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chille Bonito Oliva, "『수퍼아트』", 안연희 역, 서울:미진사, 1996
2 Richard Howells Joaquim Negreiros, "『시각문화』", 경성대학교 출판부, 조경희 역, 부산:경성 대학교 출판부, 2014
3 Rudolf Arnheim, "『중심의 힘』", 정용도 역, 서울:눈빛, 1995
4 Deleuze, Gilles, "『감각의 논리』", 민음사, 하태환 역, 민음사, 1995
5 Vilem Flusser, "『그림의 혁명』", 김현진 역, 서울: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6 Herbert Read, "『도상과 사상』", 대한교과서, 김병익 역, 서울:열화당, 1982
7 Rudolf Arnheim, "『시각적 사고』", 김정오 역, 서울: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82
8 Hal Foster, "『실재의 귀환』", 이영욱 조주연 최연희 역, 부산:경성대학교 출판부, 2003
9 E.H.Gombrich, "『예술과 환영』", 차미례 역, 서울:열화당, 1989
10 Rosemary Lambert, "『20세기 미술사』", 열화당, 이석우 역, 서울:열화당, 1986
1 Achille Bonito Oliva, "『수퍼아트』", 안연희 역, 서울:미진사, 1996
2 Richard Howells Joaquim Negreiros, "『시각문화』", 경성대학교 출판부, 조경희 역, 부산:경성 대학교 출판부, 2014
3 Rudolf Arnheim, "『중심의 힘』", 정용도 역, 서울:눈빛, 1995
4 Deleuze, Gilles, "『감각의 논리』", 민음사, 하태환 역, 민음사, 1995
5 Vilem Flusser, "『그림의 혁명』", 김현진 역, 서울: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6 Herbert Read, "『도상과 사상』", 대한교과서, 김병익 역, 서울:열화당, 1982
7 Rudolf Arnheim, "『시각적 사고』", 김정오 역, 서울: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82
8 Hal Foster, "『실재의 귀환』", 이영욱 조주연 최연희 역, 부산:경성대학교 출판부, 2003
9 E.H.Gombrich, "『예술과 환영』", 차미례 역, 서울:열화당, 1989
10 Rosemary Lambert, "『20세기 미술사』", 열화당, 이석우 역, 서울:열화당, 1986
11 Jonathan Crary, "『관찰자의 기술』", 임동근ㆍ오성훈 외 역, 서울:문화과학사, 2001
12 Rudolf Arnheim, "『미술과 시지각』", 김춘일 역, 서울:기린원, 1989
13 Susan Sontag, "『사진에 관하여』", 이재원 역, 서울:도서출판 이후, 2007
14 Martine Joly, "『이미지와 기호』", 이선형 역, 서울:동문선, 2004
15 Martin Gayford, "『다시, 그림이다』", 주은정 역, 서울:디자인하우스, 2012
16 Maurice Grosser, "『화가와 그의 눈』", 오병남 역, 서울:서광사, 1987
17 박정순, "<대중매체의 기호학>", 나남, 나남출판, 1995
18 Darian Leader, "『모나리자 훔치기』", 박소현 역, 서울:새물결, 2010
19 Rosalind Krauss, "『현대조각의 흐름』", 윤난지 역, 서울:도서출판 예경, 2005
20 John Berger, "『본다는 것의 의미』", 동문선, 박범수 역, 서울:동문선, 2000
21 John Berger, "『어떻게 볼 것인가』", 현대미학사, 하태진 역, 서울:현대미학사, 1995
22 심혜련, "『20세기의 매체 철학』", 서울:그린비, 2012
23 Stephen Paul Bayley, "『산업디자인의 역사』", 손호철 역, 서울:열화당, 1996
24 최태만, "『소통으로서의 미술』", 삶과꿈, 서울:삶과 꿈, 1995
25 Verena Krieger, "『예술가란 무엇인가』", 조이한 김정근 역, 서울:휴머니스트, 2010
