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IT 기업 근로자의 고용불안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변화에 대한 정보와 의사소통의 이중매개 효과를검증하고자 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대량 휴직 및 실직, 무급 휴직의 장기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874938
202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903-1927(2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IT 기업 근로자의 고용불안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변화에 대한 정보와 의사소통의 이중매개 효과를검증하고자 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대량 휴직 및 실직, 무급 휴직의 장기화,...
본 연구는 IT 기업 근로자의 고용불안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변화에 대한 정보와 의사소통의 이중매개 효과를검증하고자 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대량 휴직 및 실직, 무급 휴직의 장기화, 임금 감소 등 근무환경의 변화가발생하고 노동시장의 축소라는 결과로 이어져 많은 이들이 고용불안을 경험하고 있다. 동시에 고용불안 속에서변화에 관한 정보의 중요성을 검증하고 조직구성원의 저항을 최소화하는 다양한 변인을 고려하고 있지만, 어떤기제를 통해 발생하는지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다. 최근 높아지고 있는 대내외 환경변화에 따라 고용불안이 높아지고있는 상황 속에서 변화에 대한 정보는 구성원 간의 의사소통에 순차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종단에는 직무만족에도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모형 검증을 위해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지역의 IT 기업 근로자 203명이 응답한 자료를분석했다. SPSS 25.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하고, 연구모형의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Cronbach’s ɑ 신뢰도 분석을 실시했다. 또한 Process Macro의 Model 6을 적용하여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분석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용불안은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β=-.388, p<.001). 둘째, 고용불안은변화에 대한 정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β=-.418, p<.001). 셋째, 고용불안(β=-.135, p<.001) 정도가 낮을수록, 변화에 대한 정보(β=.517, p<.001) 정도가 높을수록 의사소통이높아진다. 넷째, 고용불안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은 변화에 대한 정보와 의사소통을 투입했을 때 감소했으며, 직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완전 이중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IT 기업 근로자들의 고용불안과 직무만족 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탐색할 수 있었으며, 향후 인적자원관리에 있어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information on changes and communication 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insecurity and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at IT companies. While changes are occurring in the working env...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information on changes and communication 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insecurity and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at IT companies. While changes are occurring in the working environment due to the COVID-19 pandemic, such as mass layoffs and unemployment, prolonged unpaid leave, and wage reductions have happened.
This has resulted in a reduction in the number of people starting work, leading to many people experiencing employment instability. However, although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about organizational change is being verified as a variable that can predict members’ resistance within the organization,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on what mechanisms it occurs through. In a situation where job insecurity is increasing due to increasing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and threats, information on changes can be predicted to sequentially lead to active communication among members and ultimately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information on change and communi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insecurity and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under the influence of the rapidly changing labor market. The research hypotheses were as follows. For this research, questionnaires answered by 203 IT company workers in the metropolitan area, including Seoul, Gyeonggi, and Incheon were analyzed.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5.0 and AMOS 23.0 program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ronbach’s ɑ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research model. Process Macro’s Model 6 was applied to determine direct effects and indirect effects. The effects were analyzed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job insecurity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β=-.388, p<.001). Second, job insecurity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information on changes (β=-.418, p<.001). Third, the lower the degree of job insecurity (β=-.135, p<.001) and the higher the degree of information on changes (β=.517, p<.001), the higher the communication. Fourth, the influence of job insecurity on job satisfaction decreased when information on changes and communication were applied, and since the direct effec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complete double mediation effec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possible to explore the influencing factors that could affect the job satisfaction of workers in IT companies, and provided meaningful implications for future human resource management.
수익공유계약, 환매계약, 단순선형가격계약에 관한 대면 행동 실험 연구
직원가치제안(EVP)이 대기업의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발언행동의 매개효과와 상사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물류 전략과 아웃소싱 수준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물류기업을 대상으로
A Study of the Barriers to Technical Innovation and the Introduction of Management Inno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