 20 (20): 993-1008, 2011
16 박상준 ; 변지연, "소비자의 기업평가에 있어서 기업과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상호작용효과" 한국경영과학회 29 (29): 127-141, 2012
17 박종옥, "소비자역량, 소비자문제·피해경험, 소비여건의 소비자신뢰가 소비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비자원 51 (51): 37-67, 2020
18 홍미나 ; 김태은, "소비자 책임 인식이 구매단계의 지속가능 소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 공적 참여 경험의 조절효과" 한국소비자원 53 (53): 115-143, 2022
19 전상민, "소비자 사회적 책임의 실천 실태 및 증대 방안 연구"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16 (16): 1-26, 2020
20 전상민, "소비생활여건, 소비자역량, 소비자시장평가가소비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연구" 한국소비자원 49 (49): 77-110, 2018
21 한세희 ; 김연희 ; 이희선, "사회자본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한국행정학회 44 (44): 37-59, 2010
22 이장혁 ; 이승민 ; 김상용 ; 우원석, "사회공헌활동 효과에 기업 이미지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과학회 33 (33): 175-183, 2008
23 서정희 ; 전향란 ; 김미수 ; 이아름, "대학생 소비자의 확장된 소비자 역할 수행에 따른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요구" 한국소비자원 (40) : 71-89, 2011
24 허경옥, "다양한 유형의 소비자정보가 소비자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조사 분석"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9 (9): 1-21, 2013
25 손상희 ; 김경자 ; 나종연 ; 최신애, "녹색소비역량의 구성체계와 측정지표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6 (6): 95-119, 2010
26 김영두, "녹색 소비생활에 관한 종단적 연구 - 2013년과 2015년 한국의 소비생활지표 비교 -" 한국소비자원 48 (48): 57-95, 2017
27 김효정, "노인소비자의 소비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소비생활 만족도 수준에 따른 집단 차이" 한국소비자원 53 (53): 1-26, 2022
28 한은경 ; 류은아, "기업의 사회책임활동이 구매 의도에미치는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60 (60): 155-177, 2003
29 이한준 ; 박종철,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제품 및 기업평가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국마케팅학회 24 (24): 231-250, 2009
30 박상준 ; 장화영 ; 이영란,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비교" 한국경영과학회 29 (29): 15-32, 2012
31 허경옥, "기업 고객상담실의 소비자불만처리에 대한 소비자만족, 기업에 대한 소비자신뢰가 소비자의 불만제품 재구매의사에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소비자원 49 (49): 181-206, 2018
32 Seyfang, G., "What Influences the Diffusion of Grassroots Innovations for Sustainability? Investigating Community Currency Niches" 28 (28): 1-23, 2016
33 Murray, K. B., "Using a Hierarchy-of-effects Approach to Gauge the Effectivenes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 Generate Goodwill toward the Firm : Financial versus Nonfinancial Impacts" 38 (38): 141-159, 1997
34 Putnam, R. D., "Tuning in, Tuning out : The Strange Disappearance of Social Capital in America" 28 (28): 664-683, 1995
35 Lewis, J. D., "Trust as a Social Reality" 63 (63): 967-985, 1985
36 Helliwell, J. F., "The Social Context of Well-Being" 359 : 1435-1446, 2004
37 Barber, N. A., "Tapping Mindfulness to Shape Hotel Guests’ Sustainable Behavior" 55 (55): 100-114, 2014
38 Echegaray, F., "Sustainable Lifestyles after Covid-19" Routledge 2021
39 Hornibrook, S.,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Consumer : Exploring the Role of Carbon Labelling in Retail Supply Chains" 24 (24): 266-276, 2015
40 Middlemiss, L., "Sustainable Consumption-Key Issues" Routledge 2018
41 UNEP, "Sustainable Consumption and Production Indicators for the Future SDGs" UNEP 2015
42 Veenhoven, R., "Sustainable Consumption and Happiness" University of Leeds 1-32, 2004
43 Fisher, J., "Sustainable Consumption Communication : A Review of an Emerging Field of Research" 300 : 1-14, 2004
44 Forno, F., "Sustainable Community Movement Organisations" 14 (14): 139-157, 2014
45 Coleman, J. S.,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94 : 95-120, 1988
46 McFadyen, M. A.,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Creation : Diminishing Returns of the Number and Strength of Exchange Relationships" 47 (47): 735-746, 2004
47 Adler, P. S., "Social Capital : Prospects from a New Concept" 27 (27): 17-40, 2002
48 Jacobs, M. T., "Short-Term America: The Causes and Cures of Our Business Myopia"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991
