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혼을 돌보는 역동적 소그룹 : 교회의 본질과 영성지도를 중심으로 = The Dynamic Small Group Caring the Soul : Focused on the Essence of the Church and Spiritual Dire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068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교회의 갱신과 회복을 연구한 학자들에 따르면 역사 속에서 교회의 갱신과 회복을 도모한 이들은 소그룹, 곧 ‘작은 모임’을 주목하고 중요하게 여겼다. 이러한 사실은 교회의 회복을 위한 가장 핵심적인 일이 소그룹과 그 소그룹을 이끄는 리더십에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본 논문은 교회가 생동하는 유기체로서 본질을 회복하고 다시 성장하기 위해서 전체로서의 조직교회 이전에 그 안에 있는 작은 공동체들, 곧 소그룹을 위한 믿음/신학과 그러한 믿음/신학이 작동하는 리더십을 밝힌다. 먼저, 교회 역사 속 작은 공동체들, 특히 경건주의에서 발견되는 소그룹 공동체들을 탐사하여 하나님 나라를 경험하는 공동체의 핵심, 곧 교회의 핵심적 본질이 무엇인지 찾는다. 다음으로, 소그룹이 영적 공동체가 되는 이유, 곧 소그룹에서 기대하고 작동되는 믿음, 곧 영성 공동체 신학을 문헌 고찰을 통해 이해한다. 마지막으로, 이 공동체 신학이 실제로 작동되는 소그룹을 형성하고 이끌기 위한 리더십을 문헌 고찰과 연구자의 직·간접 경험을 통해 얻은 통찰을 통합하여 이해한다. 본 논문은 연구 결과로서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첫째, 역사적으로 교회의 본질을 회복하고자 하는 흐름은 비본질화의 도전과 함께 항상 있어왔다. 그것은 주류 교회사의 이면에 지속된 영성의 역사와 맥을 같이 한다. 교회의 본질이 살아있는 가장 발전된 형태의 교회로 17세기 경건주의 운동에서 발견되는 ‘교회 안 교회(ekklesia in ekklesia)’를 주목할 수 있다. 둘째, 하나님 나라를 언뜻언뜻 경험하는 하나님 백성 공동체인 교회의 핵심적 본질은 성도간의 ‘교제(koinonia),’ 곧 ‘영적 사귐’이다. 그것은 자연적인 사귐/친밀감과 달리 ‘나와 너 사이에 그리스도를 두고 그리스도 안에서 사귀는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작은 공동체에서 작동하는 믿음으로 삼위일체 하나님을 표상으로 하는 구체적 믿음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작은 공동체의 형성을 위한 리더십은 개개인을 이끄시는 성령의 일을 알아차리고 돕는 권위주의적이지 않은 촉진자의 역할, 곧 영성지도(spiritual direction)의 리더십이다. 교제가 활성화되는 소그룹 모임을 위해 그룹영성지도(all for one type)와 그것을 위한 필수적 기술(art)로서 ‘관상적 경청(contemplative listening)’을 제안한다. 이와 함께 소그룹 모임의 약속(covenant), 곧 규칙을 세움으로써 구성원들의 영혼과 삶에 실제적 변화를 위한 환경을 만들고 유지하는 것은 그룹의 리더가 가장 먼저 진행할 영성지도임을 주장한다.
      번역하기

      교회의 갱신과 회복을 연구한 학자들에 따르면 역사 속에서 교회의 갱신과 회복을 도모한 이들은 소그룹, 곧 ‘작은 모임’을 주목하고 중요하게 여겼다. 이러한 사실은 교회의 회복을 위한...

