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라 중성리비의 서사구조와 6부인의 지배이념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포항 중성리신라비와 냉수리신라비, 울진 봉평리신라비 등 3비의 서사구조와 6부인의 지배이념을 고찰한 것이다. 3비의 서사구조는 기본적으로 동일한데, 왕경[중앙]에서 이루어진 ...

      이 글은 포항 중성리신라비와 냉수리신라비, 울진 봉평리신라비 등 3비의 서사구조와 6부인의 지배이념을 고찰한 것이다. 3비의 서사구조는 기본적으로 동일한데, 왕경[중앙]에서 이루어진 敎의 議決[判示], 현지에서 이루어진 敎의 執行, 현지인에 대한 敎의 告知 등 세 단락으로 이루어졌다.
      중성리비와 냉수리비의 경우, 敎의 집행이 거의 동일한 절차로 진행되었다. 중앙에서 파견된 실무자[白집단/典事人]가 하늘을 향해 교의 의결내용을 아뢴 다음, “다시 쟁송을 일으키면 重罪를 줄 것이다”는 경고를 拔[白口]하고, 敎의 집행 전반을 기록해 입증했다. 다만 중앙에서 파견된 실무자가 하늘을 향해 敎의 의결내용을 아뢰었기 때문에 현지 유력자가 별도로 현지인에게 교의 내용을 고지했다.
      이때 각 비문에서는 현지인이 사는 공간을 ‘世/世中’으로 표현했는데, 복속지역에 대한 6부인의 인식을 잘 보여준다. 6부인들이 자신을 ‘하늘[天]’과 연계된 존재로 자처하면서 복속지역을 이와 대비되는 ‘世中’으로 인식했던 것이다. 신라 6부인들이 天孫으로 자처하며 하늘의 권위를 빌어 복속지역[지방]을 지배했던 것이다. 이에 6부인들은 복속지역을 지배하며 하늘의 권위를 부여받은 존재임을 끊임없이 연출했는데, 하늘을 향해 敎의 의결내용을 아뢴 모습은 이를 잘 보여준다.
      다만 지배체제 정비와 더불어 하늘의 권위를 빌리는 측면보다 통치력을 직접 행사하는 면모를 강조했다. 중성리비 이후 하늘을 향해 敎의 의결내용을 아뢰는 면모가 축소되고, 비문 비중이 敎의 執行 단락에서 議決 단락으로 옮아간 양상은 이를 잘 보여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he governing ideology of six political units called ‘Bu(部)’, including Pohang Jungseongri Stone Monument, Pohang Naengsuri Stone Monument and Uljin Bongpyeongri Stone Monument in Silla Dynasty. Th...

      This paper examines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he governing ideology of six political units called ‘Bu(部)’, including Pohang Jungseongri Stone Monument, Pohang Naengsuri Stone Monument and Uljin Bongpyeongri Stone Monument in Silla Dynasty. The examination found that the three epitaph’s narrative structure was essentially the same, consisting of three paragraphs : decision, execution, and notice of comm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Jungseongri Stone Monument and Naengsuri Stone Monument, the execution of command was carried out in almost the same procedure. The central dispatched staff member spoke the decision contents of command toward the sky, then issued a warning that “If you cause trouble again, we’ll give you a serious offense,” and documented the whole execution.
      However a working-level official who was dispatched from the center spoke the contents of command toward the sky rather than directly to the local people. As a result, a local authority separately informed the local people of the command’s contents. In each inscription, all the spaces where the local people live were described as ‘world(世/世中)’, which illustrates the perception of the conquest area of the six political units’ people. The people of six political units recognized themselves as being connected to the ‘sky’, while the space where the locals lived was perceived as a ‘world’ compared to ‘the sky=the six political units’.
      From the 5th to the early 6th centuries, the people of the six political units of Silla Dynasty recognized themselves as a descendant of heaven and ruled the conquest area with authority from heaven. As a result, the people of the six political units had to constantly direct themselves as being given the authority of heaven to rule the conquest area. This aspect is illustrated by the fact that a working-level official spoke the contents of command toward the sky in Jungseongri Stone Monument and Naengsuri Stone Monument.
      However, they stressed that they exercised their power in person rather than borrowing authority from heaven, along with the reorganization of the ruling system. This aspect is illustrated by the fact that the scene of spoking the decision contents of command toward the sky has diminished and the portion of the epitaph shifted from the execution paragraph of command to the decision paragraph of comman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초록
      • Ⅰ. 머리말
      • Ⅱ. 중성리비의 단락구성과 서사구조
      • Ⅲ. 3비의 서사구조와 6부인의 지배이념
      • Ⅳ. 맺음말
      • 국문 초록
      • Ⅰ. 머리말
      • Ⅱ. 중성리비의 단락구성과 서사구조
      • Ⅲ. 3비의 서사구조와 6부인의 지배이념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호, "흥해지역과 포항중성리신라비" 한국고대사학회 (56) : 217-252, 2009

