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생태주의 사상의 초등교육적 의미와 실천적 시사점 탐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183189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0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70.109 판사항(5)

      • 발행국(도시)

        광주

      • 형태사항

        iii, 82 장 : 삽도 ; 26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p.75-78

      • 소장기관
        • 광주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구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주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갈수록 심화되는 개인주의적이고 경쟁적인 초등학교 현실에서 ‘자연과 생명을 통해 배우는 생태적 경험의 교육적 가치’에 주목하면서, 이에 대한 근본적인 철학적 이해를 정립...

      본 연구는 갈수록 심화되는 개인주의적이고 경쟁적인 초등학교 현실에서 ‘자연과 생명을 통해 배우는 생태적 경험의 교육적 가치’에 주목하면서, 이에 대한 근본적인 철학적 이해를 정립하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최근 관심을 모으는 생태주의 사상이 특히 지각적 감수성이 풍부하게 발달하는 초등교육 단계에 주는 시사점을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구의 범위는 생태주의의 주요 흐름을 이루는 근본생태주의와 사회생태주의에 한정하고, 다음 두 가지 세부 연구문제를 초점을 두어 탐구한다. 첫째, 주요 생태주의 사상의 핵심적 견해는 무엇이고, 그것은 어떤 의미에서 교육적 가치를 지니는가? 둘째, 생태주의 사상에서 이끌어낼 수 있는 초등교육의 새로운 방향은 무엇이고, 그것은 구체적으로 어떤 실천적 방안을 통해 추구될 수 있는가?
      Ⅱ장에서는 생태주의 사상의 형성배경을 살펴보고 근본생태주의와 사회생태주의의 특징적 견해를 분석한 후에, 생태주의 사상에 공통된 주요 가치를 정리한다. 생태주의는 생물학과 인접한 자연과학적 탐구영역이었던 생태학에 기원을 두며 발전된 사상과 실천운동으로, 20세기 후반 심각한 환경오염과 생태계 파괴 등 인류 문명의 위기에 대한 비판적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근본생태주의는 기존의 피상적인 환경 운동에 대한 비판에 근거하여 보다 근본적인 해결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위기의 근본원인을 ‘인간의 자연 지배와 소외’에서 찾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보다 근본적인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본다. 무엇보다 인간중심적 사고의 틀을 벗어나 모든 존재를 상호 연결된 총체로 보는 전체론적 세계관을 지향한다. 실천적인 방법론으로 ‘생태적 지혜’를 강조하는데 이것은 자연과 인간이 하나가 되는 ‘큰 자아실현’을 목표로 한 것이다. 사회생태주의는 근본생태주의의 한계에 대한 비판에서 시작되는데, 생태 위기의 문제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문제’라는 인식 속에서 위기의 원인은 ‘인간의 인간 지배와 소외’에 있다고 본다. 또한 위기극복의 방안으로 자연관, 인간관, 사회관의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며, 구체적으로 ‘참여적 진화’로서의 자연과 ‘변증법적 이성’을 가진 인간, 그리고 ‘자유와 참여의 생태공동체’로서의 사회를 지향한다. 생태주의는 여러 사상적 유파를 형성하며 분화․발전해 왔는데, 공유하는 특성은 유기체적 전체론적 관점, 세계 내 모든 존재가 상의상존하는 상생의 정신, 보살핌․배려․공감의 윤리로 구현되는 생태공동체적 가치 등으로 정리된다.
      Ⅲ장에서는 생태주의 사상을 통해 본 초등교육의 새로운 방향과 실천적 과제를 두 가지로 정리한다. 첫째는 근본생태주의의 사상적 특성에 근거한 것으로, ‘교육과정을 통한 생태적 감수성 도야’이다. 이를 위해 ‘자아’에 대한 새로운 이해, 곧 ‘큰 자아’ 실현이라는 목표를 지향하면서 초등교육 시기 아이들에게는 특히 생태적 감수성 교육이 우선시되어야 한다. 실천적 과제로는 초등, 중등, 고등 교육 단계별 교육목표의 생태적 전환,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교과내용면에서의 대안적 접근, 생태적 소재를 통한 체험활동과 주제중심통합학습 방법의 활용, 교실과 학교 공간의 재구성 등을 제시한다. 둘째는 사회생태주의의 사상적 특성에 근거한 것으로 ‘학교문화를 통한 자유와 참여의 생태공동체 지향’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안에 두루 퍼져있는 지배와 위계구조 문제에 대한 반성적 성찰, 자연(교과), 아동, 교사를 이해하는 관점에서의 변화가 필요하다. 초등교실을 자유와 참여의 생태공동체로 만들기 위해 구체적으로 학급운영 방향, 교육과정 구성, 학급운영 실제, 교사들 간의 동료문화, 교실과 학교 공간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실천적 과제를 제안한다.
      결론적으로, 생태주의 사상에 근거할 때 초등학교에서 ‘자연과 생명을 통해 배우는 경험’은 단순히 자연친화적인 방법의 수준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개인적 차원에서 초등학생들에게 생태적 감수성을 기르는 경험은 ‘이기적인 자아’를 넘어 전체 세계 안에서 진정한 자신의 의미를 발견하게 해주는 것이다. 사회적 차원에서 초등학교에서 지향해야 할 자유와 참여의 생태공동체란 보살핌과 배려, 공감을 통해 상생하는 ‘진정한 배움의 공동체’를 만드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n attempt to establish fundamental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the educational values of ecological experience that is to be learned from nature and life', reflecting critically ever more individualistic and competitive elementary s...

