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Creative Dance와 Dance Therapy의 움직임원리 탐색 = Search the movement principle of creative danceand dance therap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891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how to progress and approach the body movement in Creative Dance, how to apply movement reaction in Dance Therapy, also how to be divided and evaluated two part of movement principle using movement of body. Creative Da...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how to progress and approach the body movement in Creative Dance, how to apply movement reaction in Dance Therapy, also how to be divided and evaluated two part of movement principle using movement of body. Creative Dance is the art through a simple body rather than the course that is the combination of body and soul, body and nature, and to make the one phenomenon world through creativity of real world. we will find new movement whatever the course, and do a role to solve the problem of movement related subject through experience of art creativity that gain the while oneself. It is Dance Therapy that can be made by a process in which feeling of movement and desire become material and basis by experience, and the meaning of movement is reflected to the mind of oneself and is recognized. Creative Dance coach selects and teaches 'work' or regular 'form'. But the coach(Dance Therapist) doesn't teach, but do guide and do a role like build bridge through volunteered participation. Creative Dance performs using 'technology', 'style' or 'aesthetic', creatives new images by being given one meaning by audience estimate. Dance therapy discern and interpret about emotion deeply, it called spontaneity, it is made up of motion vocabulary and it is judged to be change in everyday life. And also if two parts revitalze movement using matrial and properties that suit the subject, it bring about development of sociality. We think that this dance expand into movement principle in Creative Dance and Dance Therapy, is one of the methodology to present the way to go ahead, understand that transmission process be expressed by some facts, and we expect what contribute practical plan to make expand freedom, artistry, and psychological factor through Creative Dance and Dance Therap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무용이 창작무용에서의 신체움직임은 어떻게 진행되며 접근되는지를 살펴보고, 무용치료에서는 움직임의 반응이 어떤 방법으로 적용되며 또한 두 영역의 움직임원리가 그 바탕...

      본 연구는 무용이 창작무용에서의 신체움직임은 어떻게 진행되며 접근되는지를 살펴보고, 무용치료에서는 움직임의 반응이 어떤 방법으로 적용되며 또한 두 영역의 움직임원리가 그 바탕은 무용이라는 신체의 움직임을 활용해 어떻게 구분이 되어 평가되어지는지를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창작무용은 그 과정이 어떤 것이든 새로운 움직임을 찾게 되고, 자신이 쌓아온 예술 창조의 경험을 통해 주제와 연관된 움직임의 문제를 해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무용치료는 움직임의 내면적인 ‘정서’와 ‘의욕’이 자신의 ‘경험’에 의해 소재가 되고 근원이 되어 결실을 이루게 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움직임의 의미를 자신의 심리에 반영시켜 의식화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창작무용의 지도자는 ‘작품’이나 일정한 ‘형태’를 선택하여 지도하는 것이다. 그러나 무용치료에서 지도자(무용치료사)는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자발적 참여를 통해 안내를 하며 가교적인 역할을 한다. 창작무용은 ‘기술’이나 ‘양식’, ‘미학적’인 것들을 통하여 공연을 하고, 관객들의 평가에 의해 하나의 의미를 부여받으면서 새로운 이미지를 창조하는 것이다. 무용치료는 ‘정서’와 감정을 깊이 ‘통찰’하고 ‘해석’하며 이것은 자발성이라고 하여 자신만의 움직임 어휘로 이루어지며, 일상생활에서 변화되어 평가되어진다. 이러한 무용이 창작무용과 무용치료에서 움직임원리를 확대시켜주며,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방법론의 하나가 될 것이다. 전달방식이 어떠한 요인에 의해 표출되는가에 대해 이해하고 창작무용과 무용치료를 통해 자유로움과 예술성, 심리적 요소를 확대시켜 실용방안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변해심, "에어로빅스 운동참여가 여성의 신체상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1996

      2 정여주, "미술치료의 이해" 학지사 2005

      3 송종건, "무용학원론" 금강 1998

      4 박은규, "무용치료를 통한 아동의 표현활동" 조원사 2002

      5 변인숙, "무용치료가 초등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6

      6 변인숙, "무용요법이 청각장애 아동의 사회.정서적 행동발달 특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1

      7 임인선, "무용요법이 다운증후군 아동의 신체이동 기술 및 정서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4

      8 김화숙, "무용교육이란 무엇인가" 한학문화사 1996

      9 강여주, "무용 창작에 있어서 안무가의 창작성 요인" 한국체육철학회 12 (12): 231-247, 2007

      10 Davis,M, "Towards understanding the Intrinsic in Body Movement" Arno Press 1975

      1 변해심, "에어로빅스 운동참여가 여성의 신체상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1996

      2 정여주, "미술치료의 이해" 학지사 2005

      3 송종건, "무용학원론" 금강 1998

      4 박은규, "무용치료를 통한 아동의 표현활동" 조원사 2002

      5 변인숙, "무용치료가 초등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6

      6 변인숙, "무용요법이 청각장애 아동의 사회.정서적 행동발달 특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1

      7 임인선, "무용요법이 다운증후군 아동의 신체이동 기술 및 정서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4

      8 김화숙, "무용교육이란 무엇인가" 한학문화사 1996

      9 강여주, "무용 창작에 있어서 안무가의 창작성 요인" 한국체육철학회 12 (12): 231-247, 2007

      10 Davis,M, "Towards understanding the Intrinsic in Body Movement" Arno Press 1975

      11 Marcia B.L., "Research in Movement Therapy: Major Developmental Construct"

      12 Luckmann, A, "Medical-Surgical Nursing" Saunders company 82-85, 1974

      13 Schmais, C, "Introduction to Dance Therapy" 9 : 23-30, 1986

      14 Malan,D., "Individual Psychotherapy and the science of psychodynamics" Butter Worhs 1989

      15 Joanne,C.M., "How to make the most of Body Image Theory in Nursing" 76 : 68-72, 1976

      16 Murray,R., "Dance in elementary education: A program for bays and girls" Harper and Row 1963

      17 Mason,K.C., "Dance Therapy: Focus of Dance Ⅵ" AAHPERD 1980

      18 Levy,F.J., "Dance Movement Therapy: A healing Art. National Dance Association American Alliance for health physical Education" 36 : 239-244, 1989

      19 Leventhal.M.B., "Dance Movement Therapy"

      20 Willis,C,M., "Creative Dance-How to Increase Parent and Teacher Awareness" JOPERD 1995

      21 Davis, M., "Body movement and nonverbal communication, an annotated Bibliography. 1971-1980" Indiana University Press 1982

      22 Scheflen A., "Body language and Social order. communication as social control" Prentice hall 1972

      23 Rubin,R., "A Theory of clinical nursing" 17 : 210-212, 196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04-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and Martial Arts KCI등재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12-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 Philosophy of Movement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and Martial Arts KCI등재
      2019-04-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3-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Philosophy of Movement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5 1.05 1.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1 1.16 0.947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