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모상담 수행능력을 기르기 위한 교과목「부모상담」수업내용 선정의 기초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657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basic research on the selection of instructional contents for a course parent counseling geared toward fostering the performance abi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parent counseling. It s specifically meant to select content categories, performance criteria and what to teach by analyzing relevant literature and the journals and written self-evaluation of students taking this course, and then to map out a 15-week teaching plan. As a result of analyzing what difficulties the selected students faced in parent counseling, five content categories were selected: poor understanding of conversational method, troubles caused by the disposition of parents, inadequate professionalism, poor confidence as a teacher, and lack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preschoolers. And nine performance criteria were selected. There are some suggestions on the right direction for the selection of instructional contents for the improvement of parent counseling skills. First, conversational skills should be developed in detail to ensure smooth communication with parents. Second, how to plan different types of parent counseling and how to carry it out should be covered to boost th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students about preschoolers. Third, various case-based virtual interview experiences should be offered for students to explore how to cope with problem situations in diverse ways so that they could have confidence and acquire how to apply what they ve learned.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basic information on the preparation of performance criteria and syllabuses and on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odels and programs of the course parent counseling geared toward fostering the performance abi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parent counseling at the early stag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basic research on the selection of instructional contents for a course parent counseling geared toward fostering the performance abi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parent counseling. It s spec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basic research on the selection of instructional contents for a course parent counseling geared toward fostering the performance abi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parent counseling. It s specifically meant to select content categories, performance criteria and what to teach by analyzing relevant literature and the journals and written self-evaluation of students taking this course, and then to map out a 15-week teaching plan. As a result of analyzing what difficulties the selected students faced in parent counseling, five content categories were selected: poor understanding of conversational method, troubles caused by the disposition of parents, inadequate professionalism, poor confidence as a teacher, and lack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preschoolers. And nine performance criteria were selected. There are some suggestions on the right direction for the selection of instructional contents for the improvement of parent counseling skills. First, conversational skills should be developed in detail to ensure smooth communication with parents. Second, how to plan different types of parent counseling and how to carry it out should be covered to boost th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students about preschoolers. Third, various case-based virtual interview experiences should be offered for students to explore how to cope with problem situations in diverse ways so that they could have confidence and acquire how to apply what they ve learned.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basic information on the preparation of performance criteria and syllabuses and on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odels and programs of the course parent counseling geared toward fostering the performance abi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parent counseling at the early stag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주영, "한 사립유치원 초임교사의 교직생활과 어려움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4

      2 우민정, "초임교사의 부모면담에 대한 어려움과 교사교육의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3 (13): 59-80, 2009

      3 허승희, "초등학교 상담교사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학부모, 교사 및 학교행정가의 요구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18 (18): 2005

      4 김영천, "질적 연구방법론Ⅰ" 문음사 2006

      5 이혜란, "전공심화과정 수업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부모상담 실제’ 교과목"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8 (18): 57-89, 2014

      6 임우영, "유치원교사의 부모-교사 협력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7 배지희, "유치원 초임교사의 부모참여 경험 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21 (21): 49-66, 2012

      8 박은혜, "유치원 초임교사 핵심역량 구인타당화 연구" 한국육아지원학회 10 (10): 107-131, 2015

      9 김향자, "유치원 초임교사 입문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예비연구" 10 : 103-127, 2007

      10 황향숙, "유치원 부모면담에 대한 실태조사" 淑明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0

      1 고주영, "한 사립유치원 초임교사의 교직생활과 어려움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4

      2 우민정, "초임교사의 부모면담에 대한 어려움과 교사교육의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3 (13): 59-80, 2009

      3 허승희, "초등학교 상담교사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학부모, 교사 및 학교행정가의 요구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18 (18): 2005

      4 김영천, "질적 연구방법론Ⅰ" 문음사 2006

      5 이혜란, "전공심화과정 수업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부모상담 실제’ 교과목"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8 (18): 57-89, 2014

      6 임우영, "유치원교사의 부모-교사 협력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7 배지희, "유치원 초임교사의 부모참여 경험 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21 (21): 49-66, 2012

      8 박은혜, "유치원 초임교사 핵심역량 구인타당화 연구" 한국육아지원학회 10 (10): 107-131, 2015

      9 김향자, "유치원 초임교사 입문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예비연구" 10 : 103-127, 2007

      10 황향숙, "유치원 부모면담에 대한 실태조사" 淑明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0

      11 박은혜, "유치원 교사의 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정서경험 탐색"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4 (14): 165-188, 2010

      12 신은수, "유치원 교사의 자격기준 요구 및 지원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07

      13 김명연, "유치원 교사의 부모상담 능력 향상을 위한 단기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14 황현주, "유치원 개인면담의 현황 및 교사와 부모의 요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5 배지희, "유아의 문제행동과 관련된 부모면담에 대한유아교사들의 인식과 경험"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89-114, 2013

      16 강현경, "유아의 문제행동 지도 과정에서의 원장의 어려움 및 바람직한 역할모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353-376, 2011

      17 김영옥, "유아교육기관의 부모상담 현황 및 교사와 부모의 요구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2 (12): 165-191, 2008

      18 강선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부모면담에 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9 정선아, "유아교사의 직무역량 요구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299-321, 2013

      20 배율미, "유아교사의 교사-부모 의사소통에 대한 인식 연구: 의사소통 어려움과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8 (18): 323-340, 2014

      21 윤기영, "유아교사와 학부모의 인간관계" 5 (5): 157-180, 2001

      22 이윤경, "유아교사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부모의 언어표현과 대처 방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23 박은혜, "유아교사론" 창지사 2003

      24 노상경, "유아교사-어머니 간 의사소통 저해 요인 탐색"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3) : 211-232, 2012

      25 김오남, "유능한 부모와 교사를 위한 부모교육" 양서원 2002

      26 박지선, "예비초임교사의 인턴과정 경험의 의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461-488, 2010

      27 김지영, "예비유아교사의 초기 교직적응을 돕기 위한 직전교육 프로그램 모형개발" 10 : 129-149, 2007

      28 박은혜, "영유아교사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미래방향" 67-87, 2007

      29 이원영, "영유아교사를 위한 부모교육" 북카페 2008

      30 이찬주, "어머니-유아교사 관계에 대한 상호 인식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3

      31 이향옥, "어린이집 영유아를 위한 부모개별상담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2 고선아, "사립유치원 초임교사와 경력교사가 학부모 관계에서 겪는 어려움과 보람에 관한 이야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33 김태인, "부모ㆍ아동상담교육 및 외부지원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과 요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417-442, 2010

      34 성병창, "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교육공동체의 인식 조사"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1 (21): 78-95, 2009

      35 김진, "가정어린이집의 부모상담 실태와 교사와 부모의 만족도 및 요구 연구" 강원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2014

      36 배소연, "4년제 유아교사양성 대학교의 전공교육과정 연구" 21 (21): 271-290, 2001

      37 교육과학기술부, "2012년 교원자격검증 실무편람" 교육과학기술부 2013

      38 이희경, "(2009년도) 전문대학교육과정 개발 연구 보고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한국전문대학 교육협의회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