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근대 군사도시에서 근대 식민도시로의 변화 = 경남 통영의 사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049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전근대 군사도시였던 통제영이 근대화 과정에서 식민도시 통영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검토한 것이다. 분석대상은 도시를 구성한 인간, 경제생활, 시설물 등이며, 이 요소를 개항과...

      본 연구는 전근대 군사도시였던 통제영이 근대화 과정에서 식민도시 통영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검토한 것이다. 분석대상은 도시를 구성한 인간, 경제생활, 시설물 등이며, 이 요소를 개항과 통제영 해체, 식민지라는 정치적 변화와 연결시켰다.
      1895년 통제영이 해체되자 소속 직업 군인들은 대부분 지위를 상실했던 것으로 보이며, 새로운 행정체계의 관료 혹은 경제인으로 전환하는 모습도 확인되었다. 개항 후 통제영 경제구조의 축이었던 생필품 유통과 공방(工房)은 부분적으로 유지되었다. 통제영 해체와 함께 일본인 경제영역으로의 편입이 강화되었다. 특히 전통적인 공산품의 재료가 일본 수입에 의존하였고, 통영에 수집되는 쌀이 일본으로 유출되었다. 통제영 내 군사시설은 1905년을 지나면서 일정한 절차를 거쳐 공공시설 혹은 경제시설, 종교시설 등 근대적인 시설로 재활용되었다.
      통영은 식민지화 과정에서 일본인의 수가 증가하고, 경제적인 능력이 조선인을 압도하기 시작하였다. 통제영 시대의 전근대적인 전통은 식민지화 과정에서의 경제효과와 일치할 때에만 유지될 수 있었다. 통영의 전통공예인 나전칠기(螺鈿漆器)는 관광상품으로 한때 호평을 받았으나, 수요감소와 함께 쇠퇴하였다. 근대 식민도시 통영에 정착한 일본인들의 사례를 핫토리 겐지로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에게서 식민자 일본인과 통영인의 양면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reviews the process of the premodern military city Tongjeyeong’s transformation into Tongyeong, a modern colonial city. The subject of analysis includes the people, economic life, and facilities that composed the city. The study relates t...

      This study reviews the process of the premodern military city Tongjeyeong’s transformation into Tongyeong, a modern colonial city. The subject of analysis includes the people, economic life, and facilities that composed the city. The study relates these aspects of the city to political changes such as the opening of its port, the dissolution of Tongjeyeong, and the city as a colony.
      With the dissolution of Tongjeyeong, most of its professional soldiers seem to have lost their positions It has been confirmed that some became businessmen or officials in the new administrative system. After theopening ofits port, the main axis of Tongjeyeong"s economic structure, including commodity distribution and the "Twelve Gongbang was partially maintained. However, upon the dissolution of Tongjeyeong, its incorporation into the Japanese economic area was strengthened. In particular, materials for traditional industrial products were imported from Japan while rice collected in Tongyeong was shipped out to Japan. After 1905, the military facilities in Tongjeyeong were reused as modern facilities such as public, economic, or religious facilities.
      In the process of colonization, the number of Japanese people in Tongyeong increased, and their economic capacity overwhelmed the Korean people. Premodern traditions of the Tongjeyeong period were maintained only when they corresponded with the economic effects of he colonization process. Tongyeong"s traditional craft of inlaid lacquerware with mother-of-pearl was once well-received as a tourist attraction, but it fell into decline with decreased demand. Cases of Japanese people who settled in the modern colonial city of Tongyeong are examined through the example of Hattori Genji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통제영 해체와 변화
      • Ⅲ. 일본인 이주와 근대 식민도시 통영
      • Ⅳ. 맺음말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통제영 해체와 변화
      • Ⅲ. 일본인 이주와 근대 식민도시 통영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度支部來去案"

      2 이방원, "한말 정치변동과 중추원의 역할 : 1894-1910" 이화여자대학교 2005

      3 최문영, "통영의 근대도시 공간 생산과정에 따른 시대별 경관 특성 -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생산 이론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9 (9): 107-116, 2007

      4 김상환, "조선후기 統制營의 건설과 도시경관의 변화" 대구사학회 105 : 39-68, 2011

      5 김현구, "조선후기 統制營의 公廨 구성과 변천" 부산경남사학회 (83) : 105-161, 2012

      6 여박동, "일제의 조선어업지배와 이주어촌 형성" 보고사 2002

      7 박정석, "일제강점기 일본인 이주어촌의 흔적과 기억: 통영 ‘오카야마촌’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소 (55) : 315-352, 2013

      8 김준, "일제강점기 일본인 이주어촌(移住漁村) 형성과 변용(變容)에 관한 연구-경남 통영시 히로시마촌(廣島村)을 대상으로-" 2 (2): 2006

      9 송민호, "열재 이해조의 생애와 사상적 배경" 국어국문학회 (156) : 241-271, 2010

      10 우정미, "식민지 조선의 이주일본인과 지역사회-진남포의 도미타 기사쿠" 국학자료원 2013

      1 "度支部來去案"

      2 이방원, "한말 정치변동과 중추원의 역할 : 1894-1910" 이화여자대학교 2005

      3 최문영, "통영의 근대도시 공간 생산과정에 따른 시대별 경관 특성 -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생산 이론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9 (9): 107-116, 2007

      4 김상환, "조선후기 統制營의 건설과 도시경관의 변화" 대구사학회 105 : 39-68, 2011

      5 김현구, "조선후기 統制營의 公廨 구성과 변천" 부산경남사학회 (83) : 105-161, 2012

      6 여박동, "일제의 조선어업지배와 이주어촌 형성" 보고사 2002

      7 박정석, "일제강점기 일본인 이주어촌의 흔적과 기억: 통영 ‘오카야마촌’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소 (55) : 315-352, 2013

      8 김준, "일제강점기 일본인 이주어촌(移住漁村) 형성과 변용(變容)에 관한 연구-경남 통영시 히로시마촌(廣島村)을 대상으로-" 2 (2): 2006

      9 송민호, "열재 이해조의 생애와 사상적 배경" 국어국문학회 (156) : 241-271, 2010

      10 우정미, "식민지 조선의 이주일본인과 지역사회-진남포의 도미타 기사쿠" 국학자료원 2013

      11 "매일신보"

      12 김수희, "근대 일본어민의 한국진출과 어업경영" 경인문화사 2010

      13 이훈상, "갑오경장기 지방제도와 군사제도의 개혁 그리고 지역 사회의 대응 -동래 관찰부 문서들에 기초한 사례 연구-" 영남문화연구원 (20) : 315-404, 2011

      14 "高宗實錄"

      15 佐藤政次郞, "韓半島の新日本"

      16 "釜山日報"

      17 "釜山府史原稿"

      18 "通商彙簒"

      19 李鍾彦, "統營郡誌"

      20 山本精一, "統營郡案內"

      21 통영시사편찬위원회, "統營市誌(上)" 1999

      22 "皇城新聞"

      23 中村資良, "朝鮮銀行會社要錄" 東亞經濟時報社

      24 "朝鮮時報"

      25 服部正喬, "服部源次郞傳"

      26 松田行藏, "慶尙道全羅道旅行記事並ニ農商況調査錄" 釜山商法會議所 1891

      27 "奏本"

      28 吳宖默, "國譯固城叢鎖錄" 固城文化院 2007

      29 "內部請議書"

      30 김동철, "19세기 말 咸安지방의 鄕戰" 부산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2 :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일관계사학회 -> 한일관계사연구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7 1.09 1.872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