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명대 통화 정책 연구- 동전과 사주전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Monetary Policy in Ming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253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fiscal policy in early Ming Dynasty based on spot goods, the issue of the currency is inevitable for government. It was hard to issue the currency massively due to the inflexible fiscal policy in Ming Dynasty. So they had chosen ‘Baochao(...

      Although fiscal policy in early Ming Dynasty based on spot goods, the issue of the currency is inevitable for government. It was hard to issue the currency massively due to the inflexible fiscal policy in Ming Dynasty. So they had chosen ‘Baochao(寶鈔)’ which costs less comparatively as the currency. But ‘Baochao(寶鈔)’ was vulnerable to excessive issue with less values in possession and could not function as the currency as time went by.
      The Ming Dynasty also acknowledged the issue of ‘privately issued coins(私錢)’ seriously. As officials also suggested proposals through merchandised order, inducing 鋪行 into system is outstanding but the most striking thing is that they suggested to let it go in private currency market unlike the current common sense and prefer less discussion on ‘monetary regime(錢法)’ in the government, regarding the discussions on ‘monetary regime(錢法)’ as a troubleshooter for public attention of people.
      Even though providing enough제전 would be desirable, it was difficult with finance situation in Ming Dynasty. In terms of this, it could not help issuing different coins in various qualities with diverse financial conditions. It means that ‘government issued coins(制錢)’ could not guarantee a good quality of coins. For example, Chongzen Tongbao(崇禎通寶) with mixed kinds in quality separately seemed not that good coins to use. Meanwhile ‘privately issued coins(私錢)’ had almost same quality of government issued coin.
      Like this, as issue of coins in Ming Dynasty was not enough, most commercial transaction happened inside through silver greatly contributed to increasing the flexibility of commercial transaction. That is, incorporation into silver-economy had a lot of side effects. As silver was handy, wealth in a region moved to another region easily, entailing imbalance between regions and classes. In other words, the mobility of silver had been maximizing and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had deepened in the late Ming Dynasty. Further to this, not going smoothly of silver-flux in Chongzhen reign caused serious social issu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명초의 재정정책이 아무리 현물 위주라고는 하지만 화폐 발행은 정부로서도 필수불가결한 일이었다. 명조의 재정정책은 그 규모가 비탄력적이었기 때문에 경화(硬貨)를 대량으로 발행하는 ...

      명초의 재정정책이 아무리 현물 위주라고는 하지만 화폐 발행은 정부로서도 필수불가결한 일이었다. 명조의 재정정책은 그 규모가 비탄력적이었기 때문에 경화(硬貨)를 대량으로 발행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그래서 이들은 발행 비용이 상대적으로 적은 ‘보초(寶鈔)’를 선택하여 통화로서 공급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보초는 그만큼 소재가치가 낮고 남발되기 쉬운 약점을 지니고 있었고, 시간이 지나면서 화폐로서의 기능을 잃게 되었다.
      홍치년간 이후 동전 발행이 활발해졌지만, 그 목적은 시장에 良貨를 공급한다는 차원에서가 아니라 주초 차익을 도모하는 것이었고, 이 점은 장거정 집권기를 제외하고는 그 뒤에 줄곧 이런 경향은 유지되었다. 특히 天啓・崇禎年間에는 遼餉으로 인하여 재정 위기가 점증되자, 악화를 발행하는 경향이 더욱 강해졌다.
      이처럼 명조의 동전 발행은 충분하지 않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상거래는 銀으로 밖에는 이루어지지 않았고 이러한 현실이 상거래의 유동성을 증대시키는 커다란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명말의 은량 사용의 증대는 실제로 악화의 남발 속에서 이루어진 부득이한 측면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16세기 중엽 이후 ‘銀經濟’로의 편입을 단순히 사회경제사적인 발전이나 도약으로만 파악할 수 없다. 이렇게 광범위하게 사용된 銀은 휴대와 운반에 용이하였기 때문에, 한 지역의 부가 손쉽게 다른 지역으로 운반됨으로써 지역간 내지 계층간의 소득 불균형을 초래하였다. 다시 말하자면 명말에 은의 유동성이 극대화되자, 이는 빈부 격차의 심화라는 현상을 가져왔으며, 이에 더하여 해외에서 은유입이 순조롭지 않게 되자 명조 멸망의 한 원인으로 작용하였던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高文襄公集 卷3"

      2 范濂, "雲間据目抄 卷3"

      3 浜口福壽, "隆慶萬曆期の錢法の新展開" 1 (1): 1972

      4 葉夢珠, "閱世編 卷7 錢法"

      5 大田由紀夫, "錢貨-前近代日本の貨幣と國家" 青木書店 2001

      6 賴建誠, "邊鎮糧餉:明代中後期的邊防經費與國家財政危機, 1531-1602" 聯經出版公司 2008

      7 張瑞威, "論法定貨幣的兩個條件: 明嘉靖朝銅錢政策的探討" 60 : 2015

      8 "萬暦會計錄 卷41 錢法"

      9 "續文獻通考 卷18"

      10 董穀, "碧里雜存"