      This study is an attempt to establish fundamental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the educational values of ecological experience that is to be learned from nature and life', reflecting critically ever more individualistic and competitive elementary school cultu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ecological philosophies that draw recently increasing interest for the stage of elementary education where active development of perceptual sensitivity occurs. The scope of the study is limited to 'deep ecology' and 'social ecology', as constituting the mainstream of ecological philosophies. As specific study questions, the following two issues are brought to a focus. First, what is the core perspective of ecological philosophies and in what sense do they have educational values? Second, what is a new direction for elementary education to be derived from ecological philosophies and through what practical and specific actions can it be pursued?
      Chapter Ⅱ examines the background of how ecological philosophies were formed, analyzes characteristic views of deep ecology and social ecology and summarizes principle values common to the ecological philosophies. Ecological philosophies originated from ecology, a branch of natural science bordering on biology, and developed into an ideology and practical movement starting with scepticism and critique over the crisis of human civilization causing the sever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cosystem destruction in the late 20th century. Deep ecology is based on criticism over existing superficial environmental movements, calling for more fundamental solutions. Deep ecology attributes such a crisis to' the domination of nature by human being and the consequent alienation', and considers a fundamental shift of awareness to be needed in order to get over the crisis. Above all, deep ecology pursues a holistic world view by breaking away from human-centered frame of thinking in favor of seeing every being as the interconnected whole. Concerning practical methodology, deep ecologism stresses ‘ecologcal wisdom’ that aims at ‘the actualization of a greater self' where nature and man become one. Social ecology starts with criticism over the limitation of deep ecology, and views ecological crisis from the perspective of a social issue, not individual one, attributing it to ‘the domination of human beings by other human beings and the consequent alienation.' Also, as a means to get over the crisis, social ecology calls for fundamental shift in views on nature, human and society, and specifically points to nature as ‘a participatory evolution’, human with ‘dialectical reason’ and society as ‘an ecological community of freedom and participation.’ Ecological philosophies have differentiated and developed forming a range of ideological sects, which share common characteristics such as the organic holistic view, the spirit of mutual life for every earthly being as inter-dependent and co-existent, and the value of ecological community implemented with caring, consideration and sympathy.
