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영광향토문화연구회, "창(窓) : 초정유고집(草情遺稿集)" 영광향토문화연구회 1-139, 1997
2 이동순, "조의현 문학전집" 소명출판 71-72, 2018
3 우은진, "조운과 1920년대 현대시조의 형성"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0) : 93-131, 2011
4 강구현, "영혼을 부르는 엘레지로서 소청(小靑) 문학" 영광군문인협회 2-3, 2010
5 "영광문학 영광의 시인 -조의현의 생애와 문학, 이근철"
6 이명연, "신시(新詩)의 한국적 근대성 연구" 한국언어문화학회 (35) : 32-, 2008
7 강영미, "식민지시대 창작시조와 『동아일보』" 민족어문학회 (64) : 163-187, 2011
8 강영미, "식민지시대 신문 연작시조 연구" 민족문화연구원 (53) : 289-319, 2010
9 최재서, "시단전망" 문학과 지성, 인문사 243-, 1938
10 "속(續)법성포(法聖浦) 풍물시(風物詩), 조의현"
1 영광향토문화연구회, "창(窓) : 초정유고집(草情遺稿集)" 영광향토문화연구회 1-139, 1997
2 이동순, "조의현 문학전집" 소명출판 71-72, 2018
3 우은진, "조운과 1920년대 현대시조의 형성"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0) : 93-131, 2011
4 강구현, "영혼을 부르는 엘레지로서 소청(小靑) 문학" 영광군문인협회 2-3, 2010
5 "영광문학 영광의 시인 -조의현의 생애와 문학, 이근철"
6 이명연, "신시(新詩)의 한국적 근대성 연구" 한국언어문화학회 (35) : 32-, 2008
7 강영미, "식민지시대 창작시조와 『동아일보』" 민족어문학회 (64) : 163-187, 2011
8 강영미, "식민지시대 신문 연작시조 연구" 민족문화연구원 (53) : 289-319, 2010
9 최재서, "시단전망" 문학과 지성, 인문사 243-, 1938
10 "속(續)법성포(法聖浦) 풍물시(風物詩), 조의현"
11 "법성포(法聖浦) 풍물시(風物詩), 宜夏亭守(조의현)"
12 조운, "법성포(法聖浦) 십이경(十二景)" (8) : 1925
13 "만류(挽留)"
14 "남도문학 1번지, 그 찬란했던 영광의 문학 <상>, 이동순"
15 "남도문학 1번지 영광, 조일근"
16 신현규, "기생 매창을 소재로 한 문화 융복합 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40 (40): 11-12, 2018
17 洪廷善, "近代詩 形成過程에 있어서의 讀者層의 역할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2
18 김은희, "<권주가>에 대한 일고찰 —노랫말 존재양상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 반교어문학회 (31) : 160-161, 2011
19 이혜령, "1920년대 동아일보 학예면의 형성과정과 문학의 위치" 대동문화연구원 (52) : 115-118,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