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노인들이 고령화시대의 주역으로서 성공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그동안 미시적인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533183
2009
-
300
학술저널
133-146(1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노인들이 고령화시대의 주역으로서 성공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그동안 미시적인 ...
본 연구는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노인들이 고령화시대의 주역으로서 성공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그동안 미시적인 차원에서 진행된 삶의 질 관련연구는 `노인문제`라는 인식하에 주어진 환경 속에서 개선방안을 찾는데 초점을 맞춘 결과, 주로 건강, 소득 등이 중요한 삶의 질 결정요인으로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도 OECD 선진국가와 마찬가지로 여가생활, 직업, 사회적 친분관계 등이 전반적 생활만족도를 결정짓는 주요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사실이 의미하는 바는 노인들의 생활만족도 개선을 위해서는 자신의 건강과 소득수준에 맞게 여가를 즐기고, 경제활동 및 사회참여 기회 확대를 통해 제2의 인생을 설계할 수 있도록 사회적인 여건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사회경제적인 측면에서 고령자를 위한 여가시설 확충은 물론 자원봉사 등 지역사회 참여방안 등이 적극 마련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인적, 물적 인프라구축은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은 물론 고령친화산업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이다.
장애인가구와 비장애인가구의 소득 및 지출에 따른 빈곤 실태 비교: 삶의 수준 방식을 활용하여
노년기 외래의료서비스 이용횟수 궤적의 예측요인 - 초기노년과 후기노년의 예측요인 차이비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