      교회의 갱신과 회복을 연구한 학자들에 따르면 역사 속에서 교회의 갱신과 회복을 도모한 이들은 소그룹, 곧 ‘작은 모임’을 주목하고 중요하게 여겼다. 이러한 사실은 교회의 회복을 위한 가장 핵심적인 일이 소그룹과 그 소그룹을 이끄는 리더십에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본 논문은 교회가 생동하는 유기체로서 본질을 회복하고 다시 성장하기 위해서 전체로서의 조직교회 이전에 그 안에 있는 작은 공동체들, 곧 소그룹을 위한 믿음/신학과 그러한 믿음/신학이 작동하는 리더십을 밝힌다. 먼저, 교회 역사 속 작은 공동체들, 특히 경건주의에서 발견되는 소그룹 공동체들을 탐사하여 하나님 나라를 경험하는 공동체의 핵심, 곧 교회의 핵심적 본질이 무엇인지 찾는다. 다음으로, 소그룹이 영적 공동체가 되는 이유, 곧 소그룹에서 기대하고 작동되는 믿음, 곧 영성 공동체 신학을 문헌 고찰을 통해 이해한다. 마지막으로, 이 공동체 신학이 실제로 작동되는 소그룹을 형성하고 이끌기 위한 리더십을 문헌 고찰과 연구자의 직·간접 경험을 통해 얻은 통찰을 통합하여 이해한다. 본 논문은 연구 결과로서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첫째, 역사적으로 교회의 본질을 회복하고자 하는 흐름은 비본질화의 도전과 함께 항상 있어왔다. 그것은 주류 교회사의 이면에 지속된 영성의 역사와 맥을 같이 한다. 교회의 본질이 살아있는 가장 발전된 형태의 교회로 17세기 경건주의 운동에서 발견되는 ‘교회 안 교회(ekklesia in ekklesia)’를 주목할 수 있다. 둘째, 하나님 나라를 언뜻언뜻 경험하는 하나님 백성 공동체인 교회의 핵심적 본질은 성도간의 ‘교제(koinonia),’ 곧 ‘영적 사귐’이다. 그것은 자연적인 사귐/친밀감과 달리 ‘나와 너 사이에 그리스도를 두고 그리스도 안에서 사귀는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작은 공동체에서 작동하는 믿음으로 삼위일체 하나님을 표상으로 하는 구체적 믿음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작은 공동체의 형성을 위한 리더십은 개개인을 이끄시는 성령의 일을 알아차리고 돕는 권위주의적이지 않은 촉진자의 역할, 곧 영성지도(spiritual direction)의 리더십이다. 교제가 활성화되는 소그룹 모임을 위해 그룹영성지도(all for one type)와 그것을 위한 필수적 기술(art)로서 ‘관상적 경청(contemplative listening)’을 제안한다. 이와 함께 소그룹 모임의 약속(covenant), 곧 규칙을 세움으로써 구성원들의 영혼과 삶에 실제적 변화를 위한 환경을 만들고 유지하는 것은 그룹의 리더가 가장 먼저 진행할 영성지도임을 주장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cording to scholars discussing the renewal and restoration of the church, those who have sought to renew and restore the church in history have paid special attention to small group communities. This observation implies that the most critical task for the restoration of the church lies in small groups and the leadership that guides them. This paper aims to examine operating theology within Christian communities and spiritual leadership for the small groups aiming to help the church recover and grow as a living organism. First, it examines the role of small church communities throughout history. Next, a literature review on spiritual communities is conduc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faith regarding small groups in churches. Lastly, the characteristics of leadership required to form and lead the small groups, where this theology of community is actively practiced, are explored. This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assertions. First, historically, the movement to restore the essence of the church has always been accompanied by challenges related to the church's loss of essence. It aligns with the history of spirituality that has persisted alongside the mainstream church history. The most developed form of the living essence of the church can be found in small group gatherings within the church(ekklessia in ekklesia), especially in the Pietism in 17th century following the Reformation. Second, the essence of the church is the “fellowship(koinonia)” among the members, which is distinguished from worldly or natural fellowship, as it is a “spiritual fellowship” in which Christ is between the individuals, and they are in Christ. Furthermore, five specific beliefs that operate in small communities, modeled after the Triune God, are proposed. Finally, the leadership for forming such small communities involves playing the role of a facilitator, with ‘contemplative listening’ identified as a essential skill. Additionally, the building and maintenance of the small group environment through a covenant is suggested as the most important leadership role.
      번역하기

      According to scholars discussing the renewal and restoration of the church, those who have sought to renew and restore the church in history have paid special attention to small group communities. This observation implies that the most critical task f...

      According to scholars discussing the renewal and restoration of the church, those who have sought to renew and restore the church in history have paid special attention to small group communities. This observation implies that the most critical task for the restoration of the church lies in small groups and the leadership that guides them. This paper aims to examine operating theology within Christian communities and spiritual leadership for the small groups aiming to help the church recover and grow as a living organism. First, it examines the role of small church communities throughout history. Next, a literature review on spiritual communities is conduc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faith regarding small groups in churches. Lastly, the characteristics of leadership required to form and lead the small groups, where this theology of community is actively practiced, are explored. This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assertions. First, historically, the movement to restore the essence of the church has always been accompanied by challenges related to the church's loss of essence. It aligns with the history of spirituality that has persisted alongside the mainstream church history. The most developed form of the living essence of the church can be found in small group gatherings within the church(ekklessia in ekklesia), especially in the Pietism in 17th century following the Reformation. Second, the essence of the church is the “fellowship(koinonia)” among the members, which is distinguished from worldly or natural fellowship, as it is a “spiritual fellowship” in which Christ is between the individuals, and they are in Christ. Furthermore, five specific beliefs that operate in small communities, modeled after the Triune God, are proposed. Finally, the leadership for forming such small communities involves playing the role of a facilitator, with ‘contemplative listening’ identified as a essential skill. Additionally, the building and maintenance of the small group environment through a covenant is suggested as the most important leadership rol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