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 팔도 식화지 연구 = Study on Records of the Products of the Eight Provinces of Joseon(朝鮮八道食貨志)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조선 팔도 식화지’의 개념 규정을 마련하고 그 계보를 통시적으로 추적한 최초의 시도이다. ‘조선 팔도 식화지’는 조선 팔도의 연혁, 물산, 풍토, 인심 등을 각 도별로 기술한 ...

      본고는 ‘조선 팔도 식화지’의 개념 규정을 마련하고 그 계보를 통시적으로 추적한 최초의 시도이다. ‘조선 팔도 식화지’는 조선 팔도의 연혁, 물산, 풍토, 인심 등을 각 도별로 기술한 글이다. 허목(許穆, 1595∼1682)의 「지승(地乘)」, 이익(李瀷, 1681∼1763)의 「생재(生財)」, 이규경(李圭景, 1788∼1856)의 「팔도의 이로움과 병폐에 대한 변증설〔八路利病辨證說〕」이 그것이다.
      「지승」은 ‘조선 팔도 식화지’의 초기 형태에 해당한다. 아직 본격적인 식화지의 완성태에 도달하지는 못했고 지리지적ㆍ역사기록적 성격을 갖고 있어서 과도기적 양상을 보인다. 「생재」는 ‘조선 팔도 식화지’의 체재를 정립하고 ‘민’ 중심의 정치경제학적 논의를 본격적으로 개진하는 방향으로 확장되었다. 「팔도의 이로움과 병폐에 대한 변증설」은 「생재」 전문(全文)을 근간으로 하여 새로운 서술을 증보하는 방식으로 「생재」의 체재와 주제의식을 계승하여 발전시켰다. ‘조선 팔도 식화지’의 담당층은 남인 관료 지식인(허목)→남인 재야 지식인(이익)→서얼(이규경)로 확대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the first attempt to establish a conceptual regulation of “Chosun Paldo Sikhwaji”(朝鮮八道食貨志: record of the products of the eight provinces of Joseon) and track its genealogy throughout. Joseon Paldo Sikhwaji is an article...

      This paper is the first attempt to establish a conceptual regulation of “Chosun Paldo Sikhwaji”(朝鮮八道食貨志: record of the products of the eight provinces of Joseon) and track its genealogy throughout. Joseon Paldo Sikhwaji is an article describing the history, products, climate, and generosity of each province by province. Heo Mok(許穆, 1595∼1682)’s ‘Jiseung’(地乘: record of human geography), Yi Ik(李瀷, 1681∼1763)’s ‘Saeng Jae’(生財: production of goods) and Lee Kyukyung(李圭景, 1788∼1856)’s ‘Paloiro-byeonjeungseol’(八路利病辨證說: discussion on the benefits and harms of the people of the eight provinces of Joseon) ar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Chosun Paldo Sikhwaji”.
      ‘Jiseung’ is an early form of Joseon Paldo Sikhwaji. It has not yet reached its completed form and has a geographic character, showing a transitional pattern. ‘Saengjae’ established the structure of Chosun Paldo Sikhwaji and expanded in the direction of a full-fledged political economic discussion centered on “people.” ‘Paloirobyeonjeungseol’ inherited the structure and thoughts of ‘Saengjae’ by adding a new description based on the full text of ‘Saengjae’. The class scope of the authors of Chosun Paldo Sikhwaji had been expanded to Namin(南人) bureaucratic intellectual(Heo Mok)→Namin non-bureaucratic intellectual(Yi Ik)→Seo-ul(庶孼 Lee Kyukyung).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