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호남지역 기독교 여학교의 3.1운동- 수피아여학교, 기전여학교, 정명여학교를 중심으로 - = 3.1 Independence Movement of Girls' Mission School in Honam Region - Focusing on Supia Girls' School, Jeongmyoung Girls' School, Kijeon Girls' School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3.1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Honam region, women played a leading role in mobilizing crowds, making the Taegeukgi, printing and distributing of declarations. The representative groups of these organized resistance movements were students from Gwan...

      3.1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Honam region, women played a leading role in mobilizing crowds, making the Taegeukgi, printing and distributing of declarations. The representative groups of these organized resistance movements were students from Gwangju Supia Girls' School, Jeonju Kijeon Girls' School and Mokpo Jeongmyoung Girls' School. These were missionary school. At that time, women accepted new cultures and ideas through Christian mission schools, and tried to adapt themselves to the new spirit of the times. Mission schools, basically, engaged in Christian democracy education and independent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 idea of freedom and equality. And training of talent to serve the nation and society was set as the primary goal of education. As a result, students were able to cultivate the spirit of the times, the sense of the nation and nationality. Based on the national consciousness, the students actively started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1919.3.10, 23 teachers and students from the Supia Girls' School were arrested and 3.13, 13 students from Kijeon Girls' School were arrested. 4.8, in Mokpo, a number of students and teachers from the Jeongmyoung Girls' School were arrested. Their resistance movement did not end 3.1 Independence Movement. After that, Students at Supia Girls' School, formed organizations such as Yeolsejip, Banilhae and Baekcheongdan. Students at Jeongmyoung Girls' School, in 1921, caused the Mokpo Manse Incident. They took over the spirit of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they took to the streets in protest, at the 1929 Gwangju Student Move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호남지역 3.1운동에서 여성들은 군중동원, 태극기 제작, 격문과 선언서 인쇄 및 배포를 담당하고 시위 군중을 이끄는 등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조직적 저항운동의 대표적인 집단이...

      호남지역 3.1운동에서 여성들은 군중동원, 태극기 제작, 격문과 선언서 인쇄 및 배포를 담당하고 시위 군중을 이끄는 등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조직적 저항운동의 대표적인 집단이 광주 수피아여학교, 전주 기전여학교, 목포 정명여학교 학생들이었다. 본고는 수피아, 기전, 정명여학교 학생들이 3.1운동 과정에서 조직적 주체로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었던 배경을 학교의 설립과정과 교육이념, 민족의식의 성장 등을 통해 살펴보았다. 위 세 학교는 모두 미국 남장로교 선교사들이 설립한 기독교계 여학교이다. 선교사들은 선교사업의 일환으로 학교를 설립했지만 근대적 공교육 시스템이 거의 없던 당시, 이들은 지역 교육의 한 축을 담당하였다. 특히 여성들은 기독교계 학교를 통해 새로운 문물·사상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새로운 시대 환경에 적응하려고 했다. 기독교계 학교는 기본적으로 기독교적 민주주의 교육과 자유·평등사상에 의한 자주적 교육활동 등을 통해 국가와 사회에 봉사할 수 있는 인재 양성을 교육의 최대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학생들은 근대의 시대정신, 국가의식, 민족의식을 배양할 수 있었다. 그리고 민족의식을 바탕으로 3.1운동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그러나 이들의 저항은 3.1운동으로 끝난 것이 아니었다. 수피아여학교에서는 열세집, 반일회, 백청단 등의 조직을 만들어 활동하는 한편 정명여학교 학생들은 1921년 목포만세사건을 일으켰다. 1929년 광주학생운동 과정에서도 수피아, 기전, 정명의 여학생들은 3.1운동의 정신을 이어받아 적극적으로 시위에 나섰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규무, "호남지역 3·1운동과 종교계 - 선행연구 검토와 향후과제 제시를 중심으로 -" 호남사학회 (73) : 77-104, 2019

      2 차석기, "한국민족주의 교육의 연구" 진명문화사 1976

      3 곽안전, "한국교회사" 대한기독교서회 1961

      4 박의경, "한국 여성의 근대화와 기독교의 영향"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5 : 2003

      5 박용옥, "한국 여성 근대화의 역사적 맥락" 지식산업사 2001

      6 "최흥종 판결문"

      7 "최기물 외 12인 판결문"

      8 "최기물 외 11인 판결문"

      9 "천귀례 외 10인 판결문"

      10 "중앙일보"

      1 한규무, "호남지역 3·1운동과 종교계 - 선행연구 검토와 향후과제 제시를 중심으로 -" 호남사학회 (73) : 77-104, 2019

      2 차석기, "한국민족주의 교육의 연구" 진명문화사 1976

      3 곽안전, "한국교회사" 대한기독교서회 1961

      4 박의경, "한국 여성의 근대화와 기독교의 영향"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5 : 2003

      5 박용옥, "한국 여성 근대화의 역사적 맥락" 지식산업사 2001

      6 "최흥종 판결문"

      7 "최기물 외 12인 판결문"

      8 "최기물 외 11인 판결문"

      9 "천귀례 외 10인 판결문"

      10 "중앙일보"

      11 정명여자중고등학교, "정명100년사"

      12 박찬승, "전남지방의 3.1운동과 광주학생독립운동" 전남사학회(현 호남사학회) 9 : 1995

      13 박이준, "전남지방 3.1운동의 성격" 국사편찬위원회 96 : 2001

      14 민진영, "일제하 광주의 여학생 조직과 여성교육" 호남학연구원 (44) : 121-165, 2009

      15 독립기념관, "월간 독립기념관"

      16 숭의학원, "숭의80년사"

      17 광주수피아여자중고등학교, "수피아 100년사"

      18 "범죄인명부(강화선, 이나혈, 최경애, 고연홍, 이봉금, 양태원, 강정순, 최애경, 김순실, 정복수)"

      19 "박애순 외 76인 판결문"

      20 "매일신보"

      21 "동아일보"

      22 "독립유공자공적조서 및 독립유공자공훈록" 국가보훈처공훈전자사료관

      23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3- 삼일운동사(하) 제8편 전라북도의 운동"

      24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제9권 : 학생독립운동사"

      25 이재근, "남장로교의 전주 신흥학교ㆍ기전여학교 설립과 발전(1901-1937)" 한국기독교역사학회 (42) : 45-83, 2015

      26 "김복현 외 21인 판결문"

      27 전주기전여자중학교, "기전80년사"

      28 김진호, "국내 3.1운동Ⅱ-남부 (한국독립운동의 역사20)"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29 한규무, "광주·전남 기독교인들의 3.1운동 참여와 동향" 13 : 2000

      30 "朝鮮騷擾事件關係書類 共7冊 其7" 국사편찬위원회

      31 손은실, "3.1운동과 개신교 -선교사들의 공감적 선교와 여성 독립 운동가들의 리더십을 중심으로-" 세계선교연구원 (47) : 273-314, 2019

      32 박용옥, "(한국독립운동의 역사31)여성운동"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rnal of Seokdang Academy -> Journal of Seokdang Academy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rnal of Seokdang Academy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석당전통문화연구원 -> 석당학술원
      영문명 : Seokdang Academic Research Institute of Traditional Culture Dong-A University -> Seokdang Academ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46 1.395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