26 Roger Bordier, "『현대 미술과 오브제』", 미진사, 김현수 역, 서울:미진사, 1999
27 윤난지, "엮음,『추상미술 읽기』", 서울:미진사, 2010
28 Boris Groys, "『아방가르드와 현대성』", 최문규 역, 서울:문예마당, 1995
29 정연심, "『현대공간과 설치미술』", 에이엔씨, 서울:에이엔씨출판, 2014
30 Wolfgang Welsch, "『미학의 경계를 넘어서』", 심혜련 역, 서울:향연, 2005
31 Vilem Flusser, "『사진의 철학을 위하여』", 윤종석 역, 서울: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32 박찬국, "『현대미술의 기초 개념』", 재원, 도서출판재원, 1995
33 Lucy R., "Lippard, 전경희 역,『POP ART』", 서울:미진사, 1985
34 Thomas Crow, "『대중문화속의 현대미술』", 아트북스, 전영백 역, 경기:아트북스, 2005
35 Rosalind Krauss, "『사진, 인덱스, 현대미술』", 궁리, 최봉림 역, 서울:궁리, 2003
36 Paul Virilio, "『시각 저 끝 너머의 예술』", 이정하 역, 서울:열화당, 2008
37 Aumont, Jacques, "『이마주: 영화 사진 회화』", 동문선, 오정민 역, 서울:동문선, 2006
38 벤야민, 발터,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민음사, 반성완 역, 서울:민음사, 1983
39 Michel Foucault,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 민음사, 김현 역, 서울:민음사, 1995
40 이영철, "엮음,『현대미술의 지형도』", 서울:시각과 언어, 1998
41 이영철, "엮음,『21세기 문화 미리보기』", 서울:시각과 언어, 1996
42 Edward T., "Hall,『숨겨진 차원』, 최효선 역", 경기:한길사, 2002
43 Sarane Alexandrian, "이대일 역,『초현실주의 미술』", 서울:열화당, 1990
44 Terry Smith, "『컨템포러리 아트란 무엇인가』", 마로니에북스, 김경운 역, 서울:마로니에북스, 2013
45 이영철, "엮음,『현대미술과 모더니즘론』", 서울:시각과 언어, 1995
46 Arthur C., "Danto,『철학하는 예술』 정용도 역", 서울:미술문화, 2007
47 Le Corbusier, "『모듈러:르 꼬르뷔제의 비례론』", 박경삼 역, 서울:안그라픽스, 1991
48 박준상, "『빈중심:예술과 타자에 대하여』", 서울:그린비, 2008
49 아트센터, "나비 엮음,『예술, 과학과 만나다.』", 서울:이학사, 2007
50 Larry E., "Shiner,『순수예술의 발명』, 조주연 역", 경기:인간의 기쁨, 2015
51 윤난지, "엮음,『모더니즘 이후, 미술의 화두』", 서울:눈빛, 1999
52 Arthur C., "Danto,『일상적인 것의 변용』, 김혜련 역", 경기:한길사, 2008
53 Yury M., "Lotman,『예술텍스트의 구조』, 유제천 역", 서울:고려원, 1991
54 진중권, "『현대미학강의:시뮬라크르의 이중주』", 경기:아트북스, 2003
55 이봉순, "「공간해석에 대한 인체지각론적 접근」", 한국조형예술학회, 『조형예술학연구』(제3호), 서울:조형예술학회, 2001
56 임근혜, "『창조의 제국 영국현대미술의 센세이션』", 지안, 서울:지안, 2009
57 임 산, "「융합 시대의 예술담론을 위한 이론적 범례」", 한국미학예술학회, 『미학 예술학 연구 36집』, 년, 2012
58 W.J.T. Mitchell, "『그림은 무엇을 원하는가?:이미지의 삶과 사랑』", 그린비, 김전유경 역, 서울:그린비출판사, 2010
59 박평종, "『흔적의 미학-기호ㆍ이미지론과 사진의 기초개념』", 서울:미술문화, 2006
60 John A., "Walker & Sarah Chaplin,『비주얼 컬쳐:이미지 시대의 이해_비너스 에서 VR까지』, 임산 역", 서울:루비박스,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