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디자인에 있어서 미의 구성요소인 선, 방향, 점, 형, 색채, 질감, 명암, 크기중에서 색채는 미를 포함하여 인간에게 의식적,무의식적으로 지각이나 감정을 지배하기 때문에 색채환경속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4658926
서울 : 建國大學校 産業大學院, 1992
학위논문(석사) --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 건축공학과 , 1992. 8
1992
한국어
613.7 판사항(4)
727.1
서울
viii, 59p. : 삽도 ; 26cm .
참고문헌: p. 57-5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건축디자인에 있어서 미의 구성요소인 선, 방향, 점, 형, 색채, 질감, 명암, 크기중에서 색채는 미를 포함하여 인간에게 의식적,무의식적으로 지각이나 감정을 지배하기 때문에 색채환경속에...
건축디자인에 있어서 미의 구성요소인 선, 방향, 점, 형, 색채, 질감, 명암, 크기중에서 색채는 미를 포함하여 인간에게 의식적,무의식적으로 지각이나 감정을 지배하기 때문에 색채환경속에서 생활하는 사용자의 미의식 및 심리적 요구를 파악하여 그들의 다양한 요구조건을 충족할 수 있는 색채환경을 제공해야 할것이다. 더우기 인간의 발달단계에 있어 가장 중요한 시기인 유아에게 주어지는 유치원 실내공간의 색채는 그들의 행위와 활동에까지 영향을 주므로 그들의 미적 특성과 색채 선호도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행위·활동과의 상호관계성을 고찰하여 그들의 욕구를 만족하고 홍미를 줄 수 있는 실내의 놀이및 학습공간의 이상적인 색채계획에 관해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유아들의 유치원건물 외장의 색채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분석하고 이상과 같은 고찰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유아의 일반적인 색채선호도
기존 문헌에 의한 색채선호도는 각 조사별로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며 본 조사에 의한 유아의 색채선호도는 노랑, 분홍, 빨강, 파랑 순으로 나타났으나, 그 비율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유아들이 일반적으로 좋아하는 색채는 노랑, 분홍, 빨강, 파랑, 초록, 주황등으로 나타난다.
2) 실내 색채 계획적인 측면
1. 현재 유치원 실내의 놀이및 학습공간인 교실은 부분적으로 정적·동적활동이 모두 행해지고 있으므로 전체적인 색채계획은 실내 각부분(바닥,벽, 천장)에서 비교적 유아의 선호도가 높았으며 색채의 감정및 특성에 있어 안정감있는 초록·연두계열의 색채를 주조로 하고, 동적인 공간은 빨강계통의 난색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교실내에서도 활동공간에 따라 변화감있고 다양한 색채계획이 되어야 할 것이다.
2. 실내색채와 유아의 행위 활동간에는 상호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유치원 실내공간의 색채는 유아의 행위·활동에 영향을 미치므로 신중히 고려되어 공간기능에 적절한 색채계획이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각 실내의 마감처리와 색채계획은 사용자인 유아의 색채선호도를 고려하여 실의 기능에 따라 동적·정적분위기를 살려서 게획하고 좀 더 개발된 재료의 다양성으로 색채와 분위기의 조화가 그 실의 교육목적에 적합하도록 계획되어 져야 할 것이다.
3) 외장 색채 계획적인 측면
1. 기존 유치원 건물의 외부색채나 실내의 색채는 전체적으로 단조롭고 비활동적인 색을 택하고 있지만, 외장 역시 유아의 선호도가 높은 색상을 도입하여 액센트색으로 사용함으로써 지루한 분위기를 탈피하여 유아에게 흥미를 유발시켜주고 유치원다운 밝고 활동적인 이미지를 살려야 겠다.
