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충청남도 지방중소도시 가로 공간 분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of Street Space in the Small and Medium Cities of Chungcheongnam-do Provi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899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지방중소도시는 역사와 문화가 어우러진 콘텐츠가 강하게 작용하여 지역마다 조금씩 다른 이미지가 형성되며, 지역의 경제와 역사문화의 영향으로 공간 규모의 차이가 다르게 나타난다. 지방중소도시의 가로 공간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가로 공간을 형성하는 물리적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조사를 추진하고, 가로 공간 형성 요소별 특징을 도출하여 그에 따른 차별화된 계획을 추진하여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중소도시의 가로 공간과 대도시의 가로공간의 현상적인 차이를 물리적, 비물리적 형성요인으로 구분 및 데이터화 하여 객관적인 지표로 제시하고 공간의 차이가 있음을 증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범위는 지방중소도시로 한정하였다. 지방중소도시의 가로를 실태조사하기 위한 방법으로 첫째, 지방중소도시의 가로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영향 요인을 도출 하였다. 둘째, 도출된 영향요인을 물리적 요소(건물, 차도, 보도)와 비 물리적인(인문) 요소로 구분하여 데이터화 하였 다. 사람에 의해 형성되는 비 물리적 요인은 가로 공간에 영향을 주는 사람의 이동과 경제요소 등이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데이터화된 값을 3차원 그래프로 구성하여 지방중소도시의 가로와 대도시의 가로를 비교하여 증명하였다. (결과) 지방중소도시의 가로 현황을 조사 및 분석한 결과 충청남도의 경우 평균 건물의 층수는 2.78층, 도로는 4.33차로, 보도는 3.83m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해서 지방중소도시 중심상권의 가로현황을 수치로 환산하여 판단할 수 있었으며 대도시의 중심상권 수치가 대부분 높은 것으로 가정하였을 때 대도시와 지방중소도시의 편차가 상당히 크게 타나나는 것을 객관적 지표로 확인 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에서 다룬 지방중소도시의 가로공간 조사 결과는 가로공간의 일반적인 물리적 요소와 비물리적 요소를 데이터화된 3차원 지표로 표현하여 지방중소도시의 가로 공간 현황에 대한 이해를 쉽게 하였고, 연구에서 제시된 분석방법이 활용된다면 각 지자체 마다 가로공간에 대한 등급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연구배경 및 목적) 지방중소도시는 역사와 문화가 어우러진 콘텐츠가 강하게 작용하여 지역마다 조금씩 다른 이미지가 형성되며, 지역의 경제와 역사문화의 영향으로 공간 규모의 차이가 ...

      (연구배경 및 목적) 지방중소도시는 역사와 문화가 어우러진 콘텐츠가 강하게 작용하여 지역마다 조금씩 다른 이미지가 형성되며, 지역의 경제와 역사문화의 영향으로 공간 규모의 차이가 다르게 나타난다. 지방중소도시의 가로 공간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가로 공간을 형성하는 물리적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조사를 추진하고, 가로 공간 형성 요소별 특징을 도출하여 그에 따른 차별화된 계획을 추진하여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중소도시의 가로 공간과 대도시의 가로공간의 현상적인 차이를 물리적, 비물리적 형성요인으로 구분 및 데이터화 하여 객관적인 지표로 제시하고 공간의 차이가 있음을 증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범위는 지방중소도시로 한정하였다. 지방중소도시의 가로를 실태조사하기 위한 방법으로 첫째, 지방중소도시의 가로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영향 요인을 도출 하였다. 둘째, 도출된 영향요인을 물리적 요소(건물, 차도, 보도)와 비 물리적인(인문) 요소로 구분하여 데이터화 하였 다. 사람에 의해 형성되는 비 물리적 요인은 가로 공간에 영향을 주는 사람의 이동과 경제요소 등이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데이터화된 값을 3차원 그래프로 구성하여 지방중소도시의 가로와 대도시의 가로를 비교하여 증명하였다. (결과) 지방중소도시의 가로 현황을 조사 및 분석한 결과 충청남도의 경우 평균 건물의 층수는 2.78층, 도로는 4.33차로, 보도는 3.83m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해서 지방중소도시 중심상권의 가로현황을 수치로 환산하여 판단할 수 있었으며 대도시의 중심상권 수치가 대부분 높은 것으로 가정하였을 때 대도시와 지방중소도시의 편차가 상당히 크게 타나나는 것을 객관적 지표로 확인 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에서 다룬 지방중소도시의 가로공간 조사 결과는 가로공간의 일반적인 물리적 요소와 비물리적 요소를 데이터화된 3차원 지표로 표현하여 지방중소도시의 가로 공간 현황에 대한 이해를 쉽게 하였고, 연구에서 제시된 분석방법이 활용된다면 각 지자체 마다 가로공간에 대한 등급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Local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re strongly influenced by content that combines history and culture, creating a slightly different image from region to region. Differences in space size appear due to the influence of local economy and history culture. To improve the street space of local small cities, the overall survey of the physical factors that form the street space in the area should be carried out, and a differentiated plan should be implemented accordingly by deriv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building element of the street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tinguish and archive the phenomenal differences between the street space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nd the street space of large cities as physical and non-physical factors, presenting them as objective indicators and proving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space. (Method)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local small and medium cities. To survey the streets of local small and medium cities, the influence factors forming the horizontal space of local small and medium cities were derived. Second, the derived influence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physical factors (buildings, driveways, sidewalks) and non-physical (humanities) factors. Non-physical factors formed by people include people's movement and economic factors that affect the horizontal space. Finally, the data values were constructed in a three-dimensional graph and verified by comparing the streets of small and medium cities with those of large cities. (Result)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the analysis of the street status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the provinces showed that the average number of floors of buildings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was 2.78 stories, 4.33 lanes of roads, and 3.83 meters of sidewalks. The street status of the central commercial districts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could be determined by numerical values and the deviation between large cities and small cities could be significantly increased, as shown in the graph of the highest central business area figures in large citi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urvey in this study indicated the general physical and non-physical elements of the street space as dataized and three-dimensional, making it easi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the street space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nd if the analysis methods presented in the study are utilized, it is deemed possible for each local government to grade the street space.
      번역하기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Local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re strongly influenced by content that combines history and culture, creating a slightly different image from region to region. Differences in space size appear due to the influenc...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Local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re strongly influenced by content that combines history and culture, creating a slightly different image from region to region. Differences in space size appear due to the influence of local economy and history culture. To improve the street space of local small cities, the overall survey of the physical factors that form the street space in the area should be carried out, and a differentiated plan should be implemented accordingly by deriv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building element of the street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tinguish and archive the phenomenal differences between the street space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nd the street space of large cities as physical and non-physical factors, presenting them as objective indicators and proving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space. (Method)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local small and medium cities. To survey the streets of local small and medium cities, the influence factors forming the horizontal space of local small and medium cities were derived. Second, the derived influence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physical factors (buildings, driveways, sidewalks) and non-physical (humanities) factors. Non-physical factors formed by people include people's movement and economic factors that affect the horizontal space. Finally, the data values were constructed in a three-dimensional graph and verified by comparing the streets of small and medium cities with those of large cities. (Result)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the analysis of the street status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the provinces showed that the average number of floors of buildings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was 2.78 stories, 4.33 lanes of roads, and 3.83 meters of sidewalks. The street status of the central commercial districts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could be determined by numerical values and the deviation between large cities and small cities could be significantly increased, as shown in the graph of the highest central business area figures in large citi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urvey in this study indicated the general physical and non-physical elements of the street space as dataized and three-dimensional, making it easi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the street space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nd if the analysis methods presented in the study are utilized, it is deemed possible for each local government to grade the street spa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현우정, "특화가로의 장소성 형성을 위한 환경디자인요소에 관한 연구 :인사동 전통문화의 거리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5 (5): 139-148, 2010