      2 홍승우, "한국 고대 율령의 성격"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3 배용일, "포항중성리신라비의 발견경위와 고대의 포항과 흥해" 한국고대사학회 (56) : 59-84, 2009

      4 전덕재, "포항중성리신라비의 내용과 신라 6부에 대한 새로운 이해" 한국고대사학회 (56) : 85-129, 2009

      5 강종훈, "포항중성리신라비의 내용과 성격" 한국고대사학회 (56) : 131-169, 2009

      6 주보돈, "포항중성리신라비의 構造와 내용" 한국고대사학회 (65) : 117-158, 2012

      7 하일식, "포항중성리신라비와 신라 관등제" 한국고대사학회 (56) : 171-216, 2009

      8 노태돈, "포항중성리신라비와 外位" 한국고대사학회 (59) : 37-55, 2010

      9 노중국, "포항중성리비를 통해 본 麻立干시기 신라의 분쟁처리 절차와 六部체제의 운영" 한국고대사학회 (59) : 57-94, 2010

      10 김재홍, "포항의 역사와 문화" 포항시 2017

      1 이영호, "흥해지역과 포항중성리신라비" 한국고대사학회 (56) : 217-252, 2009

      2 홍승우, "한국 고대 율령의 성격"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3 배용일, "포항중성리신라비의 발견경위와 고대의 포항과 흥해" 한국고대사학회 (56) : 59-84, 2009

      4 전덕재, "포항중성리신라비의 내용과 신라 6부에 대한 새로운 이해" 한국고대사학회 (56) : 85-129, 2009

      5 강종훈, "포항중성리신라비의 내용과 성격" 한국고대사학회 (56) : 131-169, 2009

      6 주보돈, "포항중성리신라비의 構造와 내용" 한국고대사학회 (65) : 117-158, 2012

      7 하일식, "포항중성리신라비와 신라 관등제" 한국고대사학회 (56) : 171-216, 2009

      8 노태돈, "포항중성리신라비와 外位" 한국고대사학회 (59) : 37-55, 2010

      9 노중국, "포항중성리비를 통해 본 麻立干시기 신라의 분쟁처리 절차와 六部체제의 운영" 한국고대사학회 (59) : 57-94, 2010

      10 김재홍, "포항의 역사와 문화" 포항시 2017

      11 권인한, "포항 중성리신라비의 어문학적 검토"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09

      12 고광의, "포항 중성리신라비의 서체와 고신라 문자생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09

      13 이우태, "포항 중성리신라비의 내용과 건립 연대"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09

      14 선석열, "포항 중성리신라비의 금석학적 위치"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09

      15 김희만, "포항 중성리신라비와 신라의 관등제" 동국역사문화연구소 (47) : 1-26, 2009

      16 이부오, "포항 중성리신라비에 대한 연구의 현황과 시사점" 한국고대사탐구학회 (16) : 7-58, 2014

      17 이성호, "포항 중성리신라비 판독과 인명표기" 한국목간학회 (15) : 65-86, 2015

      18 박성현, "포항 중성리신라비 비문의 형식과 분쟁의 성격"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5) : 3-22, 2011