      1 "高文襄公集 卷3"

      2 范濂, "雲間据目抄 卷3"

      3 浜口福壽, "隆慶萬曆期の錢法の新展開" 1 (1): 1972

      4 葉夢珠, "閱世編 卷7 錢法"

      5 大田由紀夫, "錢貨-前近代日本の貨幣と國家" 青木書店 2001

      6 賴建誠, "邊鎮糧餉:明代中後期的邊防經費與國家財政危機, 1531-1602" 聯經出版公司 2008

      7 張瑞威, "論法定貨幣的兩個條件: 明嘉靖朝銅錢政策的探討" 60 : 2015

      8 "萬暦會計錄 卷41 錢法"

      9 "續文獻通考 卷18"

      10 董穀, "碧里雜存"

      11 "皇明經世文編"

      12 張瑞威, "皇帝的錢包-明中葉宮廷消費與銅錢鑄造的關係" 22 (22): 2011

      13 陳宏謀, "淸經世文編 卷53"

      14 "淸實錄"

      15 奥山憲夫, "洪武朝の絹銅錢等の賜給について" 30 : 1997

      16 陳懋仁, "泉南雜志"

      17 張瀚, "松窗夢語 卷4"

      18 李隆生, "晚明海外貿易數量研究: 兼論江南絲綢產業與白銀流入的影響" 秀威資訊科技 2005

      19 孫承澤, "春明夢餘錄 卷47"

      20 山根幸夫, "明清華北定期市の研究" 汲古書院 1995

      21 岸本美緖, "明清交替と江南社會―17世紀中國の秩序問題" 東京大學出版會 3-4, 1999

      22 百瀬弘, "明淸社會經濟史硏究" 硏文出版 1980

      23 任均尙, "明朝貨幣政策硏究" 29 (29): 2003

      24 檀上寬, "明朝專制支配の史的硏究" 汲古書院 1995

      25 浜口福壽, "明朝制錢流通策と銀納の性格について" 新潟縣立新潟中央高等學校 6 : 1969

      26 浜口福壽, "明朝の制錢鋳造における鑄息について明代貨幣史覺書一" 新潟縣立新潟中央高等學校 4 : 1967

      27 "明實錄"

      28 "明史 卷81"

      29 宮澤知之, "明初の通貨政策" 28 : 2002

      30 市古尙三, "明代貨幣史考" 1977

      31 傅衣凌, "明代江南市民經濟初探" 上海人民出版社 1957

      32 劉和惠, "明代徽州田契硏究" 5 : 1983

      33 雷家聖, "明代制錢的硏究" (5) : 1999

      34 全漢昇, "明代中葉後太倉歲出銀兩的研究" 6 (6): 1973

      35 足立啓二, "明代中期における京師の錢法" 29 : 1989

      36 浜口福壽, "明代の米價表示法と銀の流通明代貨幣史覺書二" 新潟縣立新潟中央高等學校 5 : 1968

      37 佐久間重男, "明代の商稅制度" 13 (13): 1943

      38 張詩波, "明代‘私鑄錢’與國家的應對措施" 5 : 87-, 2007

      39 顧炎武, "日知錄 卷11"

      40 岩井茂樹, "徭役と財政のあいだ-中國稅役制度の歷史的理解について(四)" 28 (28): 11-12, 1994

      41 "崇禎長編 卷14"

      42 顧起元, "客座贅語 卷4 鑄錢"

      43 李儉農, "宋元明經濟史稿" 三聯書店 1957

      44 "大明律 卷23"

      45 吳晗, "吳晗史學論著選集 卷2" 人民出版社 1986

      46 大田由紀夫, "元末明初期における徽州府下の貨幣動向" 76 (76): 1993

      47 彭信威, "中國貨幣史" 上海人民出版社 1965

      48 劉精誠, "中國貨幣史" 文津出版 1995

      49 足立啓二, "中國專制國家と社會統合-中國史像の再構成Ⅱ" 文理閣 1990

      50 張瑞威, "一條鞭法的開端:論明憲宗一朝的貨幣政策" 10 : 2007

      51 W. S. Atwell, "Some Observations on the 'Seventeenth-Century Crisis in China and Japan" 45 (45): 1986

      52 Richard von Glahn, "Myth and Reality of China’s Seventeenth-Century Monetary Crisis" 56 (56): 1996

      53 Richard von Glahn, "Fountain of Fortune: Money and Monetary Policy in China, 1000-1700" Univ. of California Press 1996

      54 W. S. Atwell, "A Seventeenth-Century ‘General Crisis’ in East Asia?" 24 (24): 1990-, 1990

      55 홍성화, "18世紀 中國 江南地域의 貨幣와 物價 ― 汪輝祖와 鄭光祖의 기록을 중심으로 ―" 동양사학회 (130) : 157-198, 2015

      56 홍성화, "18世紀 中國 江南地域의 貨幣使用慣行" 명청사학회 (36) : 71-98, 2011

      57 大田由紀夫, "11~15世紀初頭東アジアにおける銅錢の流布" 61 (61):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1-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SA-CHONG(sa)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71 1.55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