      2 오병찬, "지방중소도시의 가로유형에 따른 옥외광고물조례 적용방안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2 (12): 171-180, 2017

      3 최병욱, "용인시 도로 확장에 따른 가로시설물의 디자인 개발" 한국디자인학회 25 (25): 179-188, 2012

      4 안진근, "도시이미지 향상을 위한 공공디자인 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5 (5): 51-60, 2010

      5 Kim, C., "To understand urban space" Kimundang 14-, 2006

      6 Cho, J., "Regeneration of Small and Medium- Sized City Through Improvement of Townscape in the Case of Yeongju" 6 : 27-32, 2014

      7 Seo, S., "Promoting Plans and Prorosing Policies for Raising Values of Public –Building" Auri 1-296, 2007

      8 Chai, M., "Gyeonggi-Do public design master plan : design guideline" Gyeonggi-Do 2010

      9 Min-joong seorim Edit Dpt, "Essence Korean dictionary" Min-joong seori 42-, 2014

      10 Bang, J., "ChungCheongNam-Do Public Design Future Development Plan" Chungnam Institute 1-141, 2015

      1 현우정, "특화가로의 장소성 형성을 위한 환경디자인요소에 관한 연구 :인사동 전통문화의 거리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5 (5): 139-148, 2010

      2 오병찬, "지방중소도시의 가로유형에 따른 옥외광고물조례 적용방안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2 (12): 171-180, 2017

      3 최병욱, "용인시 도로 확장에 따른 가로시설물의 디자인 개발" 한국디자인학회 25 (25): 179-188, 2012

      4 안진근, "도시이미지 향상을 위한 공공디자인 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5 (5): 51-60, 2010

      5 Kim, C., "To understand urban space" Kimundang 14-, 2006

      6 Cho, J., "Regeneration of Small and Medium- Sized City Through Improvement of Townscape in the Case of Yeongju" 6 : 27-32, 2014

      7 Seo, S., "Promoting Plans and Prorosing Policies for Raising Values of Public –Building" Auri 1-296, 2007

      8 Chai, M., "Gyeonggi-Do public design master plan : design guideline" Gyeonggi-Do 2010

      9 Min-joong seorim Edit Dpt, "Essence Korean dictionary" Min-joong seori 42-, 2014

      10 Bang, J., "ChungCheongNam-Do Public Design Future Development Plan" Chungnam Institute 1-141, 2015

      11 Lee, H., "A study on urban environmental design policy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DaeJeon Development Institute 1-141, 2013

      12 Yang, J., "A comparative study on the operational systems of the master plans in world cities" Seoul Institute 1-214, 2010

      13 Baik, S., "A Study on the Strategy of Urban Design of Seoul" Seoul Institute 1-197, 2008

      14 Kim, D., "A Study on the Roadway and Sidewalk Boundary in the Commercial District of Downtown for Street Revitalization" Changw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5

      15 Oh, B.,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System of the Street Environment Public Design in the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Intitute of the spatial design -> Journal of Korea Intitute of Spatial Design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2 0.692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