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정 조의현의 법성포 연구 = A Study on the Beobseongpo of ui-hyun Cho(ChoJeo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831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the Sijo poetry poet ui- hyun Cho. The Pungmul poem has almost all the modern poetic aspects of New poem. So far, this discussion can be summarized in several ways.
      First of all, Pungmul poem ‘Beobseongpo’, the modern poetic aspect in New poem is more formal in the language of Sijo poem than in the case of in 'Cho won'. In the poem of a primitive poem, the national language centered on a pure Korean language can be regarded as a reason. Of course, the use of spacing and punctuation marks more clearly shows the character of New poem as a modern poem.
      Secondly, Pungmul poem ‘Beobseongpo’(12 pieces) is a sophisticated song and beautiful phrase in Korean. Instead of Pungmul poem ‘Beobseongpo’s poetry,’ Sijo which was a teacher, the poet ui-hyun Cho had a different appearance of shape. In other words, the content discussion of poetry that can be defined as Pungmul poem ‘Beobseongpo’ instead of Sijo is diverse.
      Finally, the divisiveness of the external form shown by the New poem and the divisiveness shown by the poetic subject in the inner side are clearly shown in the Pungmul poem of ‘Beobseongpo’s. We are making the New poem a ‘Korean Modern poem’' that reflects our special modernity as a modernity of divisions, and this has led to the possibility of the ‘New poem’, that is, Moder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the Sijo poetry poet ui- hyun Cho. The Pungmul poem has almost all the modern poetic aspects of New poem. So far, this discussion can be summarized in several ways. First of all, Pungmul poem ‘Beobseongp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the Sijo poetry poet ui- hyun Cho. The Pungmul poem has almost all the modern poetic aspects of New poem. So far, this discussion can be summarized in several ways.
      First of all, Pungmul poem ‘Beobseongpo’, the modern poetic aspect in New poem is more formal in the language of Sijo poem than in the case of in 'Cho won'. In the poem of a primitive poem, the national language centered on a pure Korean language can be regarded as a reason. Of course, the use of spacing and punctuation marks more clearly shows the character of New poem as a modern poem.
      Secondly, Pungmul poem ‘Beobseongpo’(12 pieces) is a sophisticated song and beautiful phrase in Korean. Instead of Pungmul poem ‘Beobseongpo’s poetry,’ Sijo which was a teacher, the poet ui-hyun Cho had a different appearance of shape. In other words, the content discussion of poetry that can be defined as Pungmul poem ‘Beobseongpo’ instead of Sijo is diverse.
      Finally, the divisiveness of the external form shown by the New poem and the divisiveness shown by the poetic subject in the inner side are clearly shown in the Pungmul poem of ‘Beobseongpo’s. We are making the New poem a ‘Korean Modern poem’' that reflects our special modernity as a modernity of divisions, and this has led to the possibility of the ‘New poem’, that is, Moder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학계 알려지지 않았던 시조시인 초정 조의현의 ‘법성포’ 풍물시를 소개 하고 풍물시의 신시 가능성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초정의 풍물시는 신시의 근대시적 양상을 거의 대부분 지녔다. 지금까지 이에 대한 논의는 몇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우선 신시에서 근대시적 양상은 초정의 풍물시 ‘법성포’가 조운의 시조 ‘법성포’ 에 비해 신시의 언어로 형식적 변별성이 확보된다. 초정의 풍물시에서 순우리말 중심의 국한문체는 논거로 삼을 수 있다. 물론 띄어쓰기 및 문장부호의 사용도 근대시로서의 신시의 성격을 더욱 분명하게 보여준다.
      그 다음으로 초정의 풍물시 ‘법성포’(12편)은 노래 내용이 세련되고 우리말로 표현마디가 아름답다. 초정은 스승이었던 조운의 시조 ‘법성포’ 대신에 자신만의 풍물시로 ‘법성포’의 다른 모양새를 갖추었다. 즉 시조 대신에 신시로 규정할 만한 시의 내용적 논의가 다채롭다.
      끝으로 신시가 보여준 외적 형식의 분열성과 내적 측면에 있어서의 시적 주체가 보여준 분열성을 초정의 ‘법성포’ 풍물시에서 여실히 보여준다. 신시를 분열의 근대로서의 우리의 특수한 근대를 미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한국적 근대시’로 만들고 있는데, 이 때문에 ‘신시’, 즉 현대시로도 그 가능성을 찾아내었다.
      번역하기

      이 글은 학계 알려지지 않았던 시조시인 초정 조의현의 ‘법성포’ 풍물시를 소개 하고 풍물시의 신시 가능성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초정의 풍물시는 신시의 근대시적 양상을 거의 ...