      Chapter Ⅲ deals with two points regarding a new direction and practical challenge for elementary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cological philosophies. First, based on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deep ecology, ‘cultivation of ecological sensitivity through curriculum’ is suggested. For this, elementary children need educating on ecological sensitivity primarily aiming at new understanding of ‘self’, or a goal of realizing 'a greater self'. Practical actions suggested here include ecological conversion of educational objectives of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al stages, alternative approaches to the content of subjects with analysis on curricula, hands-on activities through ecological materials, use of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and reconfiguration of classroom and school environment. Second, based on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social ecology, ‘an ecological community of freedom and participation' should be pursued through reconstructing school culture. For this, changes are necessary in terms of reflective speculation about the issue of domination and hierarchical structure widespread in elementary schools and the viewpoint to understand subject matters, children and teachers should be transformed. To be more specific, this study suggests practical challenges including a direction for classroom management, curriculum reconstruction, actual class operation, peer culture among teachers and classroom and school environment so as to make elementary classroom an ecological community of freedom and participation.
      In conclusion, based on ecological philosophies, the 'experience learned through nature and life' in elementary school is not simply a nature-friendly approach. The experience of growing ecological sensitivity of individual elementary students goes beyond ‘selfish ego’ and discovers the true meaning of self in a world as the whole. Regarding the social dimension, the ecological community of freedom and participation aimed at in elementary schools refers to building 'a true community of learning' enabling mutual life through caring, consideration and sympath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선행연구 고찰 및 연구범위 4
      • Ⅱ. 생태주의의 사상적 이해 9
      • 1. 생태주의 사상의 형성 배경과 일반적 성격 9
      • 1.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선행연구 고찰 및 연구범위 4
      • Ⅱ. 생태주의의 사상적 이해 9
      • 1. 생태주의 사상의 형성 배경과 일반적 성격 9
      • 1) 생태학과 생태주의의 등장 9
      • 2) 생태주의 유파의 다양한 갈래 13
      • 3) 생태주의의 일반적 성격 16
      • 2. 근본생태주의 23
      • 1) 기존 환경운동에 대한 비판 23
      • 2) 생태위기의 원인: 인간의 자연 지배와 소외 24
      • 3) 위기 극복의 논리 25
      • (1) 전체론적 세계관 25
      • (2) 방법론으로서의 생태적 지혜 28
      • (3) 목적으로서의 ‘큰 자아실현’ 30
      • 3. 사회생태주의 32
      • 1) 근본생태주의에 대한 비판 32
      • 2) 생태위기의 원인: 인간의 인간지배와 소외 36
      • 3) 위기 극복의 논리 38
      • (1) ‘참여적 진화’로서의 자연 38
      • (2) ‘변증법적 이성’의 소유자로서의 인간 40
      • (3) 자유와 참여의 생태공동체 41
      • Ⅲ. 생태주의 사상의 초등교육적 의미 46
      • 1. 근본생태주의: 생태적 감수성 도야 46
      • 1) ‘자아’에 대한 새로운 이해 47
      • 2) 생태적 감수성의 교육적 가치 48
      • 3) 생태적 감수성 도야를 위한 실천 방안 49
      • (1) 교육과정 목표의 생태적 전환 50
      • (2) 교과내용을 통한 접근 51
      • (3) 체험활동과 주제중심통합학습 54
      • (4) 교실과 학교 공간의 재구성 55
      • 2. 사회생태주의: 자유와 참여의 생태공동체 구성 56
      • 1) 초등학교의 지배와 위계구조 문제에 대한 비판적 성찰 57
      • (1) 학교조직에서의 지배와 위계구조 57
      • (2) 교사와 학생간의 위계구조 58
      • (3) 학생들 상호간의 위계구조 59
      • 2) 자연(교과), 아동, 교사 이해의 관점 변화 60
      • 3) 초등교실에서 자유와 참여의 생태공동체 만들기 67
      • Ⅳ. 요약 및 결론 71
      • 참고문헌 75
      • 영문초록 7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