2. 유치원의 외장색채는 지붕은 주황색, 외벽은 연두, 노랑색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그러한 유아의 미적 감각을 고려하여 계획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유치원 건축의 외부 색채는 건물의 성격을 강조하면서도 자기를 주장하기보다 사람 또는 물체의 배경이 되어주어야 하므로 중명도(中明度), 저채도(低彩度) 즉 온화하고 차분한 색조가 주가 되어야 하며 그 건축물 주변의 자연환경이나 인공환경의 색과 조화될 수 있도록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고찰한 바와 같이 유치원 건축의 색채계획에 대해 기초적인 측면을 고찰함으로써 무엇보다도 유아의 입장에서 건강한 발달을 조장해 줄 수 있는 색채환경적 여건을 조성해 주어야 하며, 색채환경과 유아의 행위·활동에는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러한 색채환경의 심리적인 조사가 유아교육의 향상을 위해 보다 더 실증적으로 연구·분석·검토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eacuse colors exert a conscious or unconscious impact upon human perception or emotion, including beauty among aesthetical components such as line, direction, point, shape, color, mass, light and shade, and size in architectural design, a color setti...
Beacuse colors exert a conscious or unconscious impact upon human perception or emotion, including beauty among aesthetical components such as line, direction, point, shape, color, mass, light and shade, and size in architectural design, a color setting capable of meeting diverse requirements of the user living in a color setting should be provided for them by grasping his or her aesthetic consciousness and psychological needs.
Furthermore, since the color of kindergarten room space given to childern at the infancy, the most important period of the human developmental stages, exercises an impact upon even their conducts and activities, this study seeks to make suggestions about the ideal color scheme of room play and learning space which can satisfy their needs and give them several kinds of insterests by comprehending their color preferences and aesthetic qualities and inquiring into their relationship to their accompanying conducts and activities, and, in investigating and analyzing children's preferences of the external color of the kindergarten building,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Childern's general color preferences.
It was shown that their color preferences did somewhat differ by each research in connection with existing literature, and that their color preferences in connection with this research werlu in the sequence of yellow, pink, red, and blue.
But it was shown that their was no big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their color preferences.
Accordingly, colors that children generally preferred were shown to be yellow, pink, red, blue, green, and orange in regular sequence.
2) Aspect of interior(room) color scheme.
1. Since all of static or dynamic activities were partially carried out by childern at the classroom that was the space of kindergarten room play and learning at present, childern showed relatively high color preference in relation to each portion of the room(floor, wall and ceiling) from a prospective of entire color scheme.
And changing and diverse color scheme will have to be formed in the classroom depending upon the space activities by placing a stable series of green or yellowish green colors as a principal color in accordance with the sensation and qualities of colors in the dynamic space.
2. Since there is some correlation between room color and childern's conducts or activities and the color of kindergarten room space exerts an impact upon their activities or conducts, it is considered that appropriate color scheme for the function of space should be formulated, taking such problems into consideration.
Accordingly, the finishing and color scheme of each room will have to be designed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olor preferences of children, the users, and by making the best use of dynamic or static atmosphere in accordance with the function of the room.
And the finishing and color system of each kindergarten room will have to be designed so that the harmony of color and atmosphere can be suitable for the educational purpose of the room, using a variety of a little more developed materials.
3) Aspect of the exterior color scheme of the kindergarten.
1. The exterior color and interior color of existing kindergarten buildings have been chosen as monotonous and inactive colors as a whole, but in the future efforts will have to be made to break auray from a boring atmosphere by introducing the color tone with high preferences into the exterior color scheme, and by using accent-colors, and to give vividness to a true kindergarten-like bright and active by inducing children to have interests.
2. It was shown that children much preferred the orange roof, yellowish green wall or yellow wall in conjunction with the exterior color of the kindergarten.
Accordingly, it is considered that the exterior color scheme of the kindergarten building in consideration of children's aesthetic sense.
Therefore, since the color of the kindergarten building emphasises the nature of the building and also must become the background of objects rather than bring itself into light, colors with neutral value of color(brightness) and low chroma, namely, temperative and calm color must become principal colors. And the exterior color of the kindergarten building will have to be considered so that it can harmonize with the colors of natural environment and artificial environment around it.
As mentioned above, conditions of color setting capable of promoting healthy development should be above all provided for from children's viewpoint by inquiring into the basic aspects for the color scheme of the kindergarten building. And as a color setting have a close relationship to children's conducts or activities, it is thought that a psychological investigation of this color setting will have to be more empirically studied, analyzed and reviewed in the interests of the improvement of children educ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