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천적 대상자를 갖는 학문에서 현장실습은 실습생들이 학교에서 학습한 이론을 실제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실무경험을 쌓고 취업시 경쟁력을 높이며 취업준비에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07322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3-38(1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실천적 대상자를 갖는 학문에서 현장실습은 실습생들이 학교에서 학습한 이론을 실제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실무경험을 쌓고 취업시 경쟁력을 높이며 취업준비에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중...
실천적 대상자를 갖는 학문에서 현장실습은 실습생들이 학교에서 학습한 이론을 실제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실무경험을 쌓고 취업시 경쟁력을 높이며 취업준비에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예비 건강가정사인 사회복지 전공생들의 건강가정현장실습 경험을 통해 건강가정사 자격 관리를 내실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를 위해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 14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질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부분의 연구참여자들은 실습의 의미를 건강가정현장실습을 취업을 위한 건강가정사 자격증 취득에 두었으며 실제로 실습 후에는 가족센터의 실무파악에 도움을 받았다고 하며 가족센터를 새로운 취업처로 고려하는 등의 인식의 변화를 보였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의 실습경험은 실습한 센터마다 차이를 보였는데 전반적으로 실무 경험을 쌓는데 좋은 기회였다고 밝혔다. 그러나 많은 실습생들이 특히 체계적인 실습지침의 부재와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슈퍼비전의 미흡함을 지적하였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의 학교에 대한 요구로는 공식적이고 형식을 갖춘 건강가정사 자격증의 발급과 실습과목의 의무화, 실습 사전 지침의 체계화가 있었으며 마지막으로 실습센터에 대해 체계적인 실습지침의 구비와 슈퍼비전의 충실화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건강가정사 자격관리의 내실화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먼저 건강가정현장실습 교과목이 건강가정사 자격 이수를 위해 필수화될 것을 제안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공식적인 실습지침이 수립되어 체계적인 수퍼비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무엇보다도 건강가정사 자격증이 여성가족부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발급되도록 하여 실습 현장이나 실습생들의 혼란을 줄이도록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ield training is important in helping trainees gain practical experience, prepare for employment by applying the theories learned at university to actual practice, and gain a competitive edge on the job.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Field training is important in helping trainees gain practical experience, prepare for employment by applying the theories learned at university to actual practice, and gain a competitive edge on the job.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qualification management of healthy family specialists through a practicum experience of social welfare students undergoing training to become experts in this field. For this research, in-depth interviews with 14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were conducted, and the data were qualitatively analyzed.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participants, the practicum meant fulfilling a requirement for obtaining a healthy family specialist certificate for employment. After the practicum, they said that it helped them understand the practice at the Family Center, and they showed changes in their perceptions, such as considering the Family Center a prospective place of employment. Second, the practical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differed among the centers where they had their practicum but provided a good opportunity to gain for field training overall. However, many trainees pointed out the lack of systematic practice guidelines and professional supervision. Third, the participants' requests to their university included the issuance of formal healthy family specialist certificates, the mandatory practice subjects, and the systematization of pre-practice guidelines. Finally, there was a demand for systematic practice guidelines and the faithfulness of supervision at the centers. Based on these findings, suggestions were made for strengthening the qualification management of healthy family specialists. First of all, it was suggested that the Practicum Experience for healthy families should be essential for completing the qualification for healthy families, and formal training guidelines should be established to provide systematic supervision. In addition, above all, it will be necessary to reduce confusion among the training field and trainees by making sure that the Healthy Family Certificate is officially issued at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은퇴자의 소비생활 특성과 경제적 만족도 -일본의 60대 이상 은퇴자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LDA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ʻʻ건강가정ʼʼ 연구동향 분석: 제1차~제4차 건강가정기본계획 시기를 중심으로
밀레니얼세대 일하는 부모의 생활시간사용의 특성과 주관적 시간빈곤 결정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