      이 글은 학계 알려지지 않았던 시조시인 초정 조의현의 ‘법성포’ 풍물시를 소개 하고 풍물시의 신시 가능성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초정의 풍물시는 신시의 근대시적 양상을 거의 대부분 지녔다. 지금까지 이에 대한 논의는 몇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우선 신시에서 근대시적 양상은 초정의 풍물시 ‘법성포’가 조운의 시조 ‘법성포’ 에 비해 신시의 언어로 형식적 변별성이 확보된다. 초정의 풍물시에서 순우리말 중심의 국한문체는 논거로 삼을 수 있다. 물론 띄어쓰기 및 문장부호의 사용도 근대시로서의 신시의 성격을 더욱 분명하게 보여준다.
      그 다음으로 초정의 풍물시 ‘법성포’(12편)은 노래 내용이 세련되고 우리말로 표현마디가 아름답다. 초정은 스승이었던 조운의 시조 ‘법성포’ 대신에 자신만의 풍물시로 ‘법성포’의 다른 모양새를 갖추었다. 즉 시조 대신에 신시로 규정할 만한 시의 내용적 논의가 다채롭다.
      끝으로 신시가 보여준 외적 형식의 분열성과 내적 측면에 있어서의 시적 주체가 보여준 분열성을 초정의 ‘법성포’ 풍물시에서 여실히 보여준다. 신시를 분열의 근대로서의 우리의 특수한 근대를 미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한국적 근대시’로 만들고 있는데, 이 때문에 ‘신시’, 즉 현대시로도 그 가능성을 찾아내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영광향토문화연구회, "창(窓) : 초정유고집(草情遺稿集)" 영광향토문화연구회 1-139, 1997

      2 이동순, "조의현 문학전집" 소명출판 71-72, 2018

      3 우은진, "조운과 1920년대 현대시조의 형성"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0) : 93-131, 2011

      4 강구현, "영혼을 부르는 엘레지로서 소청(小靑) 문학" 영광군문인협회 2-3, 2010

      5 "영광문학 영광의 시인 -조의현의 생애와 문학, 이근철"

      6 이명연, "신시(新詩)의 한국적 근대성 연구" 한국언어문화학회 (35) : 32-, 2008

      7 강영미, "식민지시대 창작시조와 『동아일보』" 민족어문학회 (64) : 163-187, 2011

      8 강영미, "식민지시대 신문 연작시조 연구" 민족문화연구원 (53) : 289-319, 2010

      9 최재서, "시단전망" 문학과 지성, 인문사 243-, 1938

      10 "속(續)법성포(法聖浦) 풍물시(風物詩), 조의현"

      1 영광향토문화연구회, "창(窓) : 초정유고집(草情遺稿集)" 영광향토문화연구회 1-139, 1997

      2 이동순, "조의현 문학전집" 소명출판 71-72, 2018

      3 우은진, "조운과 1920년대 현대시조의 형성"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0) : 93-131, 2011

      4 강구현, "영혼을 부르는 엘레지로서 소청(小靑) 문학" 영광군문인협회 2-3, 2010

      5 "영광문학 영광의 시인 -조의현의 생애와 문학, 이근철"

      6 이명연, "신시(新詩)의 한국적 근대성 연구" 한국언어문화학회 (35) : 32-, 2008

      7 강영미, "식민지시대 창작시조와 『동아일보』" 민족어문학회 (64) : 163-187, 2011

      8 강영미, "식민지시대 신문 연작시조 연구" 민족문화연구원 (53) : 289-319, 2010

      9 최재서, "시단전망" 문학과 지성, 인문사 243-, 1938

      10 "속(續)법성포(法聖浦) 풍물시(風物詩), 조의현"

      11 "법성포(法聖浦) 풍물시(風物詩), 宜夏亭守(조의현)"

      12 조운, "법성포(法聖浦) 십이경(十二景)" (8) : 1925

      13 "만류(挽留)"

      14 "남도문학 1번지, 그 찬란했던 영광의 문학 <상>, 이동순"

      15 "남도문학 1번지 영광, 조일근"

      16 신현규, "기생 매창을 소재로 한 문화 융복합 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40 (40): 11-12, 2018

      17 洪廷善, "近代詩 形成過程에 있어서의 讀者層의 역할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2

      18 김은희, "<권주가>에 대한 일고찰 —노랫말 존재양상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 반교어문학회 (31) : 160-161, 2011

      19 이혜령, "1920년대 동아일보 학예면의 형성과정과 문학의 위치" 대동문화연구원 (52) : 115-118,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학작문학회 -> 한국 리터러시 학회
      영문명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 Korean Association for Literacy
      KCI등재
      2018-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학작문 -> 리터러시 연구
      외국어명 : Korea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 .
      KCI등재
      2018-01-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 -> The Korean Journal of Literacy Research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1-02-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 1.3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