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장애아동 부모가 지각하는 장애아 보육서비스 이용 현황 및 요구 = Present States and Needs of Child-Care and Education Service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by Par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637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ies of child care and education, which provided children and families of disabilities with the comprehensive services, had been mainly conducted on the side of service providers, directors and teachers. To set up the appropriate policy on the child care and education based on service receiver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sent service states, satisfaction, and support needs of parents in specialized and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695 parents in the specialized and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were responded to the survey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st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experienced the discrimination(refusal to admittance, enforcement of quitting etc.) in spite of 「Non-discrimination Act」. To ban the discrimination, more concrete and rigid guidelines are needed. Second, above 80%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ceived the rehabilitation education and therapy at the other institutes. For parents wanted the expansion of the rehabilitation therapy service, the increases of service by community networks should be considered. Third,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needed more communicative relationship with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and more qualitative family support services. So family support connected with related centers need to be provided. Fourth, parents agreed with the positive effects of inclusion, but said the readiness of inclusion was at a low level.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to lift up the program level are demanded. Fifth,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th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and they stressed the quantitative increases of the specialized and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in the neighborhood. The augmentation of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for the disabilities must be promoted to level up the service quality.
      번역하기

      The studies of child care and education, which provided children and families of disabilities with the comprehensive services, had been mainly conducted on the side of service providers, directors and teachers. To set up the appropriate policy on the ...

      The studies of child care and education, which provided children and families of disabilities with the comprehensive services, had been mainly conducted on the side of service providers, directors and teachers. To set up the appropriate policy on the child care and education based on service receiver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sent service states, satisfaction, and support needs of parents in specialized and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695 parents in the specialized and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were responded to the survey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st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experienced the discrimination(refusal to admittance, enforcement of quitting etc.) in spite of 「Non-discrimination Act」. To ban the discrimination, more concrete and rigid guidelines are needed. Second, above 80%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ceived the rehabilitation education and therapy at the other institutes. For parents wanted the expansion of the rehabilitation therapy service, the increases of service by community networks should be considered. Third,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needed more communicative relationship with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and more qualitative family support services. So family support connected with related centers need to be provided. Fourth, parents agreed with the positive effects of inclusion, but said the readiness of inclusion was at a low level.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to lift up the program level are demanded. Fifth,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th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and they stressed the quantitative increases of the specialized and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in the neighborhood. The augmentation of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for the disabilities must be promoted to level up the service qual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장애아와 그 가족에게 보육과 관련서비스 등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애아보육은 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를 대상으로 연구되어 왔다. 본 연구는 장애아 보육정책의 적절한 수립을 위해서 장애아 보육서비스의 수혜자인 장애 전담과 통합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장애아동 부모 695명을 대상으로 장애아 보육서비스 이용 현황과 만족도, 지원 요구사항 등을 설문조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련 법률에도 불구하고 입소거부 혹은 퇴소요구 등의 차별을 경험한 부모가 상당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어린이집 이용 시 장애아동 차별을 금지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과 규정마련이 요구된다. 둘째, 부모의 80% 이상이 타 기관에서 교육 및 치료서비스를 받고 있으며, 어린이집에서의 치료서 비스 확대를 시급히 보완할 사항으로 지적해,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등 보다 다양한 방식의 치료서비스 지원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부모들은 어린이집과 활발하게 의사소통을 맺고 보다 양질의 가족지원 서비스를 제공받기를 희망했다. 유관기관과의 연계구축 등을 통해 가족지원 서비스 실행을 지원해줄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많은 부모들이 통합보육의 긍정적 효과에 동의하였으나 통합보육의 준비와 질적 측면에서는 우려를 나타내, 이를 개선해 줄 행 재정적 지원과 노력이 요구된다. 다섯째, 어린이집 이용에 높은 만족을 보였으나, 장애아동을 돌봐줄 어린이집 수가 부족해 양육에 어려움이 많다고 응답했다. 장애아 보육발전을 위해 장애아 어린이집 양적확충을 위한 지자체의 노력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장애아와 그 가족에게 보육과 관련서비스 등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애아보육은 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를 대상으로 연구되어 왔다. 본 연구는 장애아 보육정...

      장애아와 그 가족에게 보육과 관련서비스 등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애아보육은 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를 대상으로 연구되어 왔다. 본 연구는 장애아 보육정책의 적절한 수립을 위해서 장애아 보육서비스의 수혜자인 장애 전담과 통합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장애아동 부모 695명을 대상으로 장애아 보육서비스 이용 현황과 만족도, 지원 요구사항 등을 설문조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련 법률에도 불구하고 입소거부 혹은 퇴소요구 등의 차별을 경험한 부모가 상당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어린이집 이용 시 장애아동 차별을 금지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과 규정마련이 요구된다. 둘째, 부모의 80% 이상이 타 기관에서 교육 및 치료서비스를 받고 있으며, 어린이집에서의 치료서 비스 확대를 시급히 보완할 사항으로 지적해,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등 보다 다양한 방식의 치료서비스 지원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부모들은 어린이집과 활발하게 의사소통을 맺고 보다 양질의 가족지원 서비스를 제공받기를 희망했다. 유관기관과의 연계구축 등을 통해 가족지원 서비스 실행을 지원해줄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많은 부모들이 통합보육의 긍정적 효과에 동의하였으나 통합보육의 준비와 질적 측면에서는 우려를 나타내, 이를 개선해 줄 행 재정적 지원과 노력이 요구된다. 다섯째, 어린이집 이용에 높은 만족을 보였으나, 장애아동을 돌봐줄 어린이집 수가 부족해 양육에 어려움이 많다고 응답했다. 장애아 보육발전을 위해 장애아 어린이집 양적확충을 위한 지자체의 노력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금섭,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의 관계"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6 (46): 119-146, 2007