      19 지병목, "포항 중성리신라비"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09

      20 김창호, "포항 중성리 신라비의 재검토" 신라사학회 (29) : 609-630, 2013

      21 김창석, "포항 中城里新羅碑에 관한 몇 가지 고찰" 한국사연구회 (147) : 379-400, 2009

      22 이용현, "중성리비의 기초적 검토" 국립중앙박물관 17 : 2011

      23 여호규, "신발견 <集安高句麗碑>의 구성과 내용 고찰" 한국고대사학회 (70) : 51-100, 2013

      24 주보돈, "신라에서의 한문자 정착과정과 불교수용" (창간) : 199-203, 2001

      25 전덕재, "신라 六部體制 연구" 일조각 1996

      26 李成市, "신라 포항 중성리비에 보이는 6세기 신라비의 특질" 2011

      27 윤진석, "신라 최고의 금석문포항 중성리비와 냉수리비" 주류성 2012

      28 윤선태, "신라 최고의 금석문 포항 중성리비와 냉수리비" 주류성 2012

      29 홍승우, "신라 최고의 금석문 포항 중성리비와 냉수리비" 주류성 2012

      30 김수태, "신라 최고의 금석문 포항 중성리비와 냉수리비" 주류성 2012

      31 하일식, "신라 집권 관료제 연구" 혜안 2006

      32 김창석, "신라 법제의 형성 과정과 율령의 성격-포항 중성리신라비의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학회 (58) : 171-215, 2010

      33 여호규, "신라 냉수리비와 봉평리비의 단락구성과 서사구조" 역사문화연구소 (69) : 3-44, 2019

      34 노태돈, "고구려사 연구" 사계절 1999

      35 여호규, "高句麗 國內 都城의 구성요소와 수공업 생산체계- 기와 생산체계를 중심으로 -" 역사문화연구소 (52) : 39-80, 2014

      36 京都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簡牘硏究班, "漢簡語彙 中國古代木簡辭典" 岩波書店 2015

      37 橋本繁, "浦項中城里新羅碑の硏究" 220 : 2011

      38 주보돈, "浦項 中城里新羅碑에 대한 硏究 展望" 한국고대사학회 (59) : 5-36, 2010

      39 "武漢大學簡帛研究中心 홈페이지"

      40 이부오, "智證麻立干代 新羅 六部의 정치적 성격과 ‘干支’-포항 중성리비를 중심으로-" 신라사학회 (28) : 1-44, 2013

      41 范董平, "敦煌汉简谦敬词的修辞特点" (3) : 2008

      42 奈良國立文化財研究所, "平城宮發掘調査出土木簡槪報" 33-, 1997

      43 李成市, "宣石悅 “浦項 中城里新羅碑의 金石學的 位置”에 대한 토론문"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09

      44 "奈良文化財研究所 홈페이지 木簡庫 DB"

      45 홍승우, "「浦項中城里新羅碑」를 통해 본 新羅의 部와 지방지배"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6) : 207-241, 2014

      46 박남수, "「浦項 中城里新羅碑」의 新釋과 지증왕대 정치 개혁" 한국고대사학회 (60) : 117-158, 2010

      47 박남수, "「浦項 中城里新羅碑」에 나타난 新羅 六部와 官等制" 한국사학회 (100) : 447-492, 2010

      48 이수훈, "<浦項中城里新羅碑>의 牟旦伐과 金評" 효원사학회 44 : 197-225, 2013

      49 이수훈, "<浦項中城里新羅碑>의 宮과 本波" 한국민족문화연구소 (62) : 305-332,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7-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ncient Historical Association -> The Society for Ancient Korean History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9 1.69 1.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4 1.57 3.46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