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유주제 : 「만복사저포기」를 활용한 결혼이주여성의 다문화교육 방안 -문학치료적 효과를 중심으로- = Method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Immigrant women using「Manboksajeopogi」 -focussing on effects of Literary therap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750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다문화가정의 증가로 결혼이주여성은 많은 경우, 한국사회에 대한 부적응과 문화차이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이들이 긍정적인 자아정체감을 갖고 한국사회에 잘 적응하기...

      최근 다문화가정의 증가로 결혼이주여성은 많은 경우, 한국사회에 대한 부적응과 문화차이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이들이 긍정적인 자아정체감을 갖고 한국사회에 잘 적응하기 위해서는 심리치료 차원의 학습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결혼이주여성이 현재 처하고 있는 심리상황을 중시하여 그들의 정서에 부합하는 다문화교육을 모색해 보았다. 고전소설 중 그들의 현재적 삶과 관련이 있는「만복사저포기」를 함께 감상하고 자기서사 쓰기로 적용하는 수업을 설계하였다. 특히 이주자에게 한국문화를 전수한다는 측면 이외에도 그들의 문화까지 함께 아우른다는 공동체적 의식에 초점을 두었으며 이를 통해 일종의 치유과정을 경험하도록 유도하였다. 수업 내용은 결혼과정과 가정생활에 주목하여, 첫 만남부터 결혼생활 내내 경험하게 되는 ``차이``를 극복하는 문제와, 행복한 가정을 만들기 위한 성찰,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 자기서사 쓰기로 구성하였다. 활동은 허용적 분위기하에서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담아내도록 하였고 공동체적 삶의 실현에 최종 목표를 두어 진행하였다. 스스로 써 낸 자기서사가 귀중한 자기성찰의 계기가 되리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Immigrant women are in difficult due to maladjustment to Korea society and cultural differences. Therefore education as a psychotherapy is needed for them to adjust to Korea society with positive self-identity. In this study, multicultural e...

      Recently, Immigrant women are in difficult due to maladjustment to Korea society and cultural differences. Therefore education as a psychotherapy is needed for them to adjust to Korea society with positive self-identity. In this study, multicultural education corresponding to their emotion is being searched. And Immigrant women`s psychological situation was considered in the process. Among the classic novels「Manboksajeopogi」which is related to their present life was used for the class. Immigrant women should appreciate the novel and apply it to writing self-narration. Sense of community which embraces their culture, not only passing on Korea culture to Immigrants is the focus of this study. And it derives them to experience a kind of healing process. This class was designed concentrated on course of the marriage and home life. After introspecting about overcoming the difference during marriage and mutual efforts to make happy domestic relations, Immigrant women are required to express their feelings as self-narration. Activities made the learners express their emotions honestly, and the final goal of the class is realization of communal life. I hope that self-narration they wrote by themselves might be a precious opportunity of self-examin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가원, "청소년을 위한 금오신화" 서해문집 2007

      2 권순희, "언어문학적 특성을 고려한 한국어교육의 교재 편성 방안" 3 : 1996

      3 정운채, "시교설의 문학치료학적 해석"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04 : 2001

      4 오세길, "배필찾기 설화 연구" 동아대 대학원 1993

      5 주은정,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 2002

      6 윤여탁, "문학을 활용한 한국어교육방법" 6 : 1999

      7 양민정, "고전소설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법" 2003

      8 강혜민, "고전소설을 통한 한국어교육" 전북대 교육대학원 2006

      9 안미영, "고전설화를 활용한 다문화가정의 한국문화교육 연구" 한국외대 2011

      10 장원기, "고전문학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2010

      1 이가원, "청소년을 위한 금오신화" 서해문집 2007

      2 권순희, "언어문학적 특성을 고려한 한국어교육의 교재 편성 방안" 3 : 1996

      3 정운채, "시교설의 문학치료학적 해석"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04 : 2001

      4 오세길, "배필찾기 설화 연구" 동아대 대학원 1993

      5 주은정,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 2002

      6 윤여탁, "문학을 활용한 한국어교육방법" 6 : 1999

      7 양민정, "고전소설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법" 2003

      8 강혜민, "고전소설을 통한 한국어교육" 전북대 교육대학원 2006

      9 안미영, "고전설화를 활용한 다문화가정의 한국문화교육 연구" 한국외대 2011

      10 장원기, "고전문학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2010

      11 문혜진, "고전문학을 활용한 다문화가정 자녀교육 방안 연구" 한국외대 교육대학원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예비평학회 -> 한국문예비평연구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3 0.82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