      2 조윤경, "통합보육시설 재원 장애아동 부모에 대한 가족기능강화 프로그램이 「가족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42 (42): 157-180, 2005

      3 박지현, "통합과 장애전담 보육시설에서의 가족지원 실태와 요구 비교" 한국보육학회 11 (11): 103-123, 2011

      4 이경화, "직업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조직풍토가 장애아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4 (14): 231-256, 2007

      5 한영숙, "장애통합보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47 (47): 65-89, 2006

      6 보건복지부, "장애인 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7 장영실, "장애유아부모의 통합보육 경험과 욕구 분석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8 (58): 127-147, 2009

      8 박성신, "장애영유아 가정에 대한 방문지원이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어머니와 영유아의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7 (7): 93-110, 2007

      9 문선화, "장애아통합보육에 대한 교사인식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33 : 251-272, 2003

      10 이제화, "장애아전담보육시설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147-167, 2011

      1 이금섭,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의 관계"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6 (46): 119-146, 2007

      2 조윤경, "통합보육시설 재원 장애아동 부모에 대한 가족기능강화 프로그램이 「가족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42 (42): 157-180, 2005

      3 박지현, "통합과 장애전담 보육시설에서의 가족지원 실태와 요구 비교" 한국보육학회 11 (11): 103-123, 2011

      4 이경화, "직업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조직풍토가 장애아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4 (14): 231-256, 2007

      5 한영숙, "장애통합보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47 (47): 65-89, 2006

      6 보건복지부, "장애인 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7 장영실, "장애유아부모의 통합보육 경험과 욕구 분석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8 (58): 127-147, 2009

      8 박성신, "장애영유아 가정에 대한 방문지원이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어머니와 영유아의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7 (7): 93-110, 2007

      9 문선화, "장애아통합보육에 대한 교사인식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33 : 251-272, 2003

      10 이제화, "장애아전담보육시설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147-167, 2011

      11 차순호, "장애아전담 보육시설 환경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조사 연구" 중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2 정병오, "장애아동의 보육실태와 보육시설 선택요인" 한국보육학회 11 (11): 75-101, 2011

      13 황복선, "장애아동을 위한 관련서비스 전달체계의 이론적 기초 정립"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7 (7): 233-251, 2002

      14 보건복지부, "장애아동복지지원법 시행령, 시행규칙"

      15 보건복지부, "장애아동복지지원법"

      16 이승기, "장애아동 보육의 제도 개선 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2008

      17 이상복, "장애아동 보육시설의 실태와 보육정책적 함의"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2 (22): 47-76, 2006

      18 김철, "장애아동 보육시설 종사자 관련 변인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4 (54): 177-195, 2011

      19 전귀연, "장애아동 가족지원 서비스 요구 및 만족도 조사" 대한가정학회 43 (43): 57-79, 2005

      20 박은성, "장애아 통합 및 전담 보육시설에서의 관련 서비스 실태와 실행에 관한 부모 인식 비교"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273-291, 2010

      21 조윤경, "장애아 보육의 바람직한 방향 모색 - 특수교육진흥법 개정과 장애인교육지원법 제정 논의를 중심으로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47 (47): 45-64, 2006

      22 김은영, "장애 유아 통합교육의 실태와 개선 방안 -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2 (12): 111-138, 2008

      23 안수경, "장애 영유아 교육 내실화를 위한 기관연계 방안" 국립특수교육원 2003

      24 조윤경, "의무교육 시행에 따른 통합보육 중심의 장애 아동 보육기관 개편방안" 57-71, 2010

      25 전혜인, "부모결연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가족능력강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0 (40): 267-280, 2005

      26 노진형, "보육교사의 장애아 통합보육에 관한 인식에 관한 연구" 8 (8): 49-66, 2008

      27 정채옥, "보육교사들의 장애유아통합보육에 대한 태도와 영향에 관한 인식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0 (10): 29-54, 2006

      28 조윤경, "가족 기능강화 프로그램이 장애 아동 부모의 스트레스와 가족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5 (5): 79-104, 2005

      29 Winton, P. J., "The consequences of mainstreaming for families of young handicapped children, In mainstramed handicapped child:Outcomes, controverises, and new direction" Erlbaum 129-148, 1983

      30 Turnbull, A. P, "Families, professionals, and exceptionality: A special partnership(4th ed)" Charles, E. Merill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4 1.64 1.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1 1.61 1.952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