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시선 추적을 통한 자율주행차 외부 표시장치의 효과적인 설치 위치의 도출을 진행하였다. 교통사고로 인한 다수의 사상자와 손실이 매년 발생하고 있다. 자율 주행 차량의 상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084700
서울 :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24
학위논문(석사) --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 기계ㆍ플랜트공학과 기계공학 , 2024. 8
2024
한국어
서울
42 ; 26 cm
지도교수: 김민구
I804:11062-20000079846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시선 추적을 통한 자율주행차 외부 표시장치의 효과적인 설치 위치의 도출을 진행하였다. 교통사고로 인한 다수의 사상자와 손실이 매년 발생하고 있다. 자율 주행 차량의 상용...
본 연구는 시선 추적을 통한 자율주행차 외부 표시장치의 효과적인 설치 위치의 도출을 진행하였다.
교통사고로 인한 다수의 사상자와 손실이 매년 발생하고 있다. 자율 주행 차량의 상용화로 운전자에 의한 교통 사고가 줄어들게 되고 이는 교통안전 향상에 상당한 기여를 한다고 볼 수 있다. 자율주행차는 운전자의 역할을 대체함으로써 운전자와 도로이용자 간의 상호 작용이 변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자율주행차와 도로이용자 간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자율주행차의 차종 및 외부 표시장치 설치 위치와 거리에 따른 도로 이용자의 시선점유율을 분석했다. 실험 결과는 도로이용자의 시선이 차량의 하단부에서 더 높음을 확인했다. 외부 표시장치가 하단부에 설치될 때, 상단부에 설치될 때보다 시선점유율이 높았다. 따라서 자율주행차의 V2H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외부 표시장치의 설치 위치는 하단부를 선택하는 것이 도로 안전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