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미뜨리에 깐떼미르(Dimitrie Cantemir)의 󰡔몰도바 기술(記述)(Descriptio Moldaviae)󰡕 (1714-1716) 해체하기 = Deconstructing of Dimitrie Cantemir’s 󰡔Description on Moldova(Descriptio Moldaviae)󰡕(1714-1716)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644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ven though Cantemir failed at politics in rumanian history, this failure turned into rumanian humanities. His life-long wish came true when he be came a Moldovan ruler, he attempted to be free from Ottoman Turks but failed at it and exiled to Russia....

      Even though Cantemir failed at politics in rumanian history, this failure turned into rumanian humanities. His life-long wish came true when he be came a Moldovan ruler, he attempted to be free from Ottoman Turks but failed at it and exiled to Russia. He started to write about his fatherlatiesnd, where he could not return alive .At the year of 1711 his attention and acts changed from linguistics and philosophy when in Constantinople to the annals when in Russia.
      󰡔Description on Moldova󰡕 was written at early 18 century, but it is very valuable material in rumanian history of documents. Any scholar who studies rumanian humanities needs this document to know about ancient Dachian myths and customs.
      Cantemir verified this book’s value by the metaphor that history is like an clear mirror which reflects the glorious moments of history and the images of the people. The contents of this book which was written about his love for his homeland is very accurate and detailed considering his long hostaged and exiled periods. He explained the location and presence of his fatherland, Moldova by putting the geography of Moldova at the foremost part of the book to let the ignorant Europeans to know his country.
      He mentioned Dacian kingdom, Trajan, Dragosh repeatedly so that as a first monarch of Moldovan republic, he emphasized the identity of Moldova as a roman descendants, who were formed from the union of dacian and roman people. As he was a monarch from royal family, he stressed on the ruler’s role in monarch’s election and resignation. He also wrote about his country’s formation of the people and the important annual events and marital’ burial ceremony.
      He dreamt of his country’s independence by being a monarch and stabilizing it even though he was a hopeless hostage. He made a detailed description about Moldova’s state affairs and it’s people as if he had been a monarch of it for a long time. Records about Sanziene which is a main material of rumanian oral literature and Zburator which is one of the 4 major myths is essential for those scholars who study Romanian humanities. He verified his book by founding out that Moldovan(Romanian) language originated from Latin and these two languages were very simila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루마니아 역사에서 디미뜨리에 깐떼미르는 정치는 실패했지만, 그 실패로 인해 루마니아 인문학의 창시자가 되었다. 그의 오랜 염원이었던 고국 몰도바의 군주에 올랐으나 오스만 튀르크로...

      루마니아 역사에서 디미뜨리에 깐떼미르는 정치는 실패했지만, 그 실패로 인해 루마니아 인문학의 창시자가 되었다. 그의 오랜 염원이었던 고국 몰도바의 군주에 올랐으나 오스만 튀르크로부터의 독립은 실패했고, 러시아로 망명해야 했다. 그리고 살아서 다시는 돌아갈 수 없는 그의 ‘빠뜨리아’, 모국을 기록하기 시작했다. 1711년을 기준으로 깐떼미르의 행보와 관심사가 나뉘는데, 이스탄불에서 어문학과 철학에 집중했고, 러시아에서는 기록과 연대기에 열정을 쏟았다. 󰡔몰도바 기술󰡕은 18세기 초에 쓰인 것이지만, 루마니아 문헌의 역사에 몇 안 되는 귀중한 자료이다. 역사는 지난 시간 속의 영광스러운 순간과 국민의 모습을 반영해주는 깨끗한 거울과도 같다는 비유를 통해서 깐떼미르는 이 기술서의 가치를 증명했다. 조국에 대한 사랑을 표현하기 위해 기록한 이 책의 모든 내용은 작가가 오랜 동안 볼모 생활과 망명 생활을 하면서 썼다고 볼 수 없을 정도로 상세하고 정확하다. 몰도바의 지리를 기술서의 맨 앞에 위치해 18세기 초 몰도바의 존재와 위치에 관해 자료나 정보가 부족했던 유럽에 자신의 모국을 설명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백승남, "인간사(人間事)에 관여하는 수호신(守護神)의 신화적 의미와 루마니아 문학에서의 잔존 양상 -세시풍속과 절기, 풍습으로의 정착 양상을 겸하여-" 한국세계문화사학회 (51) : 55-83, 2019

      2 백승남, "디미트리에 칸테미르(Dimitrie Cantemir)의 소설 상형문자로 쓰인 역사(Istoria ieroglifică,1703/4-1705)의 현실성과 환상성" 한국세계문화사학회 (61) : 341-363, 2021

      3 Călinescu, George, "Istoria literaturii române" Editura pentru literatură 1968

      4 Cantemir, Dimitrie, "Istoria Ieroglifică" Editura pentru Literatura 1965

      5 Dinu, Tudor, "Dimitrie Cantemir şi Nicolae Mavrocordat, Rivalităţi politice şi literare la începutul scolului XVIII" Humanitas 2011

      6 Cantemir, Dimitrie, "Descrierea Moldovei" Editura Minerva 1973

      7 Lemny, Ștefan, "Cantemireștii: aventura europeană a unei familii princiare din secolul al XVIII-lea" Polirom 2013

      1 백승남, "인간사(人間事)에 관여하는 수호신(守護神)의 신화적 의미와 루마니아 문학에서의 잔존 양상 -세시풍속과 절기, 풍습으로의 정착 양상을 겸하여-" 한국세계문화사학회 (51) : 55-83, 2019

      2 백승남, "디미트리에 칸테미르(Dimitrie Cantemir)의 소설 상형문자로 쓰인 역사(Istoria ieroglifică,1703/4-1705)의 현실성과 환상성" 한국세계문화사학회 (61) : 341-363, 2021

      3 Călinescu, George, "Istoria literaturii române" Editura pentru literatură 1968

      4 Cantemir, Dimitrie, "Istoria Ieroglifică" Editura pentru Literatura 1965

      5 Dinu, Tudor, "Dimitrie Cantemir şi Nicolae Mavrocordat, Rivalităţi politice şi literare la începutul scolului XVIII" Humanitas 2011

      6 Cantemir, Dimitrie, "Descrierea Moldovei" Editura Minerva 1973

      7 Lemny, Ștefan, "Cantemireștii: aventura europeană a unei familii princiare din secolul al XVIII-lea" Polirom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