49 Luchs, M. G., "Sex, Personality, and Sustainable Consumer Behavior : Elucidating the Gender Effect" 35 (35): 127-144, 2012
50 OECD, "Promoting Consumer Education : Trends, Policies, and Good Practices"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2009
51 Lee, K., "Predictors of Sustainable Consumption among Young Educated Consumers in Hong Kong" 26 (26): 217-238, 2014
52 Ghose, A., "Models for Predicting Sustainable Durable Products Consumption Behaviour : A Review Article" 24 (24): 81-89, 2020
53 Geiger, S. N., "Measuring What Matters in Sustainable Consumption : An Integrative Framework for the Selection of Relevant Behaviors" 26 (26): 18-33, 2018
54 Brunie, A., "Meaningful Distinctions within a Concept : Relational, Collective, and Generalized Social Capital" 38 : 251-265, 2009
55 김미예 ; 옥경영, "MZ세대의 소비자책임인식, 소비자교육이 지속가능소비에 미치는 영향: 기업책임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17 (17): 63-82, 2021
56 Nornam, W., "Getting to the Bottom of Triple Bottom Line" 14 (14): 243-262, 2004
57 Granovetter, M., "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 The Problem of Embeddedness" 91 (91): 481-510, 1985
58 Putnam, R. D., "Diplomacy and Domestic Politics : The Logic of Two-Level Games" 42 (42): 427-460, 1988
59 Atmaca, A. C., "Development of a Measurement Too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wareness" 6 (6): 80-91, 2019
60 Dwyer, F. R., "Developing Buyer-Seller Relationships" 51 (51): 11-27, 1987
61 Genesan, S., "Determinants of Long-Term Orientation in Buyer-Seller Relationships" 58 (58): 1-19, 1994
62 Chow, W. S., "Corporate Sustainable Development : Testing a New Scale based on the Mainland Chinese Context" 105 (105): 519-533, 2012
63 Buerke, A., "Consumer Awareness and Sustainability-focused Value Orientation as Motivating Factors of Responsible Consumer Behavior" 11 (11): 959-991, 2017
64 Balderjahn, I., "Consciousness for Sustainable Consumption : Scale Development and New Insights in the Economic Dimension of Consumers’ Sustainability" 3 (3): 181-192, 2013
65 윤각 ; 류지영, "CSR신뢰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이중매개효과모형: CSV인식과 기업태도, 소비자-기업 동일시의 역할" 한국광고학회 25 (25): 7-26, 2014
66 Goodwin, N. R., "As If the Future Mattered: Translating Social and Economic Theory into Human Behavior"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6
67 Pepper, M., "An Examination of the Values that Motivate Socially Conscious and Frugal Consumer Behaviours" 33 (33): 126-136, 2009
68 Keohane, R. O., "After Hegemony : Cooperation and Discord in the World Political Econom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4
69 Dhandra, T. K., "Achieving Triple Dividend through Mindfulness: More Sustainable Consumption, Less Unsustainable Consumption and More Life Satisfaction" 161 : 83-90, 2019
70 Biasutti, M., "A Validity and Reliability Study of the Attitudes toward Sustainable Development Scale" 23 (23): 214-230, 2017
71 황미진, "2021 한국의 소비생활지표 산출 연구" 한국소비자원 2022
72 황미진, "2019 한국의 소비생활지표 산출 연구" 한국소비자원 2019
소비자로서 소상공인의 역할행동과 자기 효능감, 소비생활 만족에 관한 경로분석 연구: 2022년 한국의 소비자 역량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소비생활복지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객관적·주관적 디지털 역량 및 관련 요인의 탐색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플랫폼 수용 요인과 소비자 이용 행위 간 구조적 관계 연구: 전동킥보드 플랫폼을 중심으로
국제 서비스거래 관련 소비자 문제 연구: 글로벌 OTA 플랫폼을 중심으로
글로벌 인재포럼 2006: 존 헤일리 왓슨 와이어트 회장
글로벌 인재포럼 , John J.Haley(Watson Wyatt), Young-Sul Kwon글로벌 인재포럼 2006: 마리엄아세파 국제교육자협회(NAFSA) 회장
글로벌 인재포럼 Miriam Assefa(Association of International Educators), Doo-hee Lee(APAIE)글로벌 인재포럼 2006: 글로벌 인재 풀의 형성 - HE관점
글로벌 인재포럼 Martha C. Piper, YoonDae Euh, Jean-Robert Pitte글로벌 인재포럼 2007: 비즈니스자산측면의 인적자본에 대한 ROI
글로벌 인재포럼 Mark Woodhouse, Seung-Cheol Lee, Don Cooper William글로벌 인재포럼 2007: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전략-기업의 사회적 책임
글로벌 인재포럼 Iwao Taka, Hyung-Cheol Kim, Vivienne K. T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