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현실 스포츠실은 활용방안에 대한 고민 없이 무분별하게 보급이 이루어져 자칫 ‘제 2의 아나공수업’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가상현실 스포츠실의 교육적 맥락화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536700
청주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학위논문(박사)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체육교육학과초등체육교육전공 , 2020. 2
2020
한국어
796 판사항(22)
충청북도
ⅹ, 284 p; 26 cm
한국교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 김영식
참고문헌 : p.p.251-264
I804:43012-00000003798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가상현실 스포츠실은 활용방안에 대한 고민 없이 무분별하게 보급이 이루어져 자칫 ‘제 2의 아나공수업’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가상현실 스포츠실의 교육적 맥락화를 ...
가상현실 스포츠실은 활용방안에 대한 고민 없이 무분별하게 보급이 이루어져 자칫 ‘제 2의 아나공수업’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가상현실 스포츠실의 교육적 맥락화를 위해 가상현실 스포츠실 운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체육을 활성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C도 J초등학교를 대상으로 Stringer(2004)의 3단계 순환과정을 반영한 교수체제설계(ISD)를 적용하여 운영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실행연구를 실시하였다.
가상현실 스포츠실 운영 프로그램 개발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의 목적은 ‘가상현실 스포츠실 운영 프로그램을 통한 초등체육 활성화’이다. 둘째, 목표는 건강 측면에서 ‘신체활동 참여 기회의 확대’, 교육 측면에서 ‘신체활동 참여 촉진’, 스포츠 측면에서 ‘다양한 신체활동 및 스포츠 체험’이다. 셋째, 개발 원리는 ‘더 많이 움직이기’, ‘더 많이 참여하기’, ‘더 많이 체험하기’이다. 넷째, 전략은 체육수업 및 융합체육수업을 통한 신체활동 참여 기회 제공, 정규수업 및 비정규수업을 통한 신체활동 참여 기회 제공, 학생들의 흥미와 요구를 반영한 다양한 콘텐츠 및 참여방식 개발, 학생들에게 콘텐츠 및 참여방식 선택권 부여,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한 콘텐츠 난이도 조절 기능 제공, 학생들의 신체적 특징을 고려한 다양한 도구 준비, 도전정신 및 참여 지속을 위한 기록 시스템(LMS) 도입, 학교에서 접하기 어려운 다양한 스포츠 종목 개발, 특정 스포츠 종목의 기능 연습보다 다양한 스포츠 체험 및 성공 기회 제공에 초점, 다양한 신체활동놀이를 통한 기본 움직임 기술 향상에 초점 등이다. 다섯째, 내용은 신체활동놀이, 스포츠, 융합교육(교과/범교과)이 있다. 여섯째, 방법은 체육수업, 융합체육수업, 학교스포츠클럽, 건강부, 운동부, 토요스포츠데이가 있다. 일곱째, 평가는 각 실행 단계별 학생, 교사, 학부모의 정성평가, 현장 적합성 평가, 신체활동량 검사, 정성평가를 종합한 총괄평가가 있다.
가상현실 스포츠실 운영 프로그램 개발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상현실 스포츠실 운영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현장에 매우 적합하다.
둘째, 가상현실 스포츠실 운영 프로그램은 초등체육 활성화에 기여한다.
셋째, 가상현실 스포츠실 운영 프로그램의 발전을 위해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및 역할 수행이 요구된다.
이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합하는 신기술과 교육의 융합적 접근을 시도함으로써 초등체육의 발전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가상현실 스포츠실 구축 사업이 확대 운영됨에 따른 문제점을 예측하고 교육현장의 문제해결을 위한 실질적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 김영옥, 황윤세, 최미숙, 백혜리, "아동발달론", 고양: 공동체, 2010
2 김승재, 이병준, 박명기, 박경석, 문호준, "체육교수론", 서울: 레인보우북스, 2017
3 고병구, 장용규, 이병근, 안양옥, 배성제, "아동운동과학", 서울: 레인보우북스, 2007
4 문호준, 박명기, "체육교육과정론", 서울: 레인보우북스, 2016
5 고문수, 천지애, 전세명, 엄혁주, "초등체육교육론", 서울: 휴먼북스, 2018
6 김태임, 오원옥, 심미경, 신영희, 김희순, "성장발달과 건강", 파주: ㈜교문사, 2014
7 정옥분, "아동발달의 이해", 서울: 학지사, 2018
8 김성수, "신경해부학, 제5판", 서울: 정문각, 1999
9 함수곤, "교육과정과과 교과서", 서울: 대한교과서, 2000
10 이성호, "교육과정 개발과 평가", 파주: 양서원, 2004
1 김영옥, 황윤세, 최미숙, 백혜리, "아동발달론", 고양: 공동체, 2010
2 김승재, 이병준, 박명기, 박경석, 문호준, "체육교수론", 서울: 레인보우북스, 2017
3 고병구, 장용규, 이병근, 안양옥, 배성제, "아동운동과학", 서울: 레인보우북스, 2007
4 문호준, 박명기, "체육교육과정론", 서울: 레인보우북스, 2016
5 고문수, 천지애, 전세명, 엄혁주, "초등체육교육론", 서울: 휴먼북스, 2018
6 김태임, 오원옥, 심미경, 신영희, 김희순, "성장발달과 건강", 파주: ㈜교문사, 2014
7 정옥분, "아동발달의 이해", 서울: 학지사, 2018
8 김성수, "신경해부학, 제5판", 서울: 정문각, 1999
9 함수곤, "교육과정과과 교과서", 서울: 대한교과서, 2000
10 이성호, "교육과정 개발과 평가", 파주: 양서원, 2004
11 김대현, 김석우,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서울: 학지사, 1996
12 명준표, "미세먼지와 건강 장애", 대한내과학회지, 91, 106-113, 2016
13 박창민, 조재성, "실행연구 이론과 방법",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2016
14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 2015
15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3-7호, 2013
16 김대진, "스포츠교육학 총론, 제2판", 파주: 교육과학사, 2017
17 유정애, "체육교육과정 총론, 제3판", 서울: 대한미디어, 2016
18 강현석, 주동범, "현대교육과정과 교육평가", 서울: 학지사, 2004
19 오인경, 최정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법론", 서울: 학지사, 2019
20 김용수, "학교체육의 새 지평을 열며", 부천: 부크크, 2018
21 김영석, 정종원, 유기웅, 김한별,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중판)", 서울: 박영사, 2016
22 김영천, 이현철, "질적연구: 열다섯 가지 접근",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2017
23 정옥분, "발달심리학: 전생애 인간발달", 서울: 학지사, 2007
24 김영천, 정상원, "질적연구방법론Ⅴ: Data Analysis",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2017
25 김영식, "4차 산업혁명시대 교육의 미래", 서울: 학지사, 2018
26 정미진, "미세먼지 정책 및 R&D 투자분석", 융합 Weekly Tip, 79, 1-9, 2017
27 류태호, "4차 산업혁명, 교육이 희망이다", 서울: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2018
28 박수현, "웰니스: 뇌를 바꾸는 운동 혁명", 서울: 랜덤하우스, 2010
29 환경부, "미세먼지 관리 종합계획(2020~2024)", 세종: 환경부, 2019
30 최의창, "인문적 체육 교육과 하나로 수업", 서울: 레인보우북스, 2010
31 Rawls, J., "정의론. (황경식 역), 서울: 이학사", (원저 1971년 출판), 2003
32 임규혁, 임웅, "학교학습 효과를 위한 교육심리학", 서울: 학지사, 2016
33 최의창, "현명한 부모는 운동부터 가르친다", 서울: 중앙일보플러스(주), 2016
34 강지영, 소경희, "국내 교육관련 실행연구 동향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2(3), 207, 2011
35 손남정, "앱 기반 체성분 분석기 타당도 검정", 한국여성체육학회, 2014, 123-124, 2014
36 강대중, 조영환, 정동욱, 이선영, 소경희, 박현정, 곽덕주, "미래교육, 교사가 디자인하다, 제3판", 파주: 교육과학사, 2017
37 교육부, "2018년 학교체육 활성화 추진 기본계획", 세종: 교육부, 2018
38 교육부, "2019년 학교체육 활성화 추진 기본계획", 세종: 교육부, 2019
39 교육부, "대기오염대응 매뉴얼(미세먼지, 오존)", 세종: 교육부, 2019
40 김신회, 천종문, 정철환, 전흥수, 이병준, 김의진, "쉽게 배우고 함께 나누는 SMART 체육수업", 서울: 레인보우북스, 2017
41 이재구, "운동이 행복이다: 뇌신경생리학적 이해", 한국체육학회지, 53(6), 27-38, 2014
42 홍정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래교육 에듀테크", 서울: 책밥, 2019
43 김우리, "새 학기 설렘 덮친 미세먼지 ‘쓰나미’", 광주드림. http://www.gjdream.com에서 2019년 6월 26일 검색, 2019
44 조재식, 조덕주, 이혁규, 이용숙, 김영천, 김영미, "교육현장 개선과 함께 하는 실행연구방법", 서울: 학지사, 2005
45 김종성, "빅데이터를 활용한 학교체육 활성화 방안", 한국체육학회지, 53(4), 555-563, 2014
46 장안수, "미세먼지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J.Korean Med", Assoc., 57, 763-768, 2014
47 환경부, "바로 알면 보인다. 미세먼지, 도대체 뭘까?", 세종: 환경부, 2016
48 김영천, 조재성, 정상원, "질적연구 아틀라스, 열다섯 가지 성공전략",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2019
49 황규호, "국가 교육과정 개정과 교원정책의대응과제", 한국교원교육학회 68차 연차 학습대회 자료집, 2015
50 강신천, 한승록, 최명숙, 윤성철, 변호승, 백영균, 박주성, 박정환, 김정겸, "스마트 시대의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제4판", 서울: 학지사, 2015
51 Merriam, S. B., "질적 사례연구법. (허미화 역). 서울: 양서원", (원저 1988년 출판), 1994
52 고영득, "서울 초미세먼지 농도 나쁨일수 4년 새 2배 급증",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에서 2019년 6월 25일 검색, 2019
53 박승배, "교육평설: 엘리어트 아이즈너의 질적연구방법론", 파주: 교육과학사, 2013
54 George, R., "사회학이론. (김왕배 외 공역). 서울: 한올출판사", (원저 2000년 출판), 2006
55 강명희, 조일현, 정재삼, 임규연, 이정민, 소효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파주: 교육과학사, 2017
56 권설아, 옥광, "이재은 체육교육에서의 미세먼지 정책 실태와 과제",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4(3), 85-96, 2019
57 이기천, "미래 체육교육에 있어서 가상현실 기법의 활용 모색", 한국체육학회지, 43(6), 337-347, 2004
58 김경자, 황규호, 홍은숙, 온정덕, 박희경,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서 (초등학교) 개발 연구", http://www.edunet.net/nedu/ncicsvc/listSub2015Form.do?menu_id=623 에서 2019년 6월 29일 발췌, 2015
59 윤미현, 이충현, "멀티미디어 코스웨어 평가 지침 및 시행에 관한 연구", Foreign Languages Education, 10, 187-217, 2003
60 정영수, "비판이론의 교육적 적용에 관한 연구. 교육문제연구, 3", 서울: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1990
61 안직수, "야외수업 대신 실내 체육관 미세먼지 안전지대 아니다", 경기신문. http://www.kgnews.co.kr에서 2019년 6월 26일 검색, 2019
62 김태완, "미래교육의 비전과 전략, 수업이 바뀌면 교육이 바뀐다", 서울: 학지사, 2018
63 신나민, "하오선, 장연주, 박종향 이판사판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서울: 박영story, 2019
64 유희종, "인천지역 기후변화에 따른 미세먼지의 건강 취약성 평가", 한국환경보건학회지, 43, 240-246, 2017
65 김경현, 임진호, 서유경, 박인우, 류진선, 김정원, "교과별 콘텐츠 제작 지침 개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KR 2004-5, 2004
66 안준철, "미세먼지에 대한 체육 교사의 인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67 송금주, 조정환, 정해권, 오정화, "모바일 앱 기반 신체활동증진 전략과 기술…어디까지 왔나?",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18(1), 1-15, 2016
68 Corrine, G., "질적 연구자 되기, 제5판. (안혜준 역).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원저 2016 출판), 2017
69 Richard, D., "James, M., & Jonathan, W. 미래의 속도. (고영태 역). 서울: 청림출판", (원저 2016년 출판), 2016
70 Harold, W., Tinker, D., "신체활동과 공중보건. (지역보건연구회 역). 서울:계축문화사", (원저 2012년 출판), 2018
71 김소형, 이현수, "특수체육학에 있어서 증강현실의 효과적인 활용 방향성 제안",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4(3), 55-65, 2016
72 전세명, 최의창, "운동 소양의 함양, 전인 교육을 위한 초등 체육의 목적 재검토", 한국체육학회지, 50(1), 93-117, 2011
73 남상욱, "한국 ‘공기질 최악 5개국’ 포함… 석탄발전 비중 모두 높았다", 한국일보. https://www.hankookilbo.com에서 2019년 6월 25일 검색, 2019
74 Klaus, S.,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송경진 역). 서울: 새로운현재", (원저 2017년 출판), 2016
75 장펑린, "미세먼지가 옥외 여가활동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 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76 Reigeluth, C., "교수설계의 이론과 모형. (박성익, 임정훈 공역). 서울: 교육과학사", (원저 1983년 출판), 1993
77 이현석, 진연경, "체육교육에 활용 가능한 세 가지 테크놀로지 영역의 장점과 트렌드", 한국여성체육학회, 30(4), 275-289, 2016
78 김상목, 박세원, 김영식, "가상현실 스포츠실을 활용한 ICT 융합 체육 수업의 현황 및 발전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8), 1003-1025, 2018
79 계보경, 차현진, 박태정, "신기술ㆍ트렌드의 국내 교육적 활용을 위한 촉진 및 방해 요인 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 21(5), 567-581, 2017
80 김동화, 한은정, 전현정, 이성진, 이경원, 송지환, 손준구, 박숙자, 박곡숙, 남윤제, 김중형, "최근세, 엄혁주, 문은주, 손혁준 초등학교(5∼6학년군) 체육 5 지도서", 서울: 비상교육, 2018
81 이정택, "롤스의 정의론 관점에서 학교체육의 불평등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 한국초등체육학회지, 23(4), 183-195, 2018
82 김봉수, 류민정, "중/고등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체육교과 어플리케이션 개발",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2(1), 89-107, 2015
83 박의수, "초등학교 평등체육수업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84 설민신, "Al(인공지능)과 IOT(사물인터넷)을 통한 Smart health Care Service 산업 활성화 방안", 한국체육과학학회지, 25(4), 599-612, 2016
85 양원호, "기후변화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농도 변화 및 미세먼지 노출에 의한 건강 영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69, 20-31, 2019
86 Olds, S., Papalia, D., "아동의 세계: 태내기에서 청년기 발달까지. (이영, 조연순 공역), 파주: 양서원", (원저 1975년 출판), 1997
87 이종태, "실내 외 환경에 있어서 미세전지의 인체 위해도 분석: 환경역학 연구에 기초한", 서울: 환경부, 2008
88 심상신, "스포츠 모바일 앱 사용자의 스포츠참여가 여가태도 및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63, 309-322, 2016
89 황인창, "기후변화 적응산업 수출기반 육성: 중소기업 지원 및 개도국 적응계획 수립 지원", 세종: 환경부, 2016
90 김영식, 배명훈, 박세원, "가상현실(VR) 태권도 콘텐츠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탐색: 리얼태권v.2.0을 중심으로", 대한무도학회지, 21(2), 29-44, 2019
91 최형준,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기법을 이용한 남자 테니스 선수 경기기록의 시각화",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14(3), 47-56, 2012
92 김명철, 홍성철, 이상숙, 박명기, 노영숙, 김선철, "이재만, 이태구, 정경식, 조동협, 조경희, 홍영순 초등학교 체육(3∼4학년군) 4 지도서", 파주: 천재교과서, 2018
93 최진석, "2200억 들여 학교 공기정화장치 3년내 모두 설치…미세먼지 '나쁨' 민감학생 결석 인정", 뉴시스. https://www.msn.com/ko-kr에서 2019년 6월 26일 검색, 2018
94 강은진, 정성민, 이선희, "스포츠가 아이의 미래를 바꾼다: 부모만 모르고 있는 아이의 스포츠 잠재력을 찾아라", 서울: 테이크 원(Take One), 2016
95 이옥선, 홍연종, "초등 여학생 체육수업 참여 활성화를 위한 여학생 친화적 통합 프로그램의 효과 탐색", 체육과학연구, 28(1), 167-184, 2017
96 오수학, "IT융 복합을 통한 학교체육 활성화 방안. 국회의원 정책세미나 발표집. 서울: 염동열의원실", 윤관석의원실, 2014
97 Bernie, T., Maya, B., Charles, F., "4차원 교육 4차원 미래역량 21세기 무엇을 가르치고 배워야 하는가?. (이미소 역). 서울: 새로운봄", (원저 2015년 출판), 2017
98 문경남, "운동소양 함양을 이끄는 통합적 초등 체육을 위한 스마트교육 콘텐츠 개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99 김인철, "미세먼지에 나들이 괜찮을까? 전문가들도 엇갈려…공통의견 “마스크 꼭 챙겨야”. 연합마이더스", February, 138-139, 2019
100 조기희, "체육 수업 전문성 증진을 위한 교수 학습 공동체의 실천 과정과 효과 탐색. 미간행 박사 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101 Bess, H., LeighAnn, H., "신체활동 동기부여 이론과 실제. (고광욱, 구학모, 김혜숙, 이용수 공역). 안양: ㈜바이오사이언스출판", (원저 2009년 출판), 2019
102 윤소미, 황은진, 정민기, 임승찬, 임다혜, 이윤빈, 이대택, "가상현실 체육수업의 활용을 위한 에너지소비량 분석.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9(6), 221-230, 2019
103 김영식, 이승주, "모바일 앱을 이용한 지능형 VR운동적합 프로토콜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생체학적 건강요인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1(2), 97-114, 2016
104 Judith, E., "활발한 신체활동을 위한 체육교육과정 설계. (손천택, 김무영, 김선희, 홍석호, 조남용 공역). 서울: 레인보우북스", (원저 2009년 출판), 2011
105 Ian, S., "유청소년 스포츠코칭론. (최의창, 정현우, 이옥선, 박정준, 이창현, 전세명, 조기희, 서장원 공역). 서울: 레인보우북수", (원저 2011년 출판), 2016
106 김영욱, 장유진, 이혜진, 이현승, "미세먼지 위험에 대한 전문가와 일반인의 인식차이와 커뮤니케이션 단서 탐색: 인간심리모델(Mental Models)을 중심으로 한 분석", 한국언론학회, 12(1), 53-117, 2015
107 김민태, 임병노, "최성기, 신수범, 차남주, 이승진, 변용완, 류진선, 임영아 스마트교육 콘텐츠 품질관리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이슈사항 분석. 한국교육학술정보원, KERIS 이슈리포트", 연구자료 RM 2011-13,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