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동기시대 기북지역 반유목문화의 개념과 영역 : 옥황묘문화와 낙타량유형을 중심으로 = Concepts and Perceptions of Northern Hebei s Seminomadic Pastoralism in the Bronze 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819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기북지역에서는 한반도(정주문화)와 달리 비정주문화가 확인되고, 이를 유목문화 계통으로 이해할 수 있다. 유목문화와 정주문화가 서로 상반되는 개념이기 때문에 고고자료 및 그 출토 양...

      기북지역에서는 한반도(정주문화)와 달리 비정주문화가 확인되고, 이를 유목문화 계통으로 이해할 수 있다. 유목문화와 정주문화가 서로 상반되는 개념이기 때문에 고고자료 및 그 출토 양상에서 현격한 차이가 있다. 그중 생업경제의 차이가 가장 명확하고, 생업경제를 기준으로 목축과 농경의 비중에 따라 사회 형태를 다양하게구분할 수 있다. 기북지역은 반유목문화로 구분할 수 있고, 반유목문화는 목축을 주요 생계수단으로 삼으며, 이동생활을 영위하지만, 집단 내 극히 일부는 농경을 보조수단으로 삼는다. 청동기시대 기북지역에는 생업경제를 기준으로 반유목문화에 속하는 옥황묘문화와 낙타량유형이 있다. 반유목문화는 목축이 가장 대표적인 특징이다. 특히, 기북지역에서는 면양의 뼈가 다수 발견되는데, 면양을 목축하기 위해서는 염소와 말이 필요하다. 면양은 주변지역의 풀을 완전히 뜯어먹는 습성이 있기 때문에 다른 지역으로의 이동이 필수적이고,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면양 무리를 이끄는 역할로 염소가 필요하다. 또한, 말은 유목문화의 유용한 이동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반유목문화는 기북지역에서 목축을 위한 이동생활을 영위한다. 반유목문화는 중심묘지를 통해 영역을 이해할 수 있다. 옥황묘문화의 중심묘지는 연경의 군도산 일대이고, 이지역은 사회적 중심지로 발전한다. 이 사회적 중심지를 통해 옥황묘문화는 집결의 장소 혹은 사회적 중심지의 기능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중심묘지는 다른 문화와의 경계지역이 되기도 한다. 낙타량유형 역시 기북지역 동북부에 대형의 중심묘지를 형성하고, 이 일대를 사회적 중심지로 활용하였으며, 하가점상층문화 및 비파형동검문화와의 경계지역으로 활용하였다. 동시에 옥황묘문화가 기북지역에 형성되기 이전까지 기북지역을 활동영역으로 삼고 이동생활을 영위한다. 즉, 옥황묘문화와 낙타량유형의 활동영역은 기북지역 전체로 이해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지금까지 학계가 이해하여 온 반유목문화 및 유목문화의 영역을 새롭게 이해할 필요가 있고, 이영역에는 유적이 발견되지 않은 주변 지역까지 포함하여 인식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orean Peninsula has developed based on a sedentary culture. Since the majority of archaeological finds identified in Korea have been material data from a sedentary culture, the archaeological materials and concepts of its nomadic culture have not...

      The Korean Peninsula has developed based on a sedentary culture. Since the majority of archaeological finds identified in Korea have been material data from a sedentary culture, the archaeological materials and concepts of its nomadic culture have not been well documented. However, the origins of various cultural elements found on the Korean Peninsula have been traced back to nomadic cultures, such as those from Northeast China and Scythia. Since nomadic culture is a different concept from sedentary culture, there is a noticeable difference in the identified material finds and the pattern of excavation. Based on the patterns of subsistence observed, social forms of such cultures differ widely according to the proportion of livestock breeding and farming. Of these, seminomadic pastoralism uses livestock breeding as its primary means of livelihood and leads a mobile life, but a very small portion of the group also relies on agriculture as a means of livelihood. The primary cultural typologies that can be referred to as having a seminomadic pastoral culture in Northern Hebei in the Bronze Age include the Yuhuangmiao Culture and the Luotuoliang type. The most common feature of a seminomadic pastoral culture is that of livestock farming, where goats and horses are needed to raise sheep. As sheep forage on pastures to the degree of destroying grazing land, sheep herders tend to move around and lead a mobile life in areas not yet occupied by other cultural groups. The central cemetery of the Yuhuangmiao Culture is in Yanqing s Jundushan area, which was developed into a social center. Through this center, the Yuhuangmiao Culture was able to acquire the function as a gathering place or a center of social life. The central cemetery also served as a border area with other cultures. The Luotuoliang type also created a central cemetery in the northeastern part of Northern Hebei, and utilized this area both as a social center and a boundary area between the upper Xiajiadian Culture and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Culture. At the same time, the residents of this culture lived in Northern Hebei as an active domain until the Yuhuangmiao Culture took root in the same area. In other words, the sphere of influence of the Yuhuangmiao Culture and the Luotuoliang type ended up overlapping throughout the whole Northern Hebei reg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areas of seminomadic pastoralism and nomadic culture in a new light, which have, thus far, been poorly understood by academia. Such new understandings must consider the inclusion of surrounding areas where no archaeological remains have yet been foun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Ⅱ. 반유목문화의 개념 Ⅲ. 반유목문화의 생업을 통해 본 활동영역 Ⅳ. 반유목문화의 사회적 중심지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Ⅱ. 반유목문화의 개념 Ⅲ. 반유목문화의 생업을 통해 본 활동영역 Ⅳ. 반유목문화의 사회적 중심지 Ⅴ.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콜린 렌프류, "현대 고고학 강의" 사회평론 2008

      2 김동일, "하가점상층문화의 기북지역 유입과 그 의미, In 한국고고학에서 다양성의 이해" 2017

      3 천선행, "청동기시대 조기설정 재고" 호남고고학회 51 : 4-31, 2015

      4 류기선, "유목 생활과 방목 기술, In 한몽공동학술연구 2" 단국대학교 한목학술조사연구협회 1993

      5 김동일, "옥황묘문화의 편년과 전개양상" 한국상고사학회 105 (105): 81-121, 2019

      6 윤재인, "염소·산양·면양·사슴" 內外出版社 1977

      7 로버트 켈리, "수렵채집 사회:고고학과 인류학" 사회평론 2014

      8 김동일, "비파형동검문화와 기북지역의 청동기 네트워크, In 고조선의 네트워크" 2021

      9 강인욱, "북방고고학개론" 진인진 2018

      10 강인욱, "북방고고학개론" 진인진 2018

      1 콜린 렌프류, "현대 고고학 강의" 사회평론 2008

      2 김동일, "하가점상층문화의 기북지역 유입과 그 의미, In 한국고고학에서 다양성의 이해" 2017

      3 천선행, "청동기시대 조기설정 재고" 호남고고학회 51 : 4-31, 2015

      4 류기선, "유목 생활과 방목 기술, In 한몽공동학술연구 2" 단국대학교 한목학술조사연구협회 1993

      5 김동일, "옥황묘문화의 편년과 전개양상" 한국상고사학회 105 (105): 81-121, 2019

      6 윤재인, "염소·산양·면양·사슴" 內外出版社 1977

      7 로버트 켈리, "수렵채집 사회:고고학과 인류학" 사회평론 2014

      8 김동일, "비파형동검문화와 기북지역의 청동기 네트워크, In 고조선의 네트워크" 2021

      9 강인욱, "북방고고학개론" 진인진 2018

      10 강인욱, "북방고고학개론" 진인진 2018

      11 김장석, "무문토기시대 조기설정론 재고" 한국고고학회 (69) : 94-115, 2008

      12 임상택, "무덤으로 본 新石器時代 漁撈民의 海洋景觀 構築" 국립중앙박물관 25 : 2019

      13 Tsolmon Undrakhbayar, "몽골 방목지의 지속가능한 이용과 관리 방안 탐구" 서울대학교 2016

      14 국립문화재연구소, "동아시아 고고식물 자료집 - 선사시대 중국편 -"

      15 허의행, "경관고고학의 신동향에 대한 토론문, In 고고학 연구법의 신동향" 2021

      16 강동석, "경관고고학의 신동향, In 고고학 연구법의 신동향" 2021

      17 하자노프, "遊牧社會의 構造 - 역사인류학적 접근" 지식산업사 1990

      18 노브고라도바 E.A., "蒙古의 先史時代" 학연문화사 1995

      19 滕銘予, "玉皇廟文化的發現與硏究" 2011 (2011): 2011

      20 金東一, "玉皇庙文化青铜器研究" 吉林大學 2018

      21 洪猛, "淺探冀北地區夏家店上層文化遺存" 2014 (2014): 2014

      22 陶宗冶, "淡玉皇廟文化的幾個問題" 2013 (2013): 2013

      23 江上波夫, "匈奴の經濟活動-牧畜と掠奪の場合" 東京大學東洋文化硏究所 9 : 1956

      24 楊建華, "再論玉皇廟文化" 2003 (2003): 2003

      25 楊建華, "冀北周代靑銅文化初探" 2000 (2000): 2000

      26 Owen Lattimore, "Pastoral Production and Socie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9

      27 Goto Tomio, "On the Nomadic Unit-Groups of the East Mongols in the Recent Times" Science Council of Japan 2 : 1969

      28 Owen Lattimore, "Inner Asian Fronties of China" Beacon Press 1967

      29 Dorligsuren, D., "Belcheeriin Managementiig Bolovsrongui Bolgoh Asuudal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부산고고학연구회 -> 부산고고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Pusan Archaeological Society